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酸棗仁][산조인 / 메대추씨]


性平味甘無毒

主煩心不得眠臍上下痛血泄虛汗

益肝氣堅筋骨令人肥健又主筋骨風
성질은 평(平)하며 맛이 달고[甘] 독이 없다.

속이 답답하여 잠을 자지 못하는 증, 배꼽의 위아래[上下]가 아픈 것,

피가 섞인 설사, 식은땀 등을 낫게 한다.

또한 간기(肝氣)를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몸을 살찌게 하고 든든하게 한다.

또 힘줄과 뼈의 풍증을 낫게 한다.
生山中狀如大棗樹而不至高大其實極小八月採實取核[本草]
산에서 자란다.

생김새는 대추나무 같은데 그렇게 크지는 못하다.

열매는 아주 작다.

음력 8월에 열매를 따서 씨를 빼서 쓴다[본초].
血不歸脾而睡臥不寧者宜用此大補心脾

則血歸脾而五藏安和睡臥自安矣凡使破核

取仁睡多則生用不得睡則炒熟再蒸半日去皮尖硏用[入門]
혈(血)이 비(脾)에 잘 돌아오지 못하여 잠을 편안히 자지 못할 때에는

이것을 써서 심과 비를 크게 보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혈이 비에 잘 돌아오게 되고 5장이 편안해져서 잠도 잘 잘 수 있게 된다.

쓸 때에는 씨를 깨뜨려 알맹이를 쓴다.

잠이 많으면 생것대로 쓰고 잠이 안 오면 닦아 익힌[炒熱] 다음 다시 한나절 가량

쪄서 꺼풀과 끝을 버리고 갈아서 쓴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蘗根][황벽근]   (0) 2019.08.15
[黃蘗][황벽]   (0) 2019.08.15
[楡皮][유피]   (0) 2019.08.15
[琥珀][호박]   (0) 2019.08.15
[茯神][복신]   (0) 2019.08.15

[楡皮][유피 / 느릅나무껍질]


性平味甘無毒

性滑利主大小便不通利水道除腸胃邪熱消浮腫利五淋治不眠療糞
성질은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잘 나가게 하는 작용도 있기 때문에 대소변이 통하지 못하는 병에 주로 쓰인다.
오줌을 잘 나가게 하고 장위의 사열[腸胃邪熱]을 없애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5림을 풀리게[利] 하며 불면증, 후합증을 낫게 한다.
生山中處處有之二月採皮取白暴

乾三月採實作醬食甚香美[本草]
산 속 곳곳에 있으며 음력 2월에 뿌리를 캐서 속껍질만을 벗겨 햇볕에 말려서 쓴다.
3월에 열매를 따서 장을 담가 먹으면 아주 향기롭고 맛있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蘗][황벽]   (0) 2019.08.15
[酸棗仁][산조인]  (0) 2019.08.15
[琥珀][호박]   (0) 2019.08.15
[茯神][복신]   (0) 2019.08.15
[茯巔][복령]   (0) 2019.08.15

[琥珀][호박]


性平味甘無毒

安五藏定魂魄般精魅邪鬼治産後血疹通利水道通五淋明目膚次
성질이 평(平)하고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5장을 편안하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헛것에 들린 것을 낫게 한다.

몸푼 뒤에 궂은 피로 꽃돋이가 생기면서 아픈 것을 낫게 한다.

오줌을 잘 나가게 하며 5림을 낫게 하고 눈을 밝게 하며 눈의 예막을 없앤다.
如血色熟於布上拭摩吸得芥者爲眞凡用嶽搗如粉重篩用[本草]
피 같은 색이고 천에 세게 비벼 대서 지푸라기가 들어 붙는 것이 진품이다.

쓸 때는 따로 분처럼 가루내어 다시 채로 쳐서 쓴다[본초].
茯巔琥珀皆自松出而所稟各異

茯巔生成於陰琥珀生於陽而成於陰故皆治榮而安心利水[入門]
솔풍령과 호박은 다 소나무에서 나는데 성질은 서로 다르다.

솔풍령은 음(陰)에서 나서 음에서 자라고 호박은 양(陽)에서 나서 음에서 자란다.

그렇기 때문에 다 영(榮)을 고르게 하고 심을 편안하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酸棗仁][산조인]  (0) 2019.08.15
[楡皮][유피]   (0) 2019.08.15
[茯神][복신]   (0) 2019.08.15
[茯巔][복령]   (0) 2019.08.15
[栢白皮][백백피]   (0) 2019.08.15

[茯神][복신]


性平味甘無毒

療風眩風虛止驚悸治健忘開心益智安魂魄養精神安神定志主驚癎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풍현(風眩)과 풍허증을 치료하고 경계증과 건망증을 낫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머리를 좋게 하며 혼백을 편안히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마음을 진정시킨다.

주로 경간(驚癎)을 낫게 한다.
茯巔乃採斫訖多年松根之氣所生盖其氣味壹鬱未絶

故爲是物其津氣盛者方發泄於外結爲茯巔雖

有津氣而不甚盛止能結伏於本根故曰[茯神][本草]
솔풍령은 찍은 지 여러 해 된 소나무뿌리의 기운으로 생겨 나는 것인데

대체로 그 기운이 몰려 있으면서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되는 것이다.

