[稀痘兎紅丸][희두토홍환]
稀痘方
一名, [太極丸]
臘月初八日 取採生免一隻 取血 以蕎麥麪 和之 少加雄黃四五分 候乾成餠.
凡初生小兒 三日後 與菉豆大者 二三丸 乳汁送下 一歲兒5丸
或7丸 三歲後15丸服 久則遍身發出紅癍 是其驗也.
有終身不出 痘疹者 雖出亦稀 小兒已長 會飮食者 就以免血啖之尤妙
或云“不必八日 但臘月免亦可用” 然終不藥八日佳(醫鑒).
일명 태극환(太極丸)이라고도 한다.
음력 섣달 초에 산토끼 한 마리의 피를 뽑아서 메밀가루 조금과 함께 섞은 다음
석웅황(웅황) 1.6-2g을 넣어 말려 떡같이 만든다.
3일 된 갓난아이에게는 녹두알만하게 2-3알을 젖에 풀어 먹이고
1살 난 어린이에게는 5-7알, 3살 이상의 어린이에게는 15알씩
오랫동안 먹이면 온몸에 홍반(紅 )이 돋는 것으로 그 효과를 알 수 있다.
이 약을 쓰면 마마와 홍역을 일생 동안 앓지 않고 앓는다 하더라도 경하게 앓는다.
어린이가 이미 자라서 음식을 먹게 된 때에 토끼피를 먹이면 더욱 좋다.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꼭 음력 섣달 초의 것이라야 되는 것은 아니고
음력 섣달에 잡은 토끼이면 다 쓸 수 있다고 하나 섣달 초의 것만 못하다[의감].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地黃丸][흑지황환]  (0) 2019.02.07
[黑參丸][흑삼환]  (0) 2019.02.07
[黑奴丸][흑노환]  (0) 2019.02.07
[厚腸丸][후장환]   (0) 2019.02.07
[厚朴丸][후박환]   (0) 2019.02.07

[黑地黃丸][흑지황환]
治久痔痔漏, 下膿血. 虛者服之, 神妙. 治痔之聖藥也.
蒼朮 一斤 泔浸,

熟地黃 一斤,

五味子 八兩,

乾薑 秋冬一兩, 春七錢, 夏五錢.
右爲末, 棗肉和丸梧子大, 空心, 米飮或溫酒下百丸[保命].
오래된 치질과 치루로 피고름이 나오는 것을 치료하는데,

허한 경우에 먹으면 효과가 매우 좋다.

치질을 치료하는 매우 좋은 약이다.
창줄 한 근(쌀뜨물에 담근다),

숙지황 한 근,

오미자 여덟 냥,

건강(가을과 겨울에는 한 냥, 봄에는 일곱 돈, 여름에는 닷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대조육으로 반죽하여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빈속에 백 알씩 미음이나 따뜻한 술로 먹는다(보명).

[黑地黃丸][흑지황환]
治久痔痔漏下膿血虛者服之神妙治痔之聖藥也
蒼朮一斤厹浸
熟地黃一斤

五味子八兩
乾薑(秋冬一兩 春七錢 夏五錢)
右爲末棗肉和丸梧子大空心米飮或溫酒下百丸[保命]
오랜 치질과 치루(痔漏)로 피고름이 나오면서 허해진 것을 치료하는데 잘 낫는다.
삽주(창출, 쌀 씻은 물에 담갔던 것) 600g,
숙지황 600g, 오미자 320g,
건강(가을과 겨울에는 40g, 봄에는 28g, 여름에는 20g을 쓴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대추살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빈속에 미음이나 데운 술로 먹는다[보명].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稀痘兎紅丸][희두토홍환]   (0) 2019.02.07
[黑參丸][흑삼환]  (0) 2019.02.07
[黑奴丸][흑노환]  (0) 2019.02.07
[厚腸丸][후장환]   (0) 2019.02.07
[厚朴丸][후박환]   (0) 2019.02.07

[黑參丸][흑삼환]
治口舌生瘡, 連年不愈.
玄參, 天門冬, 麥門冬.
右等分, 爲末, 蜜丸彈子大, 每噙化一丸[丹心].
입과 혀가 헐어서 여러 해 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현삼, 천문동, 맥문동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하여 탄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한 알씩 입에 머금어 녹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稀痘兎紅丸][희두토홍환]   (0) 2019.02.07
[黑地黃丸][흑지황환]  (0) 2019.02.07
[黑奴丸][흑노환]  (0) 2019.02.07
[厚腸丸][후장환]   (0) 2019.02.07
[厚朴丸][후박환]   (0) 2019.02.07

