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腧鍼隨四時][오유침수사시]
春刺非 夏刺滎 季夏刺腧 秋刺經, 冬刺合者何也?
盖春刺井者 邪在肝也,
夏者滎者 邪在心也,
季夏刺腧者邪在脾也,
秋刺經者 邪在肺也,
冬刺合者 邪在腎也(難經).
봄에는 정혈에 놓고 여름에는 형혈에 놓으며
늦은 여름에는 유혈에 놓고 가을에는 경혈에 놓으며
겨울에는 합혈에 놓는 원인이 무엇인가.
그것은 대체 봄철에는 정혈을 쓰는데
그것은 사기가 간에 있기 때문이고 여름에는 형혈을 쓰는데
그것은 사기가 심에 있기 때문이며 늦은 여름에는 유혈을 쓰는데
그것은 사기가 비에 있기 때문이고 가을에는 경혈을 쓰는데
그것은 사기가 폐에 있기 때문이며 겨울에는 합혈을 쓰는데
그것은 사기가 신에 있기 때문이다[난경].

[五腧主病][오유주병]
五臟六腑 各有,井 滎 腧 經 合,皆何所主然.
經言“所出爲井, 所流爲滎, 所注爲腧, 所行爲經, 所入爲合.
井主心痞滿(肝邪也), 滎主身熱(心邪也), 腧主體重節痛(脾邪也),
經主喘咳 寒熱(肺邪也), 合主氣逆而泄(腎邪也), 此所主病也(難經).
5장6부의 경맥에 각각 정, 형, 유, 경, 합혈이 있는데 어떤 병을 주관하는가.
내경에는 “경기가 나오는 곳이 정혈이고 경기가 흐르는 곳이 형혈이며
경기가 쏠리는 곳이 유혈이고 경기가 지나가는 곳이 경혈이며
경기가 들어가는 곳이 합혈이다.
정혈은 명치 아래가 트직하고 그득한 것(간의 사기)을 주관하고
형혈은 몸에 열이 나는 것(심의 사기)을 주관하며
유혈은 몸이 무겁고 뼈마디가 아픈 것(비의 사기)을 주관하고
경혈은 숨이 차며 기침이 나고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폐의 사기)을 주관하며
합혈은 기가 거슬러 오르고 설사하는 것(신의 사기)을 주관하는데
이런 병을 주로 치료한다”라고 하였다[난경].

[五腧陰陽配合][오유음양배합]
陰井木 陽井金 陰滎火 陽滎水 陰腧土 陽腧木
陰經金 陽經火 陰下水 陽合土.
陰陽皆不同 其意何也?
然. 是剛柔之事也.
陰井乙木 陽井庚金 庚者乙之剛 乙者庚之柔,
故爲配合焉, 他倣此(難經).
음의 정혈은 목(木)이고 양의 정혈은 금(金)이다.
음의 형혈은 화(火)이고 양의 형혈은 수(水)이다.
음의 유혈은 토(土)이고 양의 유혈은 목이다.
음의 경혈은 금이고 양의 경혈은 화이다.
음의 합혈은 수이고 양의 합혈은 토이다.
음양이 같지 않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것은 세고 약한 것이 있기 때문이다.
음의 정혈은 을(乙), 목이고 양의 정혈은 경(庚), 금이다.
경은 을보다 세고 을은 경보다 약하다.
그러므로 배합이 된다.
딴 것도 다 이와 같다[난경].

[五臟六腑所屬五腧五行][오장육부소속오유오행] 

少商

魚際

大淵

經渠

尺澤

井 木

滎 水

腧 土

經 金

合 水

大腸

商陽

二間

三間

合谷

陽谿

曲池·上廉

井 金

滎 水

腧 木

經 火

合 土

中衝

勞宮

太陵

間使

曲澤

井 木

滎 火

腧 土

經 金

合 水

小腸

少澤

前谷

後谿

腕骨

陽谷

小海·下廉

井 金

滎 水

腧 木

經 火

合 土

大敦

行間

大衝

中封

谷泉

井 木

滎 火

腧 土

經 金

合 水

竅陰

俠谿

臨泣

丘墟

陽輔

陽陵泉

井 金

滎 水

腧 木

經 火

合 土

隱白

大都

太白

商丘

陰陵泉

井 木

滎 火

腧 土

經 金

合 水

厲兌

內庭

陷谷

衝陽

解谿

三里

井 金

滎 水

腧 木

經 火

合 土

涌泉

然谷

太谿

復溜

陰谷

井 木

滎 火

腧 土

經 金

合 水

膀胱

至陰

通谷

束骨

京骨

崑崙

委中

井 金

滎 水

腧 木

經 火

合 土

三焦

關衝

液門

中渚

陽池

支溝

天井·委陽

井 金

滎 水

腧 木

經 火

合 土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腧主病][오유주병]  (0) 2018.06.14
[五腧陰陽配合][오유음양배합]   (0) 2018.06.14
[子午流注][자오유주]   (0) 2018.06.13
[子午八法][자오팔법]   (0) 2018.06.13
[阿是穴][아시혈]   (0) 2018.06.13

