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連翹][연교 / 개나리 열매]


性平味苦無毒

主岤嵤癰腫惡瘡櫬瘤結熱蠱毒排膿治瘡癤止痛療五淋小便不通除心家客熱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나력, 옹종, 악창, 영류( 瘤)와 열이 뭉친 것,

고독을 낫게 하며 고름을 빨아내고[排] 창절(瘡癤)을 낫게 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5림과 오줌이 막힌 것을 낫게 하고 심에 열이 있는 것을 없앤다.
葉似水蘇莖赤色高三四尺花黃可愛秋結實作房剖之中解瀮乾便落不着莖

在處有之但樹老乃有子故難得其實片片相比如翹故以爲名[本草]
잎은 계소(水蘇)와 같고 줄기는 붉으며 높이는 3-4자이고 꽃은 누르며 아주 귀엽게 생겼다.

가을에 깍지가 있는 열매가 달리는데 쪼개면 속이 벌어지고 조금만 마르면 곧 떨어져서

줄기에 붙어 있지 않는다.

곳곳에 있는데 나무가 늙어야 열매가 달리기 때문에 구하기 어렵다.

열매는 조각져서 서로 나란히 있어 깃과 같기 때문에 연교라 한 것이다[본초].
手足少陽陽明經藥也

入手少陰經去瓣用之瘡瘻癰腫不可缺也[入門]
수족소양경과 양명경의 약이며 소음경으로 들어간다.

속을 버리고 쓴다.

누창[瘻]과 옹종 때 없어서는 안 되는 약이다[입문].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嵌茹][여여]   (0) 2019.08.11
[續隨子][속수자]   (0) 2019.08.11
[骨碎補][골쇄보]   (0) 2019.08.11
[劉寄奴草][유기노초]   (0) 2019.08.11
[馬兜鈴根][마두령근]   (0) 2019.08.11

[骨碎補][골쇄보]


性溫(一云平)味苦無毒

主破血止血補折傷治惡瘡蝕爛殺盤
성질은 따뜻하고[溫](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어혈을 헤치고 피를 멈추며 부러진 것을 이어지게 하고

악창이 썩어 들어가는 것을 낫게 하고 충을 죽인다.
如薑細長用之削去毛細切蜜水蒸望用[本草]
생강과 비슷한데 가늘고 길다.

쓸 때에 털을 뜯어 버리고 잘게 썰어 꿀물에 축여 쪄서 말려 쓴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續隨子][속수자]   (0) 2019.08.11
[連翹][연교]   (0) 2019.08.11
[劉寄奴草][유기노초]   (0) 2019.08.11
[馬兜鈴根][마두령근]   (0) 2019.08.11
[馬兜鈴][마두령]   (0) 2019.08.11

[劉寄奴草][유기노초]


性溫味苦無毒

主破血下脹通婦人經怴琋結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어혈을 헤치고 창만을 내리며 월경을 잘하게 하고 징결( 結)을 풀리게 한다.
苗莖似艾蒿葉靑似柳莖有四稜開小黃白花結實似黍而細蒿之類也

七月八月採日乾[本草]
싹과 줄기는 약쑥(애엽) 비슷하고 잎은 푸르러 버들과 비슷하며

줄기는 네모가 나고 누르고 흰 색의 작은 꽃이 피며 기장과 비슷한 열매가 달린다.

작은 쑥 종류이다.

음력 7월, 8월에 캐어 햇볕에 말린다[본초].
宋高祖劉裕少名寄奴用此治金瘡出血如神故爲名[入門]
송(宋)나라 고조(高祖) 유유(劉裕)가 어릴 때 이름이 기노(寄奴)였는데

그가 쇠붙이에 다쳐 출혈을 이 풀로 치료하여 신기하게 나았에 유기노라 한 것이다[입문].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連翹][연교]   (0) 2019.08.11
[骨碎補][골쇄보]   (0) 2019.08.11
[馬兜鈴根][마두령근]   (0) 2019.08.11
[馬兜鈴][마두령]   (0) 2019.08.11
[蘆花][노화]   (0) 2019.08.11

[馬兜鈴根][마두령근 / 마두령뿌리] 


治血痔瘻瘡形似木香小指大赤黃色

名[土靑木香] 又名[獨行根] 三月採根灸用[本草]
혈치(血痔)와 누창(瘻瘡)을 낫게 한다.
생김새가 목향과 비슷하며 새끼 손가락만치 크고 붉고 누른 색이다.
이름을 토청목향(土靑木香)이라고 하며 또 독행근(獨行根)이라고도 한다.
음력 3월에 뿌리를 캐 구워 쓴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骨碎補][골쇄보]   (0) 2019.08.11
[劉寄奴草][유기노초]   (0) 2019.08.11
[馬兜鈴][마두령]   (0) 2019.08.11
[蘆花][노화]   (0) 2019.08.11
[蘆根][노근]   (0) 2019.08.11

[馬兜鈴][마두령 / 쥐방울]


性寒(一云平)味苦無毒

主肺熱咳嗽喘急淸肺下氣
성질은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 독이 없다.
폐에 열이 있어서 기침하고 숨찬 것을 낫게 하고 폐를 시원하게 하며 기를 내린다.
處處有之藤繞樹而生子狀如鈴

作四五瓣葉脫時鈴尙垂如[馬項鈴]

故得名熟則自折八九月間採實暴乾
곳곳에 있는데 덩굴이 나무에 감겨 뻗어 나가며 씨의 생김새는 방울 같다.
4-5쪽으로 갈라졌고 잎이 떨어진 다음에도 방울은 드리워

