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何首烏][하수오 / 은조롱 / 새박뿌리]  


江原道名온죠롱黃海道名새박불휘
강원도에서는 은조롱이라고 하고 황해도에서는 새박뿌리라 하는데
性平溫味苦澁(一云甘)無毒
主岤嵤消癰腫五痔治積年勞瘦痰癖風虛敗劣
療婦人産後諸疾帶下赤白益血氣壯筋骨塡精髓黑毛髮悅顔色駐顔延年
성질은 평(平)하고 따뜻하며[溫] 맛은 쓰고 떫고[苦澁](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나력, 옹종과 5가지 치질을 낫게 하며 여러 해 된 허로로 여윈 것,
담벽, 풍허(風虛)로 몸이 몹시 상한 것을 낫게 한다.
부인이 몸푼 뒤에 생긴 여러 가지 병과 적백대하를 멎게 한다.
혈기를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정수(精髓)를 보충하며 머리털을 검게 한다.
또 얼굴빛을 좋게 하고 늙지 않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本名[夜交藤] 因何首烏服而得名

此人生而樧弱年老無妻子

一日醉臥田中見一藤兩本異生苗蔓相交釋合三四

心異之遂採根暴乾搗末酒服七日而思人道百日久疾皆愈

十年生數男壽至一百三十歲
원래 이름은 야교등(夜交藤)인데 하수오(何首烏)라는 사람이 먹고 큰 효과를 본 데서

하수오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이 사람은 본래 몸이 약하였고 늙어서는 아내도 자식들도 없었다.
하루는 취해서 밭에 누워 있었는데 한 덩굴에 2줄기가 따로 난 풀의 잎과 줄기가 서너번

서로 감겼다 풀렸다 하는 것이 보였다.
마음에 이상하게 생각되어 마침내 그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려 짓찧은 다음 가루내어

술에 타서 7일 동안 먹었더니 그리운 사람이 있었고 백일이 지나서는 오랜 병들이 다 나았다.
10년 후에는 여러 명의 아들을 낳았고 130살이나 살았다.
蔓紫花黃白葉如薯橅而不光生必相對

根大如拳有赤白二種赤者雄白者雌根形如烏獸山岳之狀者珍也
덩굴은 자줏빛이고 꽃은 황백색이며 잎은 마와 비슷한데 광택은 없으며 반드시 맞대서 난다.

뿌리가 주먹만하여 붉은 빛, 흰빛의 2가지 종류가 있는데 붉은 것은 수컷이고 흰 것은 암컷이다.

뿌리의 생김새가 아름다운 산처럼 생긴 것이 아주 좋은 것이다.
春末夏中初秋候淸明日兼雌雄採之以竹刀或銅刀去皮薄切蒸暴

一名[交藤] 一名[夜合] 一名[九陳藤]

終始勿犯鐵忌食蔥蒜蘿蔔猪羊血無麟魚凡修合藥須雌雄相合喫有驗[本草]
늦은 봄, 초가을에 날씨가 맑은 날에 암컷, 수컷을 다 캐어 참대칼이나 구리칼로

겉껍질을 긁어 버리고 얇게 썰어 쪄서 햇볕에 말린다.

일명 교등(交藤), 야합(夜合), 구진등(九眞藤)이라고도 하는데

이 약을 다룰 때는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쇠를 대지 말아야 한다.

파, 마늘, 무, 돼지피, 양의 피, 비늘없는 생선을 먹지 말아야 한다.

법제하여 약을 쓸 때는 반드시 붉은 빛이 나는 것과

흰 빛이 나는 것을 합하여 먹어야 효과가 있다[본초].
米厹浸一宿切片望乾搗碎如作丸則黑豆汁拌蒸望乾用[入門]  
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조각나게 썰어서 햇볕에 말려 짓찧어 부스러뜨린다.

알약을 지으려면 검정콩(흑두) 달인 물에 버무려 찐 다음 햇볕에 말려서 쓴다[입문].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芭蕉根][파초근]   (0) 2019.08.11
[白頭翁][백두옹]   (0) 2019.08.11
[馬鞭草][마편초]   (0) 2019.08.11
[漬苧汁][지저즙]   (0) 2019.08.09
[苧根][저근]   (0) 2019.08.07

[馬鞭草][마편초]


性凉味辛(一云苦)無毒(一云有毒)

主琋癖血禮久秇破血通月經殺盤良治下部媞[本草]
성질은 서늘하고 맛은 맵고[辛](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독이 있다고도 한다).

