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胡桐淚][호동루] 



性大寒味稜苦無毒

主大毒熱心腹煩滿止風熱牙疼療牛馬急黃
성질은 몹시 차며[大寒] 맛은 짜고 쓰며[苦] 독이 없다.
심한 독열로 명치 밑이 답답하고 그득한 것과 풍열로 오는 치통을 낫게 한다.
또 소와 말의 급황병(急黃病)을 낫게 한다.
形似黃礬而堅實有挾爛木者是西域胡桐樹脂也

味苦稜若入水便消
생김새가 황반과 비슷하고 단단하며 속이 비지 않으면서

썩은 나무가 들어 있는 것은 서역의 호동나무진이다.
맛을 쓰고[苦] 짠데 쓴 맛은 물에 들어가면 곧 없어진다.
治口齒爲最要之藥

又爲金銀秬藥能軟一切物[本草]
입과 이빨병에 매우 필요한 약이다.

또한 금과 은을 땜하는 데 쓰기도 한다.
모든 물체를 무르게 하는 작용이 있다[본초].
投少許於醋中便沸者是眞也[本草]
식초에 조금 넣으면 곧 끓는 것이 진짜이다[본초].
岤嵤結核非此不能除[湯液]
나력과 멍울은 이 약이라야 없앨 수 있다[탕액].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猪巔][저령]   (0) 2019.08.27
[松烟墨][송연묵]   (0) 2019.08.27
[紫浙根][자위근]   (0) 2019.08.27
[紫浙莖葉][자위경엽]   (0) 2019.08.27
[紫浙][자위]   (0) 2019.08.27

[紫浙根][자위근 / 자위뿌리]  


治熱風身痒風疹及瘀血帶下[本草]
열풍으로 몸이 가려운 것과 풍진(風疹), 어혈, 대하를 낫게 한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松烟墨][송연묵]   (0) 2019.08.27
[胡桐淚][호동루]   (0) 2019.08.27
[紫浙莖葉][자위경엽]   (0) 2019.08.27
[紫浙][자위]   (0) 2019.08.27
[秦椒][진초]   (0) 2019.08.26

[紫浙莖葉][자위경엽 / 자위줄기와 잎] 


主浔蹶益氣健脚力[本草]
팔다리에 힘이 없어서 쓰지 못하고 싸늘해지는 것을 낫게 한다.
기를 돕고 다리힘을 세게 한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胡桐淚][호동루]   (0) 2019.08.27
[紫浙根][자위근]   (0) 2019.08.27
[紫浙][자위]   (0) 2019.08.27
[秦椒][진초]   (0) 2019.08.26
[椒葉][초엽]   (0) 2019.08.25

[紫浙][자위]   


性微寒味酸(一云甘)無毒

主婦人産乳餘疾崩中琋禮血閉

産後奔血不定及崩中帶下能養血安胎治酒擔熱毒風刺利大小便
성질은 약간 차며[微寒] 맛이 시고[酸](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몸푼 뒤에 깨끗지 못한 것, 붕루, 징가, 월경이 중단된 것 등을 낫게 한다.

또한 몸푼 뒤에 어혈이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것과 붕루대하를 낫게 하며

혈을 보하고 안태시킨다.

주사비와 열독과 풍자(風刺)를 낫게 하며 대소변을 잘 나가게 한다.
一名[凌曨花]在處有之

初作藤蔓生依大木歲久延引至嶺而有花

其花黃赤色夏中乃盛採花乾用[本草]
일명 능롱화라고도 하는데 곳곳에 있다.

처음 덩굴로 뻗으면서 큰 나무에 감겨 의지해 자라는데

오랜 세월을 지나면 나무꼭대기까지 올라가서 꽃이 핀다.

그 꽃은 누르고 붉은 색이다.

여름에 꽃이 활짝 필 때 따서 말려 쓴다[본초].
[凌曨花]治血中痛之要藥也

且補陰甚捷[丹心]
능롱화는 혈병으로 오는 통증을 낫게 하는데 주요하게 쓰는 약이다.

또한 음을 보하는 효능이 아주 빠르다[단심].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浙根][자위근]   (0) 2019.08.27
[紫浙莖葉][자위경엽]   (0) 2019.08.27
[秦椒][진초]   (0) 2019.08.26
[椒葉][초엽]   (0) 2019.08.25
[椒目][초목]   (0) 2019.08.25

[秦椒][진초 / 분지]   


性溫味辛(一云苦)有毒

主大風㴇痺堅齒髮明目療腹中冷痛止痢
성질이 따뜻하며[溫] 맛은 맵고[辛](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있다.
문둥병으로 감각이 아주 없는 것을 낫게 하며

이빨을 든든하게 하고 머리털을 빠지지 않게 한다.
눈을 밝게 하고 냉으로 오는 복통과 이질을 낫게 한다.
秦地所出者故言[秦椒]

