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淵然眞人奪命丹][연연진인탈명단]
專治一切發背 陰疽 丁瘡 惡瘡 無名腫毒 服之,
便起發有頭不痛者 服之,立愈, 此乃惡證藥中 至寶也
雄黃12g

蟾穌乾則酒化 乳香 沒藥 銅綠 各8g

血竭 膽礬 寒水石 各4g
輕粉 麝香 龍腦各2g

蝸牛21箇連殼用 蜈蚣一條酒灸
爲末 蝸牛硏作泥和丸菉豆大,

若丸不就 以酒煮麪糊和爲丸 朱砂末8g 爲衣,
每服只2丸, 先以葱白三寸, 病人嚼爛 吐在手心,
男左女右 將藥丸在葱內 以熱酒二四盞 送下,
衣服盖覆 約人行五里 久 再以熱酒數盃 助弱力
發熱 汗大出爲度 如無汗 再服2丸(丹心).
一名 [飛龍奪命丹] (醫鑒).
모든 등창[發背], 음저(陰疽), 정창(丁瘡), 악창(惡瘡),
원인 모를 종독(腫毒)을 치료한다.
이 약을 먹으면 헌데 끝이 생기지 않았던 것은
끝이 생기고 아프지 않던 것은 곧 아프다.
이미 곪은 데 먹으면 곧 낫는다.
이 약이 옹저 때 나쁜 증상을 치료하는 약 가운데서 제일 좋은 것이다.
석웅황(웅황) 12g,
두꺼비진(섬소, 말랐으면 술에 녹여야 한다), 유향, 몰약, 동록 각각 8g,
혈갈, 담반, 한수석 각각 4g, 경분, 사향, 용뇌 각각 2g,
달팽이 21개(와우, 껍질째로 쓴다), 왕지네 1개(오공, 술을 발라 구운 것).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 다음 달팽이를 풀지게 갈아서 가루약과 함께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드는데 만약 알약이 잘 빚어지지 않으면 술에 쑨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다음 주사 8g으로 알약들의 겉에 입힌다.
한번에 2알씩 쓰는데 먼저 환자가 파밑(총백) 3치를 잘 씹어서
남자는 왼손 바닥에 여자는 오른손 바닥에 놓고 거기에 알약을 싸서
데운 술 3∼4잔으로 먹어야 한다.
그 다음 30분 정도 이불을 덮고 있다가 다시 데운 술 몇 잔을 마셔서
약 기운을 도와주어야 한다.
그러면 열이 나고 땀이 몹시 난다.
만약 땀이 나지 않으면 또 2알을 먹어야 한다[단심].
일명 비룡탈명단(飛龍奪命丹)이라고 한다[의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白丹][사백단]  (2) 2018.11.01
[秘元丹][비원단]   (0) 2018.10.28
[備急丹][비급단]   (0) 2018.10.28
[不換金丹][불환금단]   (0) 2018.10.28
[復元丹][복원단]   (0) 2018.10.28

[備急丹][비급단]
治咽喉閉.
靑黛, 芒硝, 白殭蠶 各一兩, 甘草 四兩.
右爲末, 臘月牛膽有黃者, 盛藥蔭1)四十九日, 爲末, 吹入喉中, 神效[綱目].
인후가 막힌 것을 치료한다.
청대, 망초, 백강잠 각 한 냥, 감초 넉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음력 섣달에 우황이 들어 있는 소의 쓸개에 채워 넣고
그늘에서 49일 동안 말린 후 가루내어 목구멍에 불어넣으면 효과가 매우 좋다(강목).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秘元丹][비원단]   (0) 2018.10.28
[飛龍奪命丹][비룡탈명단]  (0) 2018.10.28
[不換金丹][불환금단]   (0) 2018.10.28
[復元丹][복원단]   (0) 2018.10.28
[復陽丹][복양단]  (0) 2018.10.28

[不換金丹][불환금단]
中風口喎
薄荷120g

荊芥穗 白薑蠶 防風 天麻 甘草 各40g
川烏生 白附子 羗活 細辛 川芎 全蝎梢 藿香 各20g
爲末 蜜丸 彈子大 茶淸嚼下一丸 如喎向左 以此藥 塗右腮便正(丹心).
중풍(中風)으로 입이 비뚤어진 것을 치료한다.
박하 120g,

형개수, 백강잠, 방풍, 천마, 감초 각각 40g,
오두, 노랑돌쩌귀(백부자, 생것), 강호리(강활), 족두리풀(세신),
궁궁이(천궁), 전갈꼬리(蝎梢), 곽향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씹어서 찻물로 넘긴다.
만일 왼쪽으로 비뚤어졌을 때에 이 약을 오른쪽 뺨에 바르면 곧 바로 선다[단심].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飛龍奪命丹][비룡탈명단]  (0) 2018.10.28
[備急丹][비급단]   (0) 2018.10.28
[復元丹][복원단]   (0) 2018.10.28
[復陽丹][복양단]  (0) 2018.10.28
[保幼化風丹][보유화풍단]  (0) 2018.10.28