징벽( 癖)과 혈가(血 ), 오랜 학질을 낫게 하고 어혈을 헤치며 월경을 잘하게 한다.

충을 죽이며 하부의 익창을 잘 낫게 한다[본초].
似益母而莖圓抽三四穗類鞭痾故以爲名

七月八月採苗日乾[入門]
익모초와 비슷한데 줄기가 둥글며 3-4개의 이삭이 쭉 올라간 것이

채찍 끝과 비슷하기 때문에 마편초라고 한다.

음력 7월, 8월에 싹을 뜯어 햇볕에 말린다[입문].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頭翁][백두옹]   (0) 2019.08.11
[何首烏][하수오]   (0) 2019.08.11
[漬苧汁][지저즙]   (0) 2019.08.09
[苧根][저근]   (0) 2019.08.07
[稀嶰][희렴]   (0) 2019.08.07

[漬苧汁][지저즙 / 모시담갔던 즙]


主消渴熱淋水漬飮[本草]
소갈과 열림을 낫게 하는데 물에 풀어 마신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何首烏][하수오]   (0) 2019.08.11
[馬鞭草][마편초]   (0) 2019.08.11
[苧根][저근]   (0) 2019.08.07
[稀嶰][희렴]   (0) 2019.08.07
[狼毒][낭독]   (0) 2019.08.06

[苧根][저근 / 모시뿌리]  


性寒(一云平)味甘無毒

主小兒赤丹毒腫婦人漏胎下血

産前後心熱煩悶除五淋療天行熱疾大渴大狂椕毒箭蛇盤咬[本草]
성질은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어린이의 적단(赤丹)과 독종(毒腫), 부인의 태루[漏胎]로 하혈하는 것,

산전 산후에 속에 열이 있어서 안타깝게 답답한 것[煩悶]을 낫게 한다.
5림(淋)과 돌림열병[天行熱疾]으로 몹시 갈증이 나고 미쳐 날뛰는 것을 낫게 한다.

독약을 묻힌 화살, 뱀, 벌레에게 상한 데 붙인다[본초].
卽今績布之苧根也

補陰行滯血[丹心]
즉 지금 천을 짜는 모시뿌리이다.

음을 보하고 몰린 피[滯血]를 돌아가게 한다[단심].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馬鞭草][마편초]   (0) 2019.08.11
[漬苧汁][지저즙]   (0) 2019.08.09
[稀嶰][희렴]   (0) 2019.08.07
[狼毒][낭독]   (0) 2019.08.06
[磕蓄][변축]  (0) 2019.08.06

[稀嶰][희렴 / 진득찰]


性寒味苦有小毒

主熱媞煩滿治風痺有服食法(詳見本經)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苦] 조금 독이 있다.
열닉(熱 )으로 속이 답답하고[煩] 그득한[滿] 것을 낫게 하고 풍비(風痺)를 낫게 한다.
먹는 법은 신농본초경에 자세히 씌어 있다.
處處有之一名[火窪草]氣如猪簽氣經蒸暴則散

五月五日六月六日九月九日採莖葉暴乾[本草]
곳곳에 있는데 일명 화험초라고도 하며 냄새가 도꼬마리의 냄새 비슷한데

쪄서 말리게[蒸暴] 되면 날아간다[散].
음력 5월, 6월, 9월에 줄기와 잎을 베어 햇볕에 말린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漬苧汁][지저즙]   (0) 2019.08.09
[苧根][저근]   (0) 2019.08.07
[狼毒][낭독]   (0) 2019.08.06
[磕蓄][변축]  (0) 2019.08.06
[菰根][고근]  (0) 2019.08.06

[狼毒][낭독 / 오독도기]


性平味辛(一云苦辛)有大毒

破積聚琋癖痰飮殺鬼精蠱毒及飛禽走獸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매우며[辛](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많다.
적취(積聚), 징벽( 癖), 담음을 삭이고 귀정(鬼精) 및 고독과 새와 짐승의 독을 없앤다.
生山谷葉似商陸及大黃莖葉上有毛
四月開花八月結實根皮黃肉白二月八月採根陰乾
以陳而沈水者爲良火乾用[本草]
산골짜기에서 자라는데 잎은 자리공(상륙)이나 대황과 비슷하고 줄기와 잎에는 털이 있다.
음력 4월에 꽃이 피고 8월에 씨가 앉으며 뿌리의 껍질은 누르고 살은 희다.
음력 2월, 8월에 뿌리를 캐 그늘에서 말린다.
묵은 것으로서 물에 가라앉는 것이 좋다.
불에 싸서 구워 쓴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苧根][저근]   (0) 2019.08.07
[稀嶰][희렴]   (0) 2019.08.07
[磕蓄][변축]  (0) 2019.08.06
[菰根][고근]  (0) 2019.08.06
[酸摸][산막]   (0) 2019.08.06