[黑奴丸][흑노환]
治陽毒發斑 煩躁大渴 脈洪數 麻黃 大黃 各80g
黃芩 釜底煤 芒硝 竈堗墨 梁上塵 小麥奴 各40g
爲末 蜜丸彈子大 每一丸 新汲水化服 須臾 振寒汗出
而解 未汗再服(入門)
陽毒及壞傷寒 醫所不治 精魂已渴 心下尙煖 斡開其口
灌藥下咽 卽活 若不大渴 不可與此藥(活人)
양독(陽毒)으로 반진이 돋고 번조(煩燥)하며
몹시 갈증이 나고 맥이 홍삭(洪數)한 것을 치료한다.
마황, 대황 각각 80g,
속썩은풀(황금), 가마밑검댕(釜底煤), 망초,
대들보 위의 먼지(梁上塵), 밀깜부기(小麥奴)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물에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새로 길어온 물에 풀어 먹으면
조금 있다가 부들부들 떨리면서 땀이 나고 낫는다.
땀이 나지 않으면 다시 먹는다[입문].
양독과 괴상한(壞傷寒)은 치료하지 못하는데
정신은 잃었으나 아직 명치 밑이 따뜻할 때에는
입을 벌리고 약을 떠넣어 주면 살아난다.
몹시 갈증이 나지 않을 때에는 이 약을 쓰지 못한다[활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地黃丸][흑지황환]  (0) 2019.02.07
[黑參丸][흑삼환]  (0) 2019.02.07
[厚腸丸][후장환]   (0) 2019.02.07
[厚朴丸][후박환]   (0) 2019.02.07
[後坎离丸][후감리환]   (0) 2019.02.07

[厚腸丸][후장환]
治乳食積 腹脹瘦弱
枳實 麥芽 神曲末 各2g
橘紅 半夏 蒼朮 人蔘 厚朴 靑皮 各1g
爲末 麪糊和 丸麻子大 溫水下 20~30丸(東垣).
유적과 식적으로 배가 불러 오르고 여위며 약해진 것을 치료한다.
지실, 보리길금(맥아), 약누룩(신국)가루 각각 2g,
귤홍, 끼무릇(반하), 삽주(창출), 인삼 각각 1.2g,
후박, 선귤껍질 각각 0.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더운물로 먹인다[동원].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參丸][흑삼환]  (0) 2019.02.07
[黑奴丸][흑노환]  (0) 2019.02.07
[厚朴丸][후박환]   (0) 2019.02.07
[後坎离丸][후감리환]   (0) 2019.02.07
[茴香練實丸][회향연실환]  (0) 2019.02.07

[厚朴丸][후박환]
治 積聚 琋癖 黃疸 鼓脹, 十種水氣, 八種搽塞, 五種淋疾, 九種心痛,

遠年秇疾及療, 七十二種風 , 三十六種尸狟, 癲狂, 邪崇一切, 腹中諸疾

川烏礐二兩

吳茱萸 桔梗 柴胡 菖蒲 紫泸 黃連 乾薑礐 肉桂 川椒炒 巴豆霜 赤茯巔 爣莢灸 厚朴 人參 各五錢
右爲末煉蜜和丸梧子大薑湯下三丸或五丸至七丸[局方]
一名, [萬病紫울丸] [海藏]
治婦人腹中積聚有似懷孕羸瘦困弊, 或歌哭如邪崇服此藥自愈

久病服之則皆瀉出盤蛇惡膿之物乃愈[得效]
적취, 징벽, 황달(黃疸), 고창(鼓脹),

10가지 수기(水氣), 8가지 속이 더부룩해지고 막히는 병, 5가지 임질(淋疾),

9가지 심통(心痛)과 여러 해 된 학질과 72가지 풍(風)증, 36가지 시주(尸 ),

전광(癲狂), 헛것에 홀린 병[邪 一切], 뱃속에 생긴 여러 가지 병을 다 치료한다.
오두(싸서 구운 것) 100g,

오수유, 도라지(길경), 시호, 석창포, 개미취(자원), 황련, 건강(싸서 구운 것), 육계,

조피열매(천초, 닦은 것), 파두상, 벌건솔풍령(적복령), 주염열매(조협, 구운 것),

후박, 인삼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졸인 꿀(煉蜜)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알 혹은 5-7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국방].
일명 만병자원환이라고도 한다[해장].
부인이 뱃속에 적취가 생겨 임신한 것같이 되고 몸이 여위며 노곤해 하면서

혹 노래를 부르기도 하고 울기도 하는데 그것이 마치 헛것에 들린 것 같은 데는

이 약을 먹어야 저절로 낫는다.
병이 오래된 데 먹으면 다 설사가 나면서 벌레나 뱀같이 생긴 것과

썩은 고름[惡膿]이 나오고 낫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奴丸][흑노환]  (0) 2019.02.07
[厚腸丸][후장환]   (0) 2019.02.07
[後坎离丸][후감리환]   (0) 2019.02.07
[茴香練實丸][회향연실환]  (0) 2019.02.07
[回金丸][회금환]   (0) 2019.02.07

