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血極膏]
治月閉不通
大黃
爲末 醋熬成膏 丸如雞頭大(一云雞子黃大)
每一丸 熱酒 和開 臨臥 溫服.
大便一二行後 紅脈自下
是婦人之仙藥也. 加當歸頭.
一名 [單大黃膏](謙甫).
월경이 중단되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대황.
위의 약을 가루를 내어 식초에 넣고 고약처럼 되게 달여서
가시연밥(검인)만하게(어떤 데는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잠잘 무렵에 데운 술에 풀어서 먹으면 한두번 설사하고
월경이 저절로 나온다. 이것은 부인들에게 좋은 약이다.
이 약에 당귀두(當歸頭)를 넣은 것을 단대황고(單大黃膏)라고 한다[겸보].
通血一方 治月閉不通 補藥無效 危篤者
大黃酒蒸九次晒150g 血竭 沒藥各20g.
爲末 水丸 以[四物湯]煎水 下70~80丸(醫鑑).
어떤 처방에는 월경이 중단되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할 때에
보약을 써서는 효과가 없다고 하였다.
병이 심하면 대황(술에 축여 쪄서 햇볕에 말리기를 아홉번 한 것) 160g,
혈갈(血竭), 몰약(沒藥) 각각 20g을 가루를 내어 물에 반죽한 다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70-80알씩 사물탕 달인 물로 먹어야 한다[의감].

'[處方箋] > [處方膏]'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膏][당귀고]  (0) 2018.09.03
[丹參膏][단삼고]   (0) 2018.09.03
[綠雲膏][녹운고]   (0) 2018.08.31
[爐灰膏][노회고]  (0) 2018.08.31
[露星膏][노성고]   (0) 2018.08.31

[綠雲膏][녹운고]
黃連 大黃 黃芩 玄參 黃栢 木鱉子肉各4g.
爲剉 香油40g 同煎焦色 去滓 入松脂200g 再煎成膏 濾入中扯拔如金色
再熬放溫 入猪膽3箇汁 銅綠醋浸一宿 去滓12g 攪勻 如常攤貼 .
如瘡口不乾 加乳香 沒藥 輕粉尤妙(正傳).
황련, 대황, 속썩은풀(황금), 현삼, 황백, 목별자살(木鱉子肉)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참기름 40g에 넣고 눋도록 달여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송진 200g을 넣고 고약이 되게 졸여서 찬물에 걸러 금빛이 나도록 켠다.
이것을 다시 달여서 따뜻해질 때까지 놓아둔다.
다음 저담즙 3개분과 동록(식초를 섞은 데 하룻밤 담가두었다가 찌꺼기를 버린 것)
12g을 고루 섞어 저어서 보통 고약처럼 헌데에 붙인다.
헌데 구멍이 마르지 않았을 때에는 유향, 몰약, 경분을 넣어서 붙이면 더 좋다[정전].

'[處方箋] > [處方膏]'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丹參膏][단삼고]   (0) 2018.09.03
[單大黃膏][단대황고]   (0) 2018.09.03
[爐灰膏][노회고]  (0) 2018.08.31
[露星膏][노성고]   (0) 2018.08.31
[臘亨膏][납형고]   (0) 2018.08.31