말의 목에 단 방울과 같기 때문에 마두령이라 한 것이다.
익으면 저절로 터진다.
음력 8월-9월 사이에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只取離面子去殼及革膜微炒用[本草]
다만 속에 있는 씨만 받고 껍질과 속꺼풀은 버리며 약간 닦아서 쓴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劉寄奴草][유기노초]   (0) 2019.08.11
[馬兜鈴根][마두령근]   (0) 2019.08.11
[蘆花][노화]   (0) 2019.08.11
[蘆根][노근]   (0) 2019.08.11
[芭蕉油][파초유]   (0) 2019.08.11

[蘆花][노화 / 갈대꽃]


名蓬婉生囍亂大善煮汁服[本草]
이름을 봉농(蓬婉)이라고 한다.
곽란을 잘 낫게 한다. 달여서 물을 먹는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馬兜鈴根][마두령근]   (0) 2019.08.11
[馬兜鈴][마두령]   (0) 2019.08.11
[蘆根][노근]   (0) 2019.08.11
[芭蕉油][파초유]   (0) 2019.08.11
[芭蕉根][파초근]   (0) 2019.08.11

[蘆根][노근 / 갈뿌리]  


性寒味甘無毒主消渴客熱開胃治漴籖療孕婦心熱及痢渴
성질은 차고[寒]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소갈과 외감열[客熱]을 낫게 하고 음식맛이 나게 하며 목이 메는 것,

딸꾹질하는 것을 멎게 한다.
임신부의 심열과 이질, 갈증을 낫게 한다.
生水中葉似竹花白葦比蘆差大蘆與葦皆可通用
물 속에서 자라는데 잎은 참대(竹花)와 비슷하고 꽃은 희다.
큰 갈대는 잔 갈대보다 좀 큰데 큰 갈대나 잔 갈대나 같이 쓴다.
凡使須要逆水蘆其根逆水生者

又云當拯取水底甘辛者其露出浮水者不堪用[本草]
약에 쓸 때에는 역수로(逆水蘆)가 좋은데 이것은 뿌리가 물이 흐르는 방향과 반대로 난 것이다.
또한 물 밑에 들어 있는 달고 매운 것을 쓰고 뿌리가 드러나 물에 뜬 것은 쓰지 못한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馬兜鈴][마두령]   (0) 2019.08.11
[蘆花][노화]   (0) 2019.08.11
[芭蕉油][파초유]   (0) 2019.08.11
[芭蕉根][파초근]   (0) 2019.08.11
[白頭翁][백두옹]   (0) 2019.08.11

[芭蕉油][파초유 / 파초진]


治頭風髮落及湯火瘡

又治風癎涎暈欲倒飮之卽吐便差
두풍으로 머리털이 빠지는 것과 끓는 물이나 불에 덴 것을 낫게 한다.
또 풍간(風癎)으로 거품을 물면서 아찔해서 넘어지려고 하는 데 마시면 곧 토하고 이내 낫는다.
以竹筒揷皮中如取漆法[本草]   
대롱을 껍질 속에 꽂아 놓고 옻을 내는 법과 같이 진을 받는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蘆花][노화]   (0) 2019.08.11
[蘆根][노근]   (0) 2019.08.11
[芭蕉根][파초근]   (0) 2019.08.11
[白頭翁][백두옹]   (0) 2019.08.11
[何首烏][하수오]   (0) 2019.08.11

[芭蕉根][파초근 / 파초뿌리]


性寒味甘無毒

治天行熱狂煩悶消渴取汁服
성질은 차고[寒]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돌림열병으로 미쳐 날뛰고 안타깝게 답답해 하는 것[煩悶]과 소갈을 낫게 한다.
즙을 내어 마신다.
人家種植之亦付腫毒幷髮落塗之[本草]
집 근처에 심는다.
또한 종독에 붙이고 겸하여 머리털 빠진 데 바른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蘆根][노근]   (0) 2019.08.11
[芭蕉油][파초유]   (0) 2019.08.11
[白頭翁][백두옹]   (0) 2019.08.11
[何首烏][하수오]   (0) 2019.08.11
[馬鞭草][마편초]   (0) 2019.08.11

[白頭翁][백두옹 / 할미꽃뿌리]  


性寒味苦有小毒

主赤毒痢及血痢治項下瘤嵤消贅子療頭癩
성질은 차고[寒] 맛은 쓰며[苦] 조금 독이 있다.

적독리(赤毒痢)와 혈리(血痢)에 많이 쓰며 목에 생긴 영류, 나력을 낫게 하며

사마귀를 없애고 머리가 헌것을 낫게 한다.
一名[胡王使者]處處有之其苗有風則靜無風自搖與赤箭獨活同
일명 호왕사자(胡王使者)라고도 하는데 곳곳에 있다.

그 싹은 바람이 불면 가만히 있고 바람이 불지 않으면

움직이는 것이 천마싹(赤箭)이나 따두릅(독활)과 같다.
莖端有白細毛寸餘披下如白頭老翁故以爲名八月採根暴乾[本草]
줄기 끝에 1치 남짓한 희고 가는 털이 있어 흩어져 드리운 것이 마치

할아버지의 흰 머리털과 비슷하기 때문에 백두옹이라 한 것이다.

음력 8월에 뿌리를 캐 햇볕에 말린다[본초].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芭蕉油][파초유]   (0) 2019.08.11
[芭蕉根][파초근]   (0) 2019.08.11
[何首烏][하수오]   (0) 2019.08.11
[馬鞭草][마편초]   (0) 2019.08.11
[漬苧汁][지저즙]   (0) 2019.08.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