[子午流注][자오유주]
流者 往也, 注者 住也.
神氣之流行也.
十二經 每經各得五穴, 井 榮 腧 經 合也.
手不過肘 足不過膝, 陽干三十六穴, 陰干三十穴,
共成六十六穴, 陽干多六穴者 乃原穴也(入門).
유(流)는 가는 것이고 주(注)는 멎는 것인데 신기(神氣)가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12경맥에는 각각 정(井), 형(滎), 유( ), 경(經), 합(合) 5개의 침혈이 있다.
손에 있는 이 침혈은 팔굽 아래에 다 있고 발에 있는 침혈은 무릎 아래에 있다.
양경맥에 36개 혈과 음경맥에 30개의 침혈이 있는데 모두 66개 혈이다.
양경맥에 6개 혈이 더 많은 것은 원혈이 따로 있기 때문이다[입문].
大腸合 又有巨虛上廉, 小腸合又有巨虛下廉, 三焦合又有委陽也(綱目).
대장경의 합혈은 상거허혈(上巨虛穴)과 상렴혈(上廉穴)이고
소장경의 합혈은 하거허혈(下巨虛穴)과 하렴혈(下廉穴)이며
삼초경의 합혈은 위양혈(委陽穴)이다[강목].

[子午八法][자오팔법]
子者 陽也, 午者 陰也,
不曰陰陽而曰子午者 正以見人身任督與天地子午相爲流通
故地理南鍼不離 子午 乃陰陽自然之 妙用也.
八法者 奇經八穴爲要 乃十二經之大會也(入門).
자는 양이고 오는 음이다.
음양이라고 하지 않고 자오라고 하는 것은 바로
사람의 몸의 임맥과 독맥은 천지의 자오와 서로 관계되는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지리에서 지남침이 자오를 따라 돌아가는 것은 음양과 자연이 관계되기 때문이다.
8법은 기경8맥의 8가지 침혈을 중요하게 쓰는 방법인데
12경맥이 다 만나는 중요한 곳이다[입문].
公孫(衝脈) 內關(陰維) 臨泣(帶脈) 外關(陽維)
後溪(督脈) 申脈(陽蹻) 列缺(任脈) 照海(陰蹻)
其陽蹻 陽維幷督脈 屬陽,主肩背腰腿 在表之病.
其陰蹻 陰維 任 衝 帶 屬陰,主心腹脇肋 在裏之痾(入門).
공손(公孫, 충맥(衝脈)), 내관(內關, 음유맥(陰維脈)), 임읍(臨泣, 대맥(帶脈)),
외관(外關, 양유맥(陽維脈)), 후계(後谿, 독맥(督脈)), 신맥(申脈, 양교맥(陽 脈)),
열결(列缺, 임맥(任脈)), 조해(照海, 음교맥(陰 脈)) 등이다.
양교맥과 양유맥은 독맥과 같이 양에 속하여 어깨와 잔등,
허리와 다리의 겉(表)에 있는 병에 주로 쓴다.
음교맥과 음유맥은 임맥, 충맥, 대맥과 같이 음에 속하며
가슴과 배, 옆구리와 속에 있는 병에 주로 쓴다[입문].
周身 三百六十穴 統於手足六十六穴, 六十六穴
又統於八穴 故謂之 奇經八穴(入門).
온몸의 360개의 침혈은 손과 발에 66개 침혈이 있으며 이 침혈은
또한 8맥의 8가지 침혈에 속해 있으므로 기경8혈이라고 한다[입문].