[後坎离丸][후감리환]
治虛火動遺精 盜汗 潮熱 痰嗽
四物湯4味 各80g
加知母160g
黃栢320g(用塩水人乳蜜水淸酒浸)
黃栢1/4各浸80g 知母各40g各浸40g過一宿取出知栢日晒夜露三晝夜入
四物同爲末蜜丸梧子大空心塩湯下80~90丸冬則溫酒下此藥取“
天一生水地二生火”之意能升水降火(入門).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사물탕 재료의 4가지는 각각 80g에 지모 160g, 황백 320g을 넣는다.
소금물과 젖(人乳), 꿀물(蜜水), 청주에 각각 황백은 80g씩,
지모는 각각 40g씩 담가 하룻밤 두었다가 지모와 황백을 꺼내어
낮에는 햇볕을 쪼이고 밤에는 이슬을 맞치기를 3일 동안 한다.
이것을 사물탕 재료와 함께 가루를 낸다.
이 가루를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0-9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
겨울에는 데운 술로 먹는다.
이 약은 하늘이 첫째로 물을 내고 땅이 둘째로 불을 내는 뜻에 따라
신수(腎水)를 올라가게 하고 심화(心火)를 내리게 한 약이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厚腸丸][후장환]   (0) 2019.02.07
[厚朴丸][후박환]   (0) 2019.02.07
[茴香練實丸][회향연실환]  (0) 2019.02.07
[回金丸][회금환]   (0) 2019.02.07
[黃連丸][황연환]   (0) 2019.02.07

[茴香練實丸][회향연실환]
治男子七疝, 婦人帶下瘕聚, 痛不可忍, 皆任脈所主, 治法同焉.
川練子 炒, 茴香, 山茱萸, 吳茱萸, 食茱萸, 靑皮, 陳皮, 馬藺花, 芫花 各一兩.
右爲末, 醋糊和丸, 梧子大, 溫酒, 下五十丸[丹心].
남자의 칠산과 부인의 대하, 징가, 적취로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모두 임맥이 주관하므로 치료 방법이 같다.
천련자(볶은 것), 회향, 산수유, 오수유, 식수유, 청피, 진피, 마린화, 원화 각 한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로 쑨 풀로 반죽하여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쉰 알씩 따뜻한 술로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厚朴丸][후박환]   (0) 2019.02.07
[後坎离丸][후감리환]   (0) 2019.02.07
[回金丸][회금환]   (0) 2019.02.07
[黃連丸][황연환]   (0) 2019.02.07
[黃連化痰丸][황연화담환]   (0) 2019.02.07

[回金丸][회금환]
治肝火
黃連240g, 吳茱萸40g
爲末 蒸餠和丸梧子大 空心 白湯下30~50丸(丹心).
一名, [萸連丸] (入門).
간화(肝火)를 친다.
황련 240g, 오수유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증병으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단심].
일명 유련환(萸連丸)이라고도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後坎离丸][후감리환]   (0) 2019.02.07
[茴香練實丸][회향연실환]  (0) 2019.02.07
[黃連丸][황연환]   (0) 2019.02.07
[黃連化痰丸][황연화담환]   (0) 2019.02.07
[黃栢丸][황백환]   (0) 2019.02.07

[黃連丸][황연환]
治赤白痢
吳茱萸 黃蓮 各80g 以好酒同浸三日 乃各揀 取焙乾
爲末 醋糊和 丸梧子大
赤痢 則黃蓮丸30粒 以甘草湯 呑下.
白痢 則茱連丸30粒 以乾薑湯 呑下
赤白痢 則各取30粒 以甘草乾薑湯下(丹心).
적백리를 치료한다.
오수유, 황련 각각 80g.
위의 약들을 함께 좋은 술에 3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따로따로 가려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다음 가루내어 식초에 쑨 풀에 각기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들을 만든다.
적리에는 황련환 30알을 감초 달인 물로 먹고
백리에는 수유환 30알을 건강 달인 물로 먹으며
적백리에는 각각 30알씩 감초와 건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四味茱連丸][사미수련환]
治痰火挾瘀 呑酸
半夏60g 陳皮20g 黃連40g 吳茱萸4g 桃仁24粒
爲末 神麯糊和 丸綠豆大 薑湯下100丸(入門).
담화(痰火)에 어혈(瘀血)을 겸해서 나는 탄산증을 치료한다.
끼무릇(반하) 60g, 귤껍질(陳皮) 20g, 황련 40g, 오수유 4g, 복숭아씨(도인) 24알.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약누룩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九味茱連丸][구미수련환]
治鬱積呑酸
蒼朮 黃芩 黃連三味並土炒 吳茱萸 陳皮 桔梗 茯苓 半夏各40g.
爲末 神麯糊和 丸菉豆大 時時津嚥下20~30丸(入門).
울적(鬱積)으로 나는 탄산으로 치료한다.
삽주(창출), 황련, 속썩은풀(황금, 3가지 약을 다 흙과 함께 닦은 것),
오수유, 귤껍질(陳皮), 도라지(길경), 흰솔풍령(백복령), 끼무릇(반하)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약누룩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때때로 먹되 침으로 삼킨다[입문].