[復元丹][복원단]
夫心腎眞火 能生脾肺眞土 今眞火旣虧 不能滋養眞土
故土不制水 水液妄行 三焦不瀉 樞機不運 腫脹滿溢
喘息奔急 股冷舌乾 不能正偃 小便不通
澤瀉100g 附子炮80g
木香 茴香炒 川椒 獨活 厚朴 白朮略炒 橘皮 吳茱萸 桂心 各40g
肉豆寇煨 檳樃 各20g
爲末 糊丸梧子大 紫蘇湯下50丸,
此藥 世傳累驗 其間君臣佐使 與造物同妙
當屛去諸藥一日三服 且禁慾絶鹹 半年(得效).
심과 신의 진화가 비와 폐의 진토(眞土)를 생기게 하는데
진화가 부족하여 진토를 자양하지 못하면 토(土)가 약해져서
수(水)를 억제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수기가 허투루 돌게 되고 3초(三焦)가 막혀서 작용을 잘하지 못하게 된다.
때문에 부종이나 창만이 생기는데 이때에는 숨이 몹시 차고 다리가 싸늘하며
혀가 마르고 몸을 가누지 못하며 오줌이 나오지 않는다.
이런 것을 치료한다.
택사 100g, 부자(싸서 구운 것) 80g,
목향, 회향(닦은 것), 조피열매(천초), 따두릅(독활), 후박,
흰삽주(백출, 약간 닦은 것), 귤껍질(橘皮), 오수유, 계심 각각 40g,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빈랑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차조기잎(자소엽)을 달인 물로 먹는다.
이 약은 대대로 전해 내려오면서 여러 번 써서 효과를 많이 본 것이다.
그리고 주약[君], 신약[臣], 좌약[佐], 사약[使]이 알맞게 만들어졌고
인경약과 함께 닦아 쓰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다른 약은 다 쓰지 말고 이 약만 하루 세번씩 먹으면 된다.
그리고 성생활과 짠 것을 반년 동안 금해야 한다[득효].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備急丹][비급단]   (0) 2018.10.28
[不換金丹][불환금단]   (0) 2018.10.28
[復陽丹][복양단]  (0) 2018.10.28
[保幼化風丹][보유화풍단]  (0) 2018.10.28
[補髓丹][보수단]   (0) 2018.10.28

[復陽丹][복양단]
治陰毒面靑 肢冷 脈沈
蓽澄茄 木香 吳茱萸 全蝎 附子炮 硫黃 各20g,  乾薑4g
爲末 酒糊和 丸梧子大 薑湯下30丸 復以熱酒 投之取汗(入門).
음독(陰毒)으로 얼굴이 퍼렇고 팔다리가 싸늘하며 맥이 침(沈)한 것을 치료한다.
필징가, 목향, 오수유, 전갈, 부자(싸서 구운 것), 유황 각각 20g, 건강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술에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
그 다음 뜨거운 술을 먹고 땀을 낸다[입문].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換金丹][불환금단]   (0) 2018.10.28
[復元丹][복원단]   (0) 2018.10.28
[保幼化風丹][보유화풍단]  (0) 2018.10.28
[補髓丹][보수단]   (0) 2018.10.28
[保生丹][보생단]  (0) 2018.10.28

[保幼化風丹][보유화풍단]
治驚風 四證八候 去風痰驚熱
南星 半夏 川烏 白附子 各40g,  鬱金20g
左爲末 裝入臘月黃牛膽內 陰乾100日 取出 硏爲末 每40g
入雄黃 朱砂 硼砂 焰硝 各4g

片腦 麝香各少許 共爲末 蜜丸
豌豆大 燈心薄荷湯硏化下1~2丸(醫鑒).
경풍 4증 8후(四證八候)를 치료하는데 풍, 담, 놀라는 것, 열 등을 없앤다.
천남성, 끼무릇(반하), 오두, 노랑돌쩌귀(백부자) 각각 40g, 울금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음력 섣달에 잡은 황소의 담즙 안에 넣어 100일 동안
그늘에서 말려 가루낸다.
한번에 40g에 석웅황(웅황), 주사, 붕사, 염초 각각 4g,
용뇌, 사향 각각 조금씩 넣고 한데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완두콩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2알씩 골풀속살(등심초)과 박하를 두고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의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復元丹][복원단]   (0) 2018.10.28
[復陽丹][복양단]  (0) 2018.10.28
[補髓丹][보수단]   (0) 2018.10.28
[保生丹][보생단]  (0) 2018.10.28
[保命丹][보명단]  (0) 2018.10.28

[補髓丹][보수단]
治腎虛腰痛.
破故紙 五兩 以脂麻二兩半同炒, 去脂麻, 杜冲 薑汁炒 五兩, 鹿茸 一兩, 沒藥 五錢.
右爲末, 胡桃肉十五箇軟膏, 入麪少許, 酒煮爲糊, 作丸梧子大, 空心, 鹽湯下百丸[東垣].
신이 허하여 허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파고지 닷 냥(참깨 두 냥 반과 함께 [참깨가 검게 변하고 볶는 소리가 나지 않을 때까지]

볶은 다음 참깨를 버린다), 두충(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닷 냥, 녹용 한 냥, 몰약 닷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호도육 열다섯 개를 부드러운 고약처럼 만든 후

밀가루를 조금 넣고 술에 쪄서 풀처럼 만들어 오자대의 알약을 만든다.