[阿是穴][아시혈]
[한국전통지식]
통증이 있는 부위를 눌러 주면 그 해당하는 자리가 곧바로 편해지거나
혹은 환자가 아픔을 느끼고 곧 아시(阿是; 아! 맞다)라고 말하는 곳을
혈(穴)자리로 정한 것임.
[한의학대사전]
천응혈(天應穴) · 응통혈(應痛穴) · 부정혈(不定穴)이라고도 일컬음.
이미 정해진 침혈이 아니라

병으로 아픈 국소 부위나 눌러서 아픈 곳을 침혈로 정하는 것을 말한다.
아시혈은 내장 장기의 병적 상태가 체표에 반영되거나

타박, 염좌(捻挫), 각종 신경통 때 나타나는 압통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아시혈에 관한 한 토막의 고사(故事)이다

손사막(思邈)70 세(岁) 되던 해 어느 날 손사막은 조용히 책상 머리에 앉아서

[천금요방(千金要方)]저술에 열중하고 있었다.

돌연(突然)히 이웃집 사람이 뛰어 들어와서 위급(危急)한 환자가

혼미불성(昏迷不醒)이므로 손사막에게 급히 왕진을 요청하였다.

손사막은 인명지중(人命至重)、유귀천금(有千金)을 좌우명으로 삼고 있었기 때문에

즉시 일어나 십 여리 길을 걸어서 환자가 살고있는 산촌을 향하여 걸어갔다.

인명지중(人命至重)、유귀천금(千金)”이란?

다시 말하면 "사람의 생명은 황금 일 천양(兩) 보다 더 귀하다." 는 뜻이다.

손사막이 응급환자를 치료한 결과 인사불성이었던 환자는 깨어났다.

단(但) 퇴부(腿部)의 극통(痛)은 사라지지 않았다.

손사막(思邈)고의서(医书)에 수록되어 있는

지통혈위(止痛穴位)에 시침하였으나 아무런 효험이 없었다.

어찌할 도리가 없어 전전긍긍하던 중 손사막은 환자의 다리 위의 여러곳을 만져 보았다.

슬관절(膝关节:무릎) 오른쪽 상부(上部)를 만질 때

환자는 갑자기아(阿)!하는 소리를 지르며 바로 그곳이 아픕니다.고 말했다.

손사막(思邈)은 즉시 은침(银针) 한 개를 침통 속에서 꺼내어 그곳에 진침(進針)하였다.

환자의 통증은 의외로 사라졌다.

환자는 기이(奇異)하다는 표정을 지으며 손사막에게

 그 혈(穴)은 무슨 혈(穴)입니까? 이전에 그 혈에 침을 맞아 본 적이 없었습니다.” 고 물었다.

손사막(思邈)은 그제서야 마음을 놓고 "그 혈(穴)은 아시혈(阿是穴)입니다!”

환자에게 대답했다.

후에 손사막(思邈)[천금요방(千金要方)]을 집필 할 때 아시혈을 수록해 놓았다.

그 후 부터 아시혈이 세상에 전하게 되었다.   


[鍼法 有 巨刺 繆刺 散刺][침법 유 거자 무자 산자]
經(繆刺論篇 第六十三)曰“左盛則右病 右盛則左病 亦有移易者 左痛未已
而右脈先病 如此者 必巨刺之”此五穴(井 榮 腧 經 合)
臨時變合 刺法之最大者也.
巨刺者 刺經脈也(入門).
내경에는 “왼쪽 경맥이 실하면 오른쪽에 병이 생긴 것이고
오른쪽 경맥이 실하면 왼쪽에 병이 생긴 것이다.
또한 오른쪽의 병이 낫지 않는 것은 왼쪽 경맥이 먼저 병든 것이고
왼쪽의 병이 낫지 않는 것은 오른쪽 경맥이 먼저 병든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반드시 거자법을 써야 한다”라고 하였다.
정(井), 형(滎), 유, 경(經), 합(合)의 5개 혈을 병에 따라 알맞게 쓰는 것이
침을 놓는 방법 가운데서 제일 중요한 방법이다.
거자법이라는 것은 그 경맥에 있는 5개의 유혈들을 쓰는 것이다[입문].
經曰 邪客大絡者 左注右 右注左 上下左右
其氣無常 不入經腧 命曰 繆刺者 刺絡脈也.
言絡脈與經脈 繆處身有踡攣疼痛而脈無病 刺其陰陽交貫之道也(入門).
내경에는 대락에 사기가 침입하여 왼쪽에서 오른쪽으로도 몰려 가고
오른쪽에서 왼쪽으로도 몰려 가며 상하좌우로 일정한 곳이 없이 돌아다니기도 하나
경혈에는 들어가지 않았을 때에만 무자법을 쓰라고 하였는데
무자법이라는 것은 그 낙맥에 침을 놓는 것이다.
즉 낙맥과 경맥은 위치가 다르므로 몸이 가드라들고 저리며 아프나
경맥에 병이 없을 때에는 음과 양이 서로 통한 곳을 찔러야 한다는 것이다[입문].
散刺者 散鍼也.
因雜病而散用其穴 因病之所宜而鍼之 炒不拘於流注 卽天應穴.
資生經 所謂 阿是穴也(入門).
산자법이라는 것은 산침(散鍼)을 말하는데
잡병 때에 아무 곳이나 침혈을 잡거나 병에 따라 적당한 곳에 침을 놓으며
경맥의 순행에는 관계하지 않는 것이다.
즉 천응혈(天應穴)인데 자생경에 씌어 있는 아시혈(阿是穴)이다[입문].
邪客於經 痛在於左而右脈先病者 巨刺之必中 其經非絡脈也.
絡病者 其痛與經脈繆處
故命曰 繆刺 皆左取右 右取左.
又曰 身形有痛 九候莫病則繆刺之.
繆刺 皆取諸經之絡脈也(綱目).
사기가 경맥에 들어가 왼쪽이 아픈 것은 오른쪽 경맥에 먼저 병이 생긴 것이므로
거자법을 써서 그 경맥에 침을 놓아야 하며 낙맥에는 놓지 말아야 한다.
낙맥에 병이 생긴 것은 그 아픈 곳이 경맥과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무자법을 써야 한다.
즉 왼쪽에 병이 생기면 오른쪽에 침을 놓고
오른쪽에 병이 생기면 왼쪽에 침을 놓는다.
또한 몸은 아픈데 9후맥에 병이 없으면 무자법을 써야 한다고 하였는데
무자법은 모든 경맥의 낙혈을 잡아 침을 놓는 방법이다[강목].