樹葉及莖子都似蜀椒但味短實細色黃黑八九月採[本草]
진나라 땅에서 나기 때문에 진초라고 한다.
나무의 잎, 줄기, 열매는 다 조피나무와 비슷한데

다만 맛이 좀 못하고 열매가 잘고 빛이 검누른 색이다.
음력 8-9월에 딴다[본초].
出四川謂之[蜀椒][川椒]出關陝謂之[秦椒][入門]
사천성에서 나는 것을 촉초(蜀椒), 천초(川椒)라 하고

관중, 협서에서 나는 것을 진초(秦椒)라고 한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浙莖葉][자위경엽]   (0) 2019.08.27
[紫浙][자위]   (0) 2019.08.27
[椒葉][초엽]   (0) 2019.08.25
[椒目][초목]   (0) 2019.08.25
[蜀椒][촉초]   (0) 2019.08.25

[椒葉][초엽 / 조피나무잎]


性熱治奔豚伏梁氣及內外腎釣痛幷囍亂轉筋蒸浐之[本草]
성질은 열(熱)하다.
분돈(奔豚), 복량(伏梁) 및 신과 음낭이 켕기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곽란으로 쥐가 이는 때에는 쪄서 찜질한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浙][자위]   (0) 2019.08.27
[秦椒][진초]   (0) 2019.08.26
[椒目][초목]   (0) 2019.08.25
[蜀椒][촉초]   (0) 2019.08.25
[秦皮][진피]   (0) 2019.08.25

[椒目][초목 / 조피열매씨]


性寒味苦無毒(一云小毒)

治十二種水氣能行水利小便治水蠱[本草]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독이 조금 있다고도 한다).
12가지 수종을 낫게 한다.
물을 잘 빠지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수고(水蠱)를 낫게 한다[본초].
此藥只行渗道不行穀道所以下水最速
이 약은 물을 오줌으로만 몰아내고 대변으로는 내보내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물을 내보내는 효과가 제일 빨리 나타난다.
微炒用之[入門]
약간 닦아서[微炒] 쓴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秦椒][진초]   (0) 2019.08.26
[椒葉][초엽]   (0) 2019.08.25
[蜀椒][촉초]   (0) 2019.08.25
[秦皮][진피]   (0) 2019.08.25
[苦茶][고다]   (0) 2019.08.25

[蜀椒][촉초 / 조피열매]


性熱味辛有毒(一云小毒)
溫中主皮膚死肌寒濕痺痛除六府寒冷鬼狟蠱毒

殺盤魚毒除齒痛壯陽止陰汗煖腰膝逐小便下氣
성질은 열(熱)하며 맛은 맵고[辛] 독이 있다(독이 조금 있다고도 한다).
속을 따뜻하게 하며 피부에 죽은 살, 한습비(寒濕痺)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또한 6부에 있는 한랭기운을 없애며 귀주(鬼 ), 고독(蠱毒)을 낫게 하고

벌레독이나 생선독을 없애며 치통을 멈추고 성기능을 높이며 음낭에서 땀나는 것을 멈춘다.
허리와 무릎을 덥게 하며 오줌횟수를 줄이고 기를 내려가게 한다.
在處有之樹高四五尺似茱萸而小有鍼刺葉堅而滑

四月結子無花但生於葉間如小豆顆而圓皮紫赤色
八月採實陰乾一名川椒一名巴椒一名漢椒
곳곳에서 난다.

나무의 높이는 4-5자 된다.
수유나무와 비슷한데 작고 가시가 있으며 잎이 굳고 미끄럽다.
음력 4월에 열매가 열리는데 꽃은 없다.
다만 잎 사이에 팥알 비슷하고 둥근 것이 자란다. 껍질은 자줏빛이다.
음력 8월에 열매를 따서 그늘에서 말린다.
일명 천초(川椒), 파초(巴椒), 한초(漢椒)라고도 한다.
蜀椒皮肉厚腹裏白氣味濃烈凡使須去目及閉口者勿用合口者殺人

微火熬之令汗出乃有勢力沃之取紅末用[本草] 
촉초는 껍질과 살이 두텁고 속이 희며 냄새와 맛이 진하고 세다.
쓸 때는 씨와 벌어지지 않은 것을 버려야 한다.
벌어지지 않은 것은 사람을 죽인다.

약한 불에서 진이 날 정도로 닦은 것이라야 효과가 좋다.
절구에 쓸어 붉은 가루만 골라 쓴다[본초].
酒拌濕蒸入瓮陰乾勿見風[入門]
술에 축축하게 버무려 쪄서 동이에 넣어 그늘에서 말린다.