[抑靑丸][억청환]
伐心經之火 兼治酒熱
黃連酒炒 或薑汁炒
爲末 粥丸白湯 呑下20~30丸(丹心).
一名, [黃連丸] (入門).
심경(心經)의 화를 내리며 겸하여 주열(酒熱)을 치료한다.
황련(술이나 생강즙으로 축여 볶은 것).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죽으로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단심].
일명 황련환(黃連丸)이라고도 한다[입문].

[升麻黃連丸][승마황연환]
治口臭穢惡人不得近
黃芩酒洗80g, 黃連40g
生薑取汁 蓮花 靑皮 升麻 各20g
生甘草12g, 白檀香8g
爲末 蒸餠和 丸彈子大 每一丸 細嚼 白湯下(正傳).
입에서 아주 역한 냄새가 나서 가까이 할 수 없는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술에 씻은 것) 80g, 황련 40g,
생강(즙을 낸 것), 연화, 선귤껍질(청피), 승마 각각 20g,
감초 12g, 백단향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증병에 반죽해서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정전].

[鬱金黃連丸][울금황연환]
治小腸膀胱積熱 或癃閉不通 或遺尿不禁
或白濁如泔 或膏淋如膿 或如梔子水 或如沙石米粒
或如粉糊 俱熱證也 悉主之
滑石 白茯苓 各160g 黑
牽牛頭末120g
黃芩 大黃 琥珀 各80g
鬱金 黃連 各40g
爲末 水丸梧子大 沸湯 下50~70丸(丹心).
소장과 방광에 열이 몰려서 오줌이 잘 나오지 않거나 막힌 것,
오줌이 나오는 것을 알지 못하거나 나가는 것을 알면서도 참지 못하는 것,
백탁(白濁)이 되어 오줌이 쌀뜨물 같은 것,
고림(膏淋)으로 오줌이 고름이나 산치자물 같거나 모래나 돌,
쌀알 같거나 쌀가루풀 같은 것이 나오는 것은 다
열증(熱證)인데 이것을 다 치료한다.
곱돌(활석),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160g,
나팔꽃검은씨(견우자, 맏물가루낸 것) 120g,
속썩은풀(황금), 대황, 호박 각각 80g,
울금, 황련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물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끓은 물로 먹는다[단심].

[酒蒸黃連丸][주증황련환]
治傷酒過度 腸胃積熱 或吐血下血
治酒毒積熱 便血 肛門灼熱
黃連160g 剉酒淹一宿 日乾
爲 末粟米糊和 丸梧子大 熟水 下30~50丸(得效).
술독으로 열이 몰려서 피똥이 나오고 항문에 열감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160g.
위의 약을 썰어서 술에 하룻밤 재워 두었다가 햇볕에 말려 가루를 낸다.
다음 좁쌀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득효].

[猪頭黃連丸][저두황련환]
治疳瘡 自孩提至弱冠 潮熱發瘡 乃疳氣使然
疳虫食其肌膚 空虛疳熱 流注遍身 熱瘡發歇無已
雄猪肚一具洗淨 黃連280g
爲剉 黃連入猪肚中 線縫密頓在五升米 上蒸十分爛 取入臼中
入些飯擣千杵 衆手丸 如菉豆大 米飮下20~30丸 冠者 倍之(得效).
감창을 치료한다. 어려서부터 20살이 될 때까지 조열이 나고
헌데가 나는 것은 감질기(疳疾氣)가 있어서 그러한 것인데
감충(疳蟲)이 살을 파 먹는 관계로 살이 여위며 감열이 온몸에 돌아다녀
열창(熱瘡)이 생겼다 없어졌다 하면서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處方箋] > [處方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茴香練實丸][회향연실환]  (0) 2019.02.07
[回金丸][회금환]   (0) 2019.02.07
[黃連化痰丸][황연화담환]   (0) 2019.02.07
[黃栢丸][황백환]   (0) 2019.02.07
[黃米丸][황미환]   (0) 2019.02.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