[氣行有街][기행유가]

胸氣有街腹氣有街頭氣有街 經氣有街
故氣迹者 止之于腦 氣在胸者 止之于膺與[背兪]
氣在腹者止之 背兪與衝脈 于臍左右之動脈者 氣在脛者
止之又氣街與承山 踝上以下取此者 用毫鍼 得氣乃刺之(靈樞).
가슴의 기도 길이 있고 배의 기도 길이 있으며
머리의 기에도 길이 있고 정강이의 기에도 길이 있다.
그러므로 머리에 있는 기는 뇌에 머무르고
가슴에 있는 기는 젖가슴과 배수혈(背兪穴)에 머물러 있고
배에 있는 기는 배유혈과 충맥이 배꼽 양옆의 맥이 뛰는데 머무르고
정강이에 있는 기는 기가(氣街)와 승산(복사뼈 위)의 아래에 머물러 있다.
그러므로 치료하는 데도 호침(毫鍼)으로 침감이 알릴 때까지 찌른다[영추].


[][배수혈]    [한의학대사전] 

달리 배수혈()이라고도 부름.

척추의 양쪽으로 내려간 방광경 1측선에 위치하면서

오장 육부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혈.

배수혈은 오장육부경기()가 등에 주입되는 곳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배수혈은 다음과 같다.

폐()의 배수혈-폐수(),   심포()의 배수혈-궐음수(),

심()의 배수혈-심수(),   간()의 배수혈-간수(),

담()의 배수혈-담수(),   비()의 배수혈-비수(),

위()의 배수혈-위수(),   삼초()의 배수혈-삼초수(),

신()의 배수혈-신수(),   대장의 배수혈-대장수(),

소장의 배수혈-소장수(),   방광의 배수혈-방광수().

배수혈은 해당되는 장부의 병과 그 장부와 연관된 기관의 병을 치료하는 데 쓴다. 



[十二經行度部分][십이경행도부분]

手之三陰 從藏走至手
手之三陽 從手主至頭
足之三陽從頭走至足
足之三陰從足走至腹(靈樞).
손의 3음경은 5장에서 손으로 나갔고
손의 3양경은 손에서 머리로 올라갔으며
발의 3양경은 머리에서 발로 내려갔고
발의 3음경은 발에서 배로 갔다[영추].
人之經絡 三陽三陰 分布一身
太陽 少陰 在身之後
陽明 太陰 在身之前
少陽 厥陰 在身之側(丹心)
사람의 경락은 3양과 3음으로 온몸에 분포되어 있는데
태양경과 소음경은 몸 뒤에 있고
양명경과 태음경은 몸 앞에 있으며
소양경과 궐음경은 몸의 옆에 분포되어 있다[단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