바람을 쏘이면 안 된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椒葉][초엽]   (0) 2019.08.25
[椒目][초목]   (0) 2019.08.25
[秦皮][진피]   (0) 2019.08.25
[苦茶][고다]   (0) 2019.08.25
[厚朴][후박]   (0) 2019.08.25

[秦皮][진피 / 물푸레나무껍질]


性寒味苦無毒

主肝中久熱兩目赤腫疼痛風淚不止除目中靑次白膜

洗眼益精明目療熱痢婦人帶下小兒癎熱
성질은 차며[寒] 맛은 쓰고[苦] 독이 없다.
간의 오랜 열기로 두 눈에 피가 지고 부으면서 아픈 것과 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계속 흐르는 것을 낫게 하며 눈에 생기는 푸른 예막, 흰 예막을 없앤다.

눈을 씻으면 정기를 보하고 눈을 밝게 한다.
열리(熱痢)와 부인의 대하, 어린이의 열을 겸한 간질을 낫게 한다.
處處有之樹似檀葉細皮有白點而不㵋錯

皮有白點故俗呼爲白桸木二月八月採皮陰乾
곳곳에서 난다.
나무는 박달나무 비슷한데 잎이 가늘고 껍질에 흰 점이 있으며 거칠지 않다.
껍질에 흰 점이 있기 때문에 민간에서는 백심목(白 木)이라고 한다.
음력 2월과 8월에 껍질을 벗겨 그늘에서 말린다.
採皮水漬便碧色書紙看靑色者眞也[本草]
껍질을 물에 담그면 푸른 빛이 되는데

이것으로 종이에 글을 쓰면 푸른 빛으로 보이는 것이 진짜이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椒目][초목]   (0) 2019.08.25
[蜀椒][촉초]   (0) 2019.08.25
[苦茶][고다]   (0) 2019.08.25
[厚朴][후박]   (0) 2019.08.25
[枳殼][지각]   (0) 2019.08.25

[苦茶][고다 / 작설차]


性微寒(一云冷)味甘苦無毒

下氣消宿食淸頭目利小便止消渴令人少睡又解炙炒毒
성질은 약간 차며[微寒](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은 달고[甘] 쓰며[苦] 독이 없다.

기를 내리고 오랜 식체를 삭이며 머리와 눈을 맑게 하고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소갈증을 낫게 하고 잠을 덜 자게 한다.

또한 굽거나 볶아서 먹고 생긴 독을 푼다.
樹小似梔子冬生葉早採爲茶晩採爲茗其名有五一曰茶二曰匩三曰晐四曰茗五曰甶

古人謂其芽爲雀舌麥顆言其至嫩卽臘茶是也採嫩芽搗作餠拄得火良
나무는 작고 산치자나무 비슷한데 겨울에 잎이 난다.

일찍 딴 것은 작설차(茶)이고 늦게 딴 것은 명차(茗)다.

이름은 5가지가 있는데 작설차(茶), 가차( ), 설차( ), 명차(茗) 노차이다.

옛사람들은 차의 싹을 작설(雀舌), 맥과(麥顆)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아주 어린 잎을 말한 것이다. 즉 납다(臘茶)라는 것이 이것이다.

어린 잎을 따서 짓찧어 떡을 만든다.

어느 것이나 불을 거쳐야 좋다.
茗或曰甶葉老者也[本草]
엽차는 노차라고도 하는데 잎이 센 것을 말한다[본초].
入手足厥陰經飮之宜熱冷則聚痰久服去人脂令人瘦[入門]
수족궐음경에 들어가는데 덥게 해서 마시는 것이 좋다. 식혀서 마시면 담이 몰린다.

오랫동안 먹으면 기름이 빠져서 여위게 된다[입문].
蒙山茶性溫治病最好

宜興茶陸安茶東白山茶神華山茶龍井茶間臘茶蜀苦茶寶慶茶

廬山雲霧茶俱以味佳得名
몽산(蒙山)에서 나는 차는 성질이 따뜻하므로[溫] 병을 낫게 하는데 아주 좋다.

의흥차(宜興茶), 육안차(陸安茶), 동백산차(東白山茶), 신화산차(神華山茶),

용정차(龍井茶), 민랍차( 臘茶), 촉고차(蜀苦茶), 보경차(寶慶茶),

여산운무차(廬山雲霧茶) 등이 있는데 다 맛이 좋다는 데서 지어진 이름이다.
一人好食燒鵝不輟醫者謂其必生內癰後卒不病

訪知此人每夜必畆凉茶一椀此其解毒[食物]
군 거위고기(燒鵝)를 먹기 좋아한 어떤 사람에게 의사는

반드시 내옹(內癰)이 생길 것이라고 하였는데 끝내 그 병이 생기지 않았다.

찾아가서 알아본 데 의하면 그 사람은 매일 밤 꼭 식힌 차 한 사발씩을 먹곤 하였는데

이것이 해독(解毒)을 하였던 것이다[식물].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蜀椒][촉초]   (0) 2019.08.25
[秦皮][진피]   (0) 2019.08.25
[厚朴][후박]   (0) 2019.08.25
[枳殼][지각]   (0) 2019.08.25
[枳根皮][지근피]   (0) 2019.08.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