[磕蓄][변축 / 마디풀]


性平味苦(一云甘)無毒

主浸淫疥瘙疽痔殺三盤療蛔痛除熱淋通小便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퍼진 옴, 가려운 증, 옹저, 치질을 낫게 하고 3충을 죽인다.

회충을 없애고 열림을 낫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處處有之苗似罌麥葉細綠如竹花生節間甚微細五月採陰乾[本草]
곳곳에 있는데 싹은 패랭이꽃(구맥)과 비슷하고 잎은 풀빛이고 대잎 비슷하며 가늘다.

마디짬에 꽃이 피는데 아주 잘다.

음력 5월에 뜯어 그늘에서 말린다[본초].
主大小便不通生水邊間紫花者爲佳搗取汁服經驗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데 쓴다.

물가에서 자라며 자줏빛 꽃이 피는 것이 좋다.

짓찧어 즙을 내어 먹는다[경험].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稀嶰][희렴]   (0) 2019.08.07
[狼毒][낭독]   (0) 2019.08.06
[菰根][고근]  (0) 2019.08.06
[酸摸][산막]   (0) 2019.08.06
[羊蹄葉][양제엽]   (0) 2019.08.06

[菰根][고근 / 줄풀뿌리]


性大寒味甘無毒

主腸胃痼熱止消渴

除目黃利大小便主熱痢療酒擔面赤然滑中不可多食
성질은 몹시 차고[大寒]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장위(腸胃)에 고질이 된 열을 내리고 소갈을 멎게 한다.

눈이 노란 것을 낫게 하고 대소변을 잘나가게 하며 열리(熱痢)를 멎게 하고

주사비[酒 ]와 낯이 붉은 것을 낫게 한다.

그러나 속을 훑어내리므로 많이 먹지 말아야 한다.
生水中葉如蔗荻久服盤厚夏月生苗堪食 名[菰菜]

三年已上中心生白壹如藕白軟堪啖 名[菰首]

至秋結實乃彫胡米可作飯[本草]
물 속에서 자라는데 잎이 사탕수수와 비슷하고 오랜 뿌리가 서려서 굵다.

여름에 순이 나오는데 먹을 수 있으며 이것을 고채(菰菜)라고 한다.

3년 이상 된 것은 중심에서 연뿌리 비슷한 흰 밑이 나오는데 희고 연하며 먹을 만하다.

이것을 고수(菰首)라고 한다.

가을이 되어 씨가 맺히는 것을 조호미(彫胡米)라 하며 밥을 지을 수 있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狼毒][낭독]   (0) 2019.08.06
[磕蓄][변축]  (0) 2019.08.06
[酸摸][산막]   (0) 2019.08.06
[羊蹄葉][양제엽]   (0) 2019.08.06
[羊蹄實][양제실]  (0) 2019.08.06

[酸摸][산막]


性凉味酸無毒
治小兒壯熱折其英可生食之或取汁
似羊蹄而細味酸可食[本草]
성질은 서늘하고 맛은 시며[酸] 독이 없다.
어린이가 열이 세게 나는 것을 내린다.
그 순을 꺾어서 생것을 먹거나 즙을 내어 먹는다.
소리쟁이 뿌리와 비슷한데 가늘며 맛은 시다. 먹을 수 있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磕蓄][변축]  (0) 2019.08.06
[菰根][고근]  (0) 2019.08.06
[羊蹄葉][양제엽]   (0) 2019.08.06
[羊蹄實][양제실]  (0) 2019.08.06
[羊蹄根][양제근]   (0) 2019.08.03

[羊蹄葉][양제엽 / 소리쟁이잎]


治小兒疳盤可作菜食之[本草]
어린이의 감충(疳蟲)을 없앤다.
나물을 만들어 먹는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菰根][고근]  (0) 2019.08.06
[酸摸][산막]   (0) 2019.08.06
[羊蹄實][양제실]  (0) 2019.08.06
[羊蹄根][양제근]   (0) 2019.08.03
[鬼臼][귀구]   (0) 2019.08.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