빈속에 백 알씩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復陽丹][복양단]  (0) 2018.10.28
[保幼化風丹][보유화풍단]  (0) 2018.10.28
[保生丹][보생단]  (0) 2018.10.28
[保命丹][보명단]  (0) 2018.10.28
[保靈丹][보령단]  (0) 2018.10.28

[保生丹][보생단]
治慢驚風
朱砂 天麻 白附子炮 白殭蠶炒 全蝎微炒 各8g
乾薑炮 牛黃 麝香 各4g
爲末 蜜丸麻子大 薄荷湯下 三丸(直小)
만경풍을 치료한다.
주사, 천마, 노랑돌쩌귀(백부자, 싸서 구운 것),
백강잠(닦은 것), 전갈(약간 닦은 것) 각각 8g,
건강(싸서 구운 것), 우황, 사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알씩 박하 달인 물로 먹인다[직소].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幼化風丹][보유화풍단]  (0) 2018.10.28
[補髓丹][보수단]   (0) 2018.10.28
[保命丹][보명단]  (0) 2018.10.28
[保靈丹][보령단]  (0) 2018.10.28
[抗穢丹][벽예단]   (0) 2018.10.28

[保命丹][보명단]
治急慢驚風 尙有陽證者 常服 安神化痰
全蝎14箇 防風 南星 蟬退 白殭蠶 天麻 琥珀 各8g

白附子 辰砂 各4g,  麝香2g
有熱 加牛黃 片腦各2g

爲末 粳米飯搗丸 皂子大 金箔爲末 乳汁
或薄荷湯化下 一丸(入門).
급경풍과 만경풍에 아직 양증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늘 먹으면 정신이 안정되고 담을 삭힌다.
전갈 14개, 방풍, 천남성, 매미허물(선퇴), 백강잠, 천마, 호박 각각 8g,
노랑돌쩌귀(백부자), 주사 각각 4g,
사향 2g(열이 있으면 우황, 용뇌 각각 2g씩 더 넣는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쌀밥과 함께 짓찧어 주염열매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금박을 겉에 입힌다.
한번에 1알씩 젖이나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입문].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髓丹][보수단]   (0) 2018.10.28
[保生丹][보생단]  (0) 2018.10.28
[保靈丹][보령단]  (0) 2018.10.28
[抗穢丹][벽예단]   (0) 2018.10.28
[辟邪丹][벽사단]  (0) 2018.10.28

[保靈丹][보령단]
治蠱毒 諸毒一切藥毒 神效.
朱砂40g 山豆根20g 雄黃 黃丹 麝香 黃藥子 續隨子去皮另硏
巴豆去皮不去油 斑猫去頭足翅各10g 赤足蜈蚣二條一生一灸, 糯米半生半炒
爲末 作糊,上於端午 重陽臘日 修合爲末 不令雞犬 婦人見之.
用糯米稀糊和 丸芡實大 陰乾 磁盒收貯 每一丸 茶淸 呑下 不得嚼破 須臾
將毒物 或吐或利 藥丸凝血並下 以水洗淨收之一丸 可救三人,
若急則擇吉日 精潔修合(得效).
고독이나 여러 가지 독과 모든 약독을 받은 것을 치료하는데 신기한 효과가 있다.
주사 40g, 산두근 20g, 석웅황(웅황), 황단, 사향, 황양자,
속수자(껍질을 버리고 따로 간 것), 파두(껍질은 버리고 기름은 빼지 않은 것),
반묘(대가리와 날개와 발을 버린 것) 각각 10g,
왕지네(오공) 2개(발이 벌건 것으로 1개는 생것, 1개는 구운 것),
찹쌀(절반은 생것, 절반은 볶아서 가루내어 풀을 만든다).
위의 약들을 단오날이나 중구날[重陽]이나 납일(蠟日)에 한데 넣고
가루내어 약을 만드는데 닭이나 개가 가까이 오지 못하게 하고
여자가 보지 못하게 해야 한다.
약가루를 묽은 찹쌀풀에 반죽하여 가시연밥만하게 알약을 만든 다음
그늘에 말려서 사기그릇에 담아둔다.
한번에 1알씩 찻물로 먹는데 씹거나 터뜨리지 말고 넘겨야 한다.
그 다음 조금 있으면 토하거나 설사하면서 독물이 나오며 알약에 피가 엉켜서 나온다.
이 약 1알로 세 사람을 살릴 수 있다.
만일 약을 급히 써야 할 때에는 좋은 날에 깨끗하게 만들어도 된다[득효].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生丹][보생단]  (0) 2018.10.28
[保命丹][보명단]  (0) 2018.10.28
[抗穢丹][벽예단]   (0) 2018.10.28
[辟邪丹][벽사단]  (0) 2018.10.28
[霹靂奪命丹][벽력탈명단]  (0) 2018.10.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