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艾葉][애엽/약쑥]

使婦人有胎 又能安胎 止腹痛.

胎漏 生艾汁2盞 阿膠 白蜜各80g煎至半服之,

又治胎動不安 或腰痛下血不止,

艾葉20g 以酒煮服 醋煮亦良(本草).

임신이 되게 하며 또는 태아를 편안하게 하고 복통을 멎게 한다.

태루에는 생약쑥즙 2, 갖풀(아교), (봉밀) 각각 80g을 함께 넣고 달여 절반이 되면 먹는다.

또는 태동(胎動)이 되어 불안하거나 허리가 아프고 하혈이 계속되는 데는 약쑥 20g을 술에 달여 먹는다.

식초에 달여 먹어도 좋다[본초].

'[雜病篇] > [婦人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紅花][홍화/잇꽃]  (0) 2022.09.18
[黃芩][황금/속썩은풀]  (0) 2022.09.17
[芍藥][작약/집함박꽃뿌리]  (0) 2022.09.15
[當歸][당귀]  (0) 2022.09.14
[蒲黃][포황]  (0) 2022.09.13

[芍藥][작약/집함박꽃뿌리]

主婦人諸疾 幷産前後諸病,

又治血虛腹痛 酒水煎服(本草).

여러 가지 부인병과 산전 산후의 온갖 병을 치료한다.

또는 혈허(血虛)하여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에 물과 술을 두고 달여 먹는다[본초].

'[雜病篇] > [婦人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芩][황금/속썩은풀]  (0) 2022.09.17
[艾葉][애엽/약쑥]  (0) 2022.09.16
[當歸][당귀]  (0) 2022.09.14
[蒲黃][포황]  (0) 2022.09.13
[茺蔚][충울]  (0) 2022.09.12

[當歸][당귀]

治婦人百病 又治産後腹痛,

當歸末12g,水煎服 名, 獨聖湯(良方).

부인의 여러 가지 병과 해산 후의 복통을 치료한다.

당귀가루 12g을 물에 달여 먹는데 독성탕(獨聖湯)이라고도 한다[양방].

血刺痛 用當歸 乃和血之藥,

若血積刺痛 宜用 桃仁 紅花 當歸頭(丹心).

궂은 피로 찌르는 듯이 아픈 데는 당귀를 쓴다.

이것은 혈을 고르게 하는 약이기 때문이다.

만일 혈적(血積)으로 쑤시는 것처럼 아플 때에는

복숭아씨(도인), 잇꽃(홍화), 당귀(대가리)를 쓴다[단심].

'[雜病篇] > [婦人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艾葉][애엽/약쑥]  (0) 2022.09.16
[芍藥][작약/집함박꽃뿌리]  (0) 2022.09.15
[蒲黃][포황]  (0) 2022.09.13
[茺蔚][충울]  (0) 2022.09.12
[生地黃][생지황]  (0) 2022.09.11

[蒲黃][포황 / 부들꽃가루]

治産後出血 太多發渴,

眞蒲黃8g,白湯調下,

如渴甚 井水調下(本草).

해산 후에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좋은 부들꽃가루 8g을 끓인 물에 타서 마신다.

갈증이 심할 때에는 우물물에 타서 마신다[본초].

'[雜病篇] > [婦人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芍藥][작약/집함박꽃뿌리]  (0) 2022.09.15
[當歸][당귀]  (0) 2022.09.14
[茺蔚][충울]  (0) 2022.09.12
[生地黃][생지황]  (0) 2022.09.11
[石燕子][석연자]  (0) 2022.09.10

[茺蔚][충울]

卽益母草也.

主産前産後百病 能行血 養血,

採取莖葉 搗取汁於銀石器 熬成膏 和酒服之

最治難産及死胎 胞衣不下 或搗取汁 一小盞和酒一合溫服(本草)

익모초(益母草)라고 한다.

산전 산후의 여러 가지 병을 치료하는 데 혈을 잘 돌게 하고 보혈한다.

익모초의 줄기와 잎을 뜯어서 짓찧어 즙을 내어

은그릇이나 돌그릇에 넣고 달여 고약을 만들어 술에 타 먹는다.

난산과 죽은 태아와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짓찧어 낸 익모초즙을 작은 잔을 1잔과 술 1홉에 타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본초].

