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檳峹][빈랑]


性溫(一云寒)味辛無毒

除一切風下一切氣通關節利九竅消穀逐水除痰癖下水腫破琋結宣利五藏六府壅滯氣
성질은 따뜻하며[溫](차다[寒]고도 한다)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모든 풍을 없애며 모든 기를 내려가게 한다.

뼈마디와 9규를 순조롭게 하며 먹은 것을 잘 삭이고 물을 잘 몰아낸다[逐].

담벽(痰癖), 수종, 징결을 낫게 하며 5장 6부에 막혀 있는 기를 잘 퍼지게 하고 돌게 한다.
生嶺南人啖之以當果實云南方地溫不食此無以禦瀆嵀其實春生至夏

乃熟然其肉極易爛先以灰汁煮熟因火焙乾始堪停久
영남지방에서 나는데 과실 대신 먹는다.

남방은 기후가 더워 이것을 먹지 않으면 장기와 역려를 막아낼 수 없다고 한다.

그 열매는 봄에 열리며 여름에 익는다.

러나 그 살은 썩기 쉽기 때문에 먼저 잿물에다 삶아 익혀서

약한 불기운에 말려야 오래 둘 수 있다.
小而味甘名山檳峹大而味澁名猪檳峹最小者名姭子土人呼爲檳峹
잘고 맛이 단것을 산빈랑(山檳 )이라 하고 크고 맛이 떫은 것을 저빈랑(猪檳 )이라 한다.

제일 작은 것을 납자라 하는데 그 지방 사람들은 빈랑손(檳 孫)이라고 한다.
尖長而有紫文者名曰檳圓而矮者名曰檳

今不復細分但取如鷄心狀存坐正穩心不空破之作綿文者爲佳
끝이 뾰족하고 길며 자줏빛 무늬가 있는 것을 빈이라 하고 둥글고 짤막한 것을 낭이라 한다.

지금은 그렇게 세분하지 않고 다만 닭의 염통 비슷하면서 바로 세워 놓을 수 있고

속이 비어 있지 않으며 깨뜨릴 때 비단 무늬 같은 것이 나타나면 좋은 것으로 본다.
取尖長者取其快銳速效之意[本草]
뾰족하고 긴 것을 골라 쓰는 것은 빨리 효과를 보기 위한 것이다[본초].
向陽者爲檳峹向陰者爲[大腹子]

性沈有若鐵石之重白者味辛多散氣赤者味苦澁殺盤[入門]
양지 쪽을 향한 것은 빈랑이고 음지 쪽을 향한 것은 대복자(大腹子)이다.

가라앉는 성질이 있고 쇠나 돌같이 무겁다.

빛이 흰 것은 맛이 맵고[辛] 기를 잘 헤치며

벌건 것은 맛이 쓰고[苦] 떫으며[澁] 벌레를 죽인다[입문].
刀刮去底細切急治則生用經火則無力緩治則略炒或醋煮過[入門]
칼로 밑을 긁어 버리고 잘게 썬다.

빨리 효과를 내려면 생것대로 써야 한다.

불에 닦으면 약힘이 없어진다.

효과를 천천히 내려면 약간 닦거나 식초에 삶아서 쓴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梔子][치자]   (0) 2019.08.22
[大腹皮][대복피]   (0) 2019.08.22
[金櫻子][금앵자]   (0) 2019.08.22
[蘇合香][소합향]   (0) 2019.08.21
[降眞香][강진향]   (0) 2019.08.20

[金櫻子][금앵자]


性平溫味酸澁無毒

療脾泄下利止小便利澁精氣止遺精泄精
성질은 평(平)하고 따뜻하며[溫] 맛은 시고 떫으며[酸澁] 독이 없다.
비설(脾泄)로 오는 설사, 오줌이 너무 많이 나가는 것을 낫게 하고

정액이 잘 나오지 못하게 하며 유정과 몽설을 멎게 한다.
其子有刺黃赤色形如小石榴

九月十月半黃熟時採紅熟則却失本性[本草]
열매에는 가시가 있고 노라발간 빛이며 생김새는 작은 석류 비슷하다.
음력 9월, 10월에 절반쯤 누렇게 익었을 때 딴다.