그 진이 차고 넘쳐 뿌리 밖으로 새어나가 뭉친 것이 솔풍령으로 된다.

진이 있기는 해도 그다지 차고 넘치지 못하면 다만 나무뿌리에 맺혀 있기만 하기 때문에

이것을 복신이라 한다[본초].
松木斫不再抽芽其根不死津液下流故生茯巔茯神因用治心神通津液[入門]
소나무는 찍으면 다시 싹이 못 나오나 그 뿌리는 죽지 않고

진이 아래로 흘러내리게 되기 때문에 솔풍령과 복신이 생긴다.

그러므로 솔풍령과 복신을 써서 심(心)과 신(神)의 기능을 좋게 하고

진액을 잘 통하게 한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楡皮][유피]   (0) 2019.08.15
[琥珀][호박]   (0) 2019.08.15
[茯巔][복령]   (0) 2019.08.15
[栢白皮][백백피]   (0) 2019.08.15
[栢葉][백엽]   (0) 2019.08.15

[茯巔][복령 / 솔풍령]


性平味甘無毒

開胃止嘔逆善安心神主肺浔痰壅伐腎邪利小便下

水腫淋結止消渴療健忘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입맛을 돋구고 구역을 멈추며 마음과 정신을 안정하게 한다.

폐위(肺 )로 담이 막힌 것을 낫게 하며 신(腎)에 있는 사기를 몰아내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수종(水腫)과 임병(淋病)으로 오줌이 막힌 것을 잘 나가게 하며

소갈을 멈추고 건망증[健忘]을 낫게 한다.
仙經服食亦爲至要云其通神而致靈和魂而鍊魄明竅而益肌厚腸而開心

調榮而理胃上品仙藥也善能斷穀不飢
선경에서는 음식 대신 먹어도 좋다고 하였다.

이 약은 정신을 맑게 하고 혼백을 안정시키며 9규를 잘 통하게 하며 살을 찌게 하고

대소장을 좋게 하며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또 영기(榮氣)를 고르게 하고 위(胃)를 좋게 하므로[理] 제일 좋은 약이며

곡식을 안 먹어도 배고프지 않다고 하였다.
生山中處處有之松脂入地千歲爲茯巔其抱根而輕虛者爲茯神

二月八月採皆陰乾大如三四升器外皮黑細皺內堅白形如鳥獸龜鱉者良[本草]
산 속의 곳곳에 있다.

송진이 땅에 들어가 천년 지나서 솔풍령이 된다.

소나무뿌리를 싸고 있으면서 가볍고 퍼석퍼석한 것은 복신(茯神)이다.

음력 2월과 8월에 캐서 다 그늘에서 말린다.

크기가 3-4되가 되며 껍질이 검고 가는 주름이 있으며 속은 굳고 희며

생김새가 새, 짐승, 거북, 자라 같은 것이 좋다[본초].
有白赤二種白者入手太陰經足太陽經足少陽經赤者入足太陰經手太陽經少陰經

又云色白者入壬癸色赤者入丙丁[湯液] 
흰 것, 벌건 것 등 두 종류가 있는데 흰 것은 수태음경, 족태양경, 족소양경에 들어가고

벌건 것은 족태음경, 수태양경, 소음경에 들어간다.

또한 빛이 흰 것은 신수[壬癸]로 들어가고 빛이 벌건 것은 심화[丙丁]로 들어간다[탕액].
白色者補赤色者瀉[本草]
빛이 흰 것은 보하고 빛이 벌건 것은 사한다[본초].
凡用去皮爲末水飛浮去赤膜望乾用免致損目陰虛人勿用[入門]
쓸 때에 껍질을 벗기고 가루내서 수비(水飛)하여 물 위에 뜨는 잡질을 버리고 햇볕에 말려 쓴다. 이렇게 해서 써야 눈이 상하지 않는다.

음이 허한 사람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琥珀][호박]   (0) 2019.08.15
[茯神][복신]   (0) 2019.08.15
[栢白皮][백백피]   (0) 2019.08.15
[栢葉][백엽]   (0) 2019.08.15
[栢實][백실]   (0) 2019.08.15

[栢白皮][백백피 / 측백나무속껍질] 

 
主火灼爛瘡長毛髮[本草]
불에 데서 물크러진 것을 낫게 하며 머리털을 자라게 한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茯神][복신]   (0) 2019.08.15
[茯巔][복령]   (0) 2019.08.15
[栢葉][백엽]   (0) 2019.08.15
[栢實][백실]   (0) 2019.08.15
[地骨皮][지골피]   (0) 2019.08.15

[栢葉][백엽 / 측백잎] 


味苦辛性澁
皆側向而生
主吐血婼血痢血補陰之要藥
四時各依方而採陰乾入藥蒸用[本草]
맛은 쓰고[苦] 매우며[辛] 성질은 떫다[澁].
다 옆으로 향하여 난다.
피를 토하는 것, 코피, 혈리(血痢)를 낫게 하며 음(陰)을 보하는 중요한 약이다.
사시절에 각각 제철 방위에 맞는 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다.
약에 넣을 때에는 쪄서 쓴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茯巔][복령]   (0) 2019.08.15
[栢白皮][백백피]   (0) 2019.08.15
[栢實][백실]   (0) 2019.08.15
[地骨皮][지골피]   (0) 2019.08.15
[枸杞子][구기자]   (0) 2019.08.15

[栢實][백실 / 측백씨] 


性平味甘無毒

主驚悸安五藏益氣治風潤皮膚除風濕痺虛損吸吸興陽道益壽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경계증을 낫게 하며 5장을 편안하게 하고 기운을 돕는다.