天行不息所以生生而不窮

盢蔚子活血行氣有補陰之功命名益母

以其行中有補也

故曰胎前無滯産後無虛[丹心]

천지의 기운이 쉬지 않고 돌기 때문에 만물이 계속 생겨나서 끝이 없는 것이고

충위자는 기혈을 잘 돌게 하고 음을 보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익모라는 이름을 지은 것이다.

그것은 잘 돌아가게 하면서도 보하는 힘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해산 전에는 막히게 하지 않고 해산 후에는 허하게 하지 않는다[단심].  

'[雜病篇] > [婦人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당귀]  (0) 2022.09.14
[蒲黃][포황]  (0) 2022.09.13
[生地黃][생지황]  (0) 2022.09.11
[石燕子][석연자]  (0) 2022.09.10
[朴硝][박초]  (0) 2022.09.09

[生地黃][생지황]

治姙娠胎漏血不止 胞乾卽死,

取生地黃汁1升 酒5合 煮35沸 服23(本草).

태루(胎漏)로 하혈이 멎지 않아 태아가 마르면

곧 생지황즙 1되와 술 5홉을 섞어서 세번 또는 다섯번 끓어오르게 달여

두세번에 나누어 먹는다[본초].

'[雜病篇] > [婦人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蒲黃][포황]  (0) 2022.09.13
[茺蔚][충울]  (0) 2022.09.12
[石燕子][석연자]  (0) 2022.09.10
[朴硝][박초]  (0) 2022.09.09
[伏龍肝][복룡간]  (0) 2022.09.08

[石燕子][석연자]

主難産, 孕婦臨産 兩手各把一枚 立驗(本草).

난산과 해산할 무렵에 두 손에다 각각 1개씩 쥐어주면 곧 해산하는 것을 경험하였다[본초].

'[雜病篇] > [婦人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茺蔚][충울]  (0) 2022.09.12
[生地黃][생지황]  (0) 2022.09.11
[朴硝][박초]  (0) 2022.09.09
[伏龍肝][복룡간]  (0) 2022.09.08
[大斧][대부]  (0) 2022.09.07

[朴硝][박초]

治死胎不下,

朴硝細硏20g 童便調服 卽效,

焰硝亦可(丹心).

죽은 태아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박초를 보드랍게 갈아서 20g을 물에 타 먹으면 곧 나온다.

염초도 쓸 수 있다[단심].

'[雜病篇] > [婦人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地黃][생지황]  (0) 2022.09.11
[石燕子][석연자]  (0) 2022.09.10
[伏龍肝][복룡간]  (0) 2022.09.08
[大斧][대부]  (0) 2022.09.07
[朱砂][주사]  (0) 2022.09.06

[伏龍肝][복룡간]

治橫逆産 及子死腹中不出 其母氣欲絶,

取伏龍肝48g 以水調下 其兒當頭戴土出甚妙

難産3日不下 伏龍肝 細末4g 酒調服(丹心).

횡산, 역산, 죽은 태아가 나오지 않아 숨이 끊어질 듯한 것을 치료한다.

복룡간 4-8g을 물에 풀어 마시면 태아는 나온다.

난산으로 3일 동안이나 끌면서 낳지 못할 때에는 복룡간 4g을 술에 타 먹는다[단심].

'[雜病篇] > [婦人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石燕子][석연자]  (0) 2022.09.10
[朴硝][박초]  (0) 2022.09.09
[大斧][대부]  (0) 2022.09.07
[朱砂][주사]  (0) 2022.09.06
[麥戈 麴丸][익국환]  (0) 2022.08.01

[大斧][대부](큰 도끼)

治産後血瘕痛 取斧燒赤淬酒中 取酒飮

如鐵杵 或秤錘 皆可燒赤淬酒飮之(本草).

해산 후에 혈가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도끼를 벌겋게 달구어 술에 담갔다가 그 술을 마시든가

쇠방망이나 저울추 같은 것을 벌겋게 달구어 술에 담갔다가

그 술을 마시는 것도 다 좋다[본초].

'[雜病篇] > [婦人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朴硝][박초]  (0) 2022.09.09
[伏龍肝][복룡간]  (0) 2022.09.08
[朱砂][주사]  (0) 2022.09.06
[麥戈 麴丸][익국환]  (0) 2022.08.01
[戊戌酒][무술주]  (0) 2021.08.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