벌겋게 익으면 본래의 약효가 떨어진다[본초].
叢生於籬落山野間類薔薇有刺經霜方紅熟[日用]
울타리 밑이나 산과 들에 떨기로 난다.

장미 비슷하며 가시가 있다.
서리를 맞아야 빨갛게 익는다[일용].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腹皮][대복피]   (0) 2019.08.22
[檳峹][빈랑]   (0) 2019.08.22
[蘇合香][소합향]   (0) 2019.08.21
[降眞香][강진향]   (0) 2019.08.20
[紫檀香][자단향]   (0) 2019.08.20

[蘇合香][소합향]


性溫味甘無毒

主抗惡殺鬼精物溫秇蠱毒去三盤令人無夢櫃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헛것에 들린 것을 없앤다.
온학, 고독을 낫게 하며 3충을 죽이고 가위눌리지 않게 한다.
中天竺出蘇合是諸香汁煎之非自然一物也

今人用如膏油者極芬烈耳[本草]
중인도[中天竺]에서 소합향이 나는데

여러 가지 향기나는 즙을 졸여서 만든 것이지 천연물은 아니다.
지금 사람들이 쓰고 있는 것은 기름 같으며 향기가 아주 세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檳峹][빈랑]   (0) 2019.08.22
[金櫻子][금앵자]   (0) 2019.08.22
[降眞香][강진향]   (0) 2019.08.20
[紫檀香][자단향]   (0) 2019.08.20
[白檀香][백단향]   (0) 2019.08.20

[降眞香][강진향] 


性溫平無毒

天行時氣宅舍怪異燒之抗邪惡之氣
성질은 따뜻하며[溫] 평(平)하고 독이 없다.
돌림열병이 도는 시기, 집안에 괴상한 기운이 있을 때에 피우면 사기와 나쁜 기운을 물리친다.
燒之引鶴降盤旋於上醮星辰度帱燒之功第一[本草]
이것을 태우면 학이 내려와 빙빙 날아다닌다고도 하며

또 피우면 덕을 많이 입는다고 했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櫻子][금앵자]   (0) 2019.08.22
[蘇合香][소합향]   (0) 2019.08.21
[紫檀香][자단향]   (0) 2019.08.20
[白檀香][백단향]   (0) 2019.08.20
[藿香][곽향]   (0) 2019.08.20

[紫檀香][자단향]


性溫味辛無毒

主惡毒風毒囍亂心腹痛中惡鬼氣

一名[紫眞檀][本草]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약독, 풍독, 곽란, 명치 아래가 아픈 것, 중악, 헛것에 들린 것 등을 낫게 한다.
일명 자진단(紫眞檀)이라고도 한다[본초].
我國江原道多有之[俗方]
우리나라에는 강원도에서 많이 난다[속방].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蘇合香][소합향]   (0) 2019.08.21
[降眞香][강진향]   (0) 2019.08.20
[白檀香][백단향]   (0) 2019.08.20
[藿香][곽향]   (0) 2019.08.20
[白膠香][백교향]   (0) 2019.08.20

[白檀香][백단향]  


性溫味辛無毒

消熱腫治腎氣腹痛

又主心腹痛囍亂中惡鬼氣殺盤[本草]
성질은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열로 부은 것을 삭이고 신기로 오는 복통을 낫게 한다.

명치 아래가 아픈 것, 곽란, 중악, 헛것에 들린 것을 낫게 하며 벌레를 죽인다[본초].
樹如檀有黃白紫三種

入手太陰經足少陰經通行陽明經引胃氣上升抑論

諸香動火耗氣非冷氣不舒者不可輕服腦麝芳竄尤甚宜戒之[入門]
나무는 박달나무 비슷한데 노란 것, 흰 것, 자줏빛 나는 것 등 3가지가 있다.