[爐灰膏][노회고]
治癰疽 惡瘡 內點去瘀肉 最妙
用香糖爐內灰(無則桑柴灰代之)1升半 風化石灰1升炒紅 以箕子盛貯
用滾湯3柴 慢慢淋 自然汁一椀許 銅鍋盛慢火熬如稀糊, 先下巴豆末
次下蟾穌各8g 白丁香末2g 石灰炒4g
攪勻 再熬 如乾麪糊 取起 候冷磁罐盛貯, 勿令泄氣 每用時以簪頭挑少許
放指甲上 硏呵氣調勻如泥 用鍼撥開患處 以藥點之, 物點好肉及眼上(入門).
옹저나 악창을 치료한다.
헌데 속에 넣으면 어혈(瘀血)과 궂은 살이 없어지는데 아주 좋다.
향당로안의 재(없으면 대신 뽕나무재를 쓴다) 1되 5홉,
풍화된 석회(벌겋게 닦은 것) 1되.
위의 약들을 키에 담아놓고 거기에 끓는 물 3사발을 천천히 부으면서
잿물을 1사발 받는다.
이것을 구리그릇에 담아서 약한 불에 달이다가 묽은 풀처럼 되면
먼저 파두가루 8g를 넣은 다음 두꺼비진 8g, 백정향가루 2g,
석회(닦은 것) 4g을 넣고 고루 저으면서 다시 밀가루풀처럼 되게 달여 꺼낸다.
다음 식혀서 사기그릇에 담고 약기운이 새지 않게 하여 둔다.
쓸 때마다 조금씩 묻혀서 손톱 위에 놓고 입김을 쏘여 고약같이 만들어 쓰는데
침으로 앓는 자리를 약간 헤쳐놓고 거기에 붙인다.
성한 살이나 눈에 닿아서는 안 된다[입문].

'[處方箋] > [處方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單大黃膏][단대황고]   (0) 2018.09.03
[綠雲膏][녹운고]   (0) 2018.08.31
[露星膏][노성고]   (0) 2018.08.31
[臘亨膏][납형고]   (0) 2018.08.31
[納臍膏][납제고]  (0) 2018.08.31

[露星膏][노성고]
治脊疳
黃芪蜜水炒 胡黃連 地骨皮 柴胡各等分
爲末 蜜丸芡實大 隔宿酒浸 露一宿 次日澄去酒 薄荷湯浸服之(湯氏).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꿀물로 축여 볶은 것), 호황련, 지골피, 시호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하룻밤 지나서 술에 담가서 하룻밤 동안 바깥에 놓아 두었다가
다음날 가라앉힌 다음 술을 찌워 버리고 박하 달인 물에 담갔다가 먹인다[탕씨].

'[處方箋] > [處方膏]' 카테고리의 다른 글

[綠雲膏][녹운고]   (0) 2018.08.31
[爐灰膏][노회고]  (0) 2018.08.31
[臘亨膏][납형고]   (0) 2018.08.31
[納臍膏][납제고]  (0) 2018.08.31
[南星膏][남성고]  (0) 2018.08.31

[臘亨膏][납형고]
治凍瘡
臘猪脂 猯油各100g
香油2合半 海松子油一合 松脂 黃蠟各140g
各煉去滓 熔化成膏 待凝 貯器中塗之(俗方)
동상을 치료한다.
돼지기름(저지), 오소리기름(단유) 각각 100g,
참기름 2홉 반, 잣기름(해송자유) 1홉, 송진, 황랍 각각 150g.
위의 약들을 각기 졸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한데 섞어서 고약을 만든다.
먼저 약물로 헌데를 씻고 바른다[속방].

'[處方箋] > [處方膏]' 카테고리의 다른 글

[爐灰膏][노회고]  (0) 2018.08.31
[露星膏][노성고]   (0) 2018.08.31
[納臍膏][납제고]  (0) 2018.08.31
[南星膏][남성고]  (0) 2018.08.31
[蘿蔔膏][나복고]  (0) 2018.08.31

[納臍膏][납제고]
治噤口痢危重者, 用之立愈.
王瓜藤1)連莖葉, 經霜者, 晒乾燒灰. 香油調納臍中, 卽效[醫鑑].
금구리가 위중한 것을 치료하는데, 이 약을 쓰면 바로 낫는다.
줄기와 잎이 달린 왕과등을 서리를 맞춘 다음 볕에 말려서 재가 되도록 불에 태운다.