풍증을 낫게 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풍습비와 허손으로 숨을 겨우 쉬는 것을 낫게 한다.

음경을 일어서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此側葉子也九月結子候成熟收採蒸乾去殼用[本草]
이것은 측백나무씨(側葉子)인데 음력 9월 열매가 익은 다음에

따 쪄서 말려 껍질을 버리고 쓴다[본초].
令人潤澤美顔色耳目聰明則澤腎之藥也[湯液]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얼굴을 곱게 하고 귀와 눈을 밝게 하며

신을 충실하게 하는 약[澤腎之藥]이다[탕액].
萬木向陽惟栢西向故字從白稟

金之正氣木之最堅者實去殼取仁微炒去油用[入門]
모든 나무가 다 양지 쪽을 향하는데 측백나무만은 서쪽으로 향하기 때문에

흰 ‘백(白)’자를 따서 글자를 만든 것이다.

금(金)의 정기를 받았기 때문에 나무 가운데서 제일 굳다.

열매껍질을 버리고 알맹이만 골라서 약간 닦아 기름을 빼고 쓴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栢白皮][백백피]   (0) 2019.08.15
[栢葉][백엽]   (0) 2019.08.15
[地骨皮][지골피]   (0) 2019.08.15
[枸杞子][구기자]   (0) 2019.08.15
[塊花][괴화]   (0) 2019.08.15

[地骨皮][지골피 / 구기자 뿌리 껍지]


入足少陰經手少陽經治有汗骨蒸善解肌熱[湯液] 
족소음경과 수소양경에 들어가서 땀이 나는 골증열[骨蒸]을 낫게 한다.
피부의 열을 잘 풀리게[解] 한다[탕액].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栢葉][백엽]   (0) 2019.08.15
[栢實][백실]   (0) 2019.08.15
[枸杞子][구기자]   (0) 2019.08.15
[塊花][괴화]   (0) 2019.08.15
[塊膠][괴교]   (0) 2019.08.15

[枸杞子][구기자]


性寒(一云平)味苦(一云甘)無毒

補內傷大勞噓吸堅筋骨强陰療五勞七傷

補益精氣易顔色變白明目安神令人長壽
성질은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내상으로 몹시 피로하고 숨쉬기도 힘든 것을 보하며

힘줄과 뼈를 든든하게 하고 양기를 세게 하며 5로 7상을 낫게 한다.

정기를 보하며 얼굴빛을 젊어지게 하고 흰머리를 검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오래 살 수 있게 한다.
一名[地仙]  一名[仙人杖]

處處有之春夏採葉秋採莖實久服之皆輕身益氣
일명 지선(地仙) 또는 선인장(仙人杖)이라고도 한다.

곳곳에 있는데 봄과 여름에는 잎을 따고 가을에는 줄기와 열매를 딴다.

오래 먹으면 다 몸을 가볍게 하고 기운을 나게 한다.
嫩葉作羹茹食之甚佳色白無刺者良
어린 잎(嫩葉)으로 국이나 나물을 만들어 먹으면 아주 좋다.

빛이 희고 가시가 없는 것이 좋다.
莖名[枸杞] 根名[地骨] 枸杞當用梗皮地骨當用根皮

[枸杞子]當用其紅實是

一物有三用其梗皮寒根皮大寒子微寒性亦三等
줄기는 구기(枸杞), 뿌리는 지골(地骨)이라 하는데

구기라 하면 줄기의 껍질을 써야 하고 지골이라 하면 뿌리의 껍질을 써야 한다.

그리고 구기자라 하면 그의 벌건 열매를 써야 한다.

이것은 한 식물에서 쓰는 부분이 3가지라는 뜻이다.

그 줄기껍질은 성질이 차고[寒] 뿌리 껍질은 몹시 차며[大寒]

구기자는 약간 차므로[微寒] 성질도 역시 3가지이다.
陜西枸杞子如櫻桃全少核極有味[本草]   
섬서(陝西) 지방의 구기자는 앵두(櫻桃) 같으면서 씨가 아주 적어 맛이 매우 좋다[본초].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栢實][백실]   (0) 2019.08.15
[地骨皮][지골피]   (0) 2019.08.15
[塊花][괴화]   (0) 2019.08.15
[塊膠][괴교]   (0) 2019.08.15
[塊白皮][괴백피]   (0) 2019.08.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