수태음경, 족소음경에 들어가며 양명경에 들어가서 위기(胃氣)를 끌고 올라간다.

모든 향은 다 화(火)를 발동시키고 기를 소모하므로

냉기가 퍼지지 않는 증이 아니면 경솔히 먹지 말아야 한다.

더구나 용뇌와 사향은 향기롭고 뚫고 들어가는 힘이 세므로 특히 삼가해야 한다[입문].
能調氣而淸香引芳香之物上行至極高之分最宜獕橘之屬

佐以薑棗葛根豆埼縮砂益智通行陽明之經[湯液]
기를 고르게 하여서 맑게 하며 향기로워서 방향성 약을 끌고 아주 높은 곳까지 가게도 한다.

등피와 귤껍질(橙橘) 같은 것과 함께 쓰는 것이 가장 좋다.

생강, 대추, 칡뿌리(갈근), 육두구, 사인, 익지인을

좌약으로 쓰면 양명경으로 잘 돌아간다[탕액].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降眞香][강진향]   (0) 2019.08.20
[紫檀香][자단향]   (0) 2019.08.20
[藿香][곽향]   (0) 2019.08.20
[白膠香][백교향]   (0) 2019.08.20
[乳香][유향]   (0) 2019.08.20

[藿香][곽향]


性微溫味辛無毒

療風水毒腫去惡氣止囍亂治脾胃吐逆爲最要之藥[本草]
성질은 약간 따뜻하며[微溫] 맛은 맵고[辛] 독이 없다.

풍수와 독종을 낫게 하며 나쁜 기운을 없애고 곽란을 멎게 하며

비위병으로 오는 구토와 구역질을 낫게 하는 데 가장 필요한 약이다[본초].
入手足太陰經止嘔吐發散風寒爲上[湯液]
수족태음경에 들어가며 토하는 것을 멎게 하고 풍한을 헤치는데 제일 좋은 약이다[탕액].
巔藿虛燥古人乃以合熏香也[本草]
영곽( 藿)은 퍼석퍼석하고 바짝 마르므로 옛사람들이 피우는 향 만드는 데 썼다[본초].
入藥水洗去土梗用葉[入門]
약으로는 물로 씻어 흙과 줄기를 버리고 잎을 쓴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檀香][자단향]   (0) 2019.08.20
[白檀香][백단향]   (0) 2019.08.20
[白膠香][백교향]   (0) 2019.08.20
[乳香][유향]   (0) 2019.08.20
[沈香][침향]   (0) 2019.08.19

[白膠香][백교향 / 소합향나무의 수지 / 단풍나무진] 


性平味辛苦無毒

主温疹風痒齒痛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맵고[辛] 쓰며[苦] 독이 없다.
두드러기, 풍으로 가려운 것, 치통(齒痛) 등을 낫게 한다.
卽楓香脂也

外科要藥也[本草]
즉 풍향지(楓香脂)이다.

외과(外科)에서 쓰는 중요한 약이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檀香][백단향]   (0) 2019.08.20
[藿香][곽향]   (0) 2019.08.20
[乳香][유향]   (0) 2019.08.20
[沈香][침향]   (0) 2019.08.19
[鷄舌香][계설향]   (0) 2019.08.19

[乳香][유향 / 소나무진]


性熱(一云溫)味辛微毒

主風水毒腫去惡氣止心腹痛狟氣療耳聾中風口夝婦人血氣

治諸瘡令內消止大腸泄
성질은 열(熱)하고(따뜻하다[溫]고도 한다) 맛은 매우며[辛] 약간 독이 있다.

풍수와 독종을 치료하며 나쁜 기운을 없애고 명치 아래가 아픈 것과 주기( 氣) 등을 낫게 한다.