이것을 참기름에 개어 배꼽에 붙이면 바로 낫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膏]' 카테고리의 다른 글

[露星膏][노성고]   (0) 2018.08.31
[臘亨膏][납형고]   (0) 2018.08.31
[南星膏][남성고]  (0) 2018.08.31
[蘿蔔膏][나복고]  (0) 2018.08.31
[糯米膏][나미고]   (0) 2018.08.30

[南星膏][남성고]
治癭瘤
生天南星大者1箇 細硏滴醋3~5點爲膏 先將鍼刺瘤上
却以藥攤紙上貼之 頻貼取效 如無生者.
乾者爲末 醋調用之(得效).
又方 南星 草烏, 爲末 薑汁調付之 亦佳(醫鑒).
영류를 치료한다.
천남성(크고 생것) 1개.
위의 약을 보드랍게 간 다음 식초 3-5방울을 넣어서 고약을 만든다.
그 다음 먼저 영류를 침으로 찌르고 이 고약을 종이에 발라서 붙이는데
자주 갈아 붙이면 낫는다.
만일 생것이 없으면 마른 것을 가루내어 식초에 개서 붙여도 좋다[득효].
또 한 가지 처방은 천남성과 바꽃(초오)으로 되어 있는데
가루내어 생강즙에 개서 붙이면 좋다[의감].

'[處方箋] > [處方膏]'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臘亨膏][납형고]   (0) 2018.08.31
[納臍膏][납제고]  (0) 2018.08.31
[蘿蔔膏][나복고]  (0) 2018.08.31
[糯米膏][나미고]   (0) 2018.08.30
[金絲膏] [금사고]   (0) 2018.08.30

[조角散][조각산]
治卒中痰塞
皂角 蘿葍子等分
爲末 每7.5g 水煎 盡服卽吐(醫林).
一名 [蘿복膏]
갑자기 풍을 맞아서 담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주염열매(조각), 무씨(나복자)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물에 달여 먹으면 곧 토한다[의감].
일명 나복고(蘿蔔膏)라고 한다[득효].

'[處方箋] > [處方膏]'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納臍膏][납제고]  (0) 2018.08.31
[南星膏][남성고]  (0) 2018.08.31
[糯米膏][나미고]   (0) 2018.08.30
[金絲膏] [금사고]   (0) 2018.08.30
[金寶膏][금보고]   (0) 2018.08.30

[糯米膏][나미고]
治撲傷筋斷 骨折
糯米1升 皂角切碎300g 銅錢100箇同炒至焦黑 去錢
爲末 酒調膏 貼患處 神效(綱目).
타박을 받아 힘줄이 끊어지고 뼈가 부러진 것을 치료한다.
찹살 1되, 주염열매(조각, 잘게 썬 것) 반되, 동전 100개.
위의 약들을 다 한데 넣고 눋도록 닦아서 돈[錢]은 가려내고
가루낸 다음 술에 개서 고약을 만들어 상처에 붙이면 잘 낫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南星膏][남성고]  (0) 2018.08.31
[蘿蔔膏][나복고]  (0) 2018.08.31
[金絲膏] [금사고]   (0) 2018.08.30
[金寶膏][금보고]   (0) 2018.08.30
[芎芷膏][궁지고]  (0) 2018.08.30

[金絲膏] [금사고]
治傷筋動骨 損傷閃挫 風毒惡瘡 風濕筋寒諸病
當歸尾 川白芷 杏仁(去皮尖) 玄參 猪牙皂角(去皮弦)
草烏(生剉)各12g 白膠香(明者)300g 連鬚葉葱(肥者)10根,
滴靑(明者)300g 乳香 沒藥(另硏爲末),各20g 黃蠟(明者)40g
男子亂髮(洗淨挼如雞子大)一團.用淸油300g 將八味,
置銀瓷器內 熬10餘沸, 用生絹上 細紙數重 再濾過熬濾,
入膠香,滴靑,攪勻,下黃蠟,又攪無烟,方下乳香 沒藥,
攤貼患處(證治準繩方)

'[處方箋] > [處方膏]'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蘿蔔膏][나복고]  (0) 2018.08.31
[糯米膏][나미고]   (0) 2018.08.30
[金寶膏][금보고]   (0) 2018.08.30
[芎芷膏][궁지고]  (0) 2018.08.30
[國老膏][국로고]   (0) 2018.08.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