귀머거리, 중풍으로 이를 악무는 것, 부인의 혈기증(血氣證)을 낫게 하며

여러 가지 헌데를 속으로 삭게 하고 설사와 이질을 멎게 한다.
生南海波斯國松樹脂也

紫赤如櫻桃者爲上盖薰陸之類也

今人不腹分別通謂乳香爲薰陸香耳
남해와 파사국(波斯國)에서 나는 소나무의 진이다.

자줏빛이며 앵두 같은 것이 제일 좋은 것인데 대개 훈육향 종류이다.

지금 사람들은 구별하지 않고 통틀어 유향을 훈육향(薰陸香)이라 하고 있다.
形如乳頭以粉紅透明者爲上[本草]
생김새가 젖꼭지 같고 분홍색으로 투명한 것이 좋은 것이다[본초].
入藥微炒殺毒得不粘或搗碎紙包席下眠一宿嶽硏用[入門]
약으로는 약간 닦아 독을 빼고 끈적끈적한 것이 없게 해서 쓰거나

짓찧어 종이에 싸서 자리 밑에 깔고 하룻밤 지나 따로 가루내어 쓰기도 한다[입문].
又云以竹葉包浐斗火浐乃硏細用[直指]
또한 참대잎에 싸서 다리미로 다린 다음 아주 보드랍게 갈아서 쓴다고도 한다[직지].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藿香][곽향]   (0) 2019.08.20
[白膠香][백교향]   (0) 2019.08.20
[沈香][침향]   (0) 2019.08.19
[鷄舌香][계설향]   (0) 2019.08.19
[丁香][정향]   (0) 2019.08.19

[沈香][침향 / 침향수지] 


性熱味辛(一云苦)無毒

主風水毒腫去惡氣止心腹痛益精壯陽治冷風麻痺囍亂吐瀉轉筋
성질은 열(熱)하고 맛은 매우며[辛](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풍수(風水)나 독종을 낫게 하며 나쁜 기운을 없애고 명치 끝이 아픈 것을 멎게 한다.

신정을 돕고 성기능을 높이며 냉풍으로 마비된 것,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거나 쥐가 이는 것을 낫게 한다.
生嶺南交廣土人見香木必以刀斫成

坎經年得雨水所漬逐結香其堅黑中實無空心而

沈水者爲[沈香]浮水者爲[煎香]

煎香中形如鷄骨者爲[骨香]

形如馬蹄者爲[馬蹄香]雖沈水而有空心則是[鷄骨]也

燔之極淸烈[本草]
영남과 광동, 광서지방 사람들이 침향나무를 도끼로 찍어 홈타기를 만들어 두면

오랜 세월을 지나는 동안 빗물에 젖으면서 향이 뭉친다.

그것은 굳고 검으며 속이 꼭차서 빈 데가 없고

물에 가라앉은 것을 침향이라 하고 물에 뜨는 것을 전향(煎香)이라 한다.

전향 가운데서 생김새가 닭의 다리뼈처럼 생긴 것은 계골향이라 하고

말발굽처럼 생긴 것을 마제향(馬蹄香)이라 한다.

에 가라앉아도 속이 빈 것은 계골향이다.

불을 붙이면 아주 맑은 향기가 세게 난다[본초].
沈香能養諸氣上而至天下而至泉用爲使[湯液]
침향은 여러 가지 기를 돕는데

위로는 머리끝까지 가고 아래로는 발밑까지 가므로 사약[使]으로 쓰인다[탕액].
入湯磨刺腹入丸散嶽硏極細用[入門]
달이는[湯] 약에는 갈아서 타 먹고

알약이나 가루약에는 따로 보드랍게 가루내어 먹는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膠香][백교향]   (0) 2019.08.20
[乳香][유향]   (0) 2019.08.20
[鷄舌香][계설향]   (0) 2019.08.19
[丁香][정향]   (0) 2019.08.19
[淅核][유핵]   (0) 2019.08.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