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上丹][상단]
治勞傷虛損 男子絶陽 庶事不興
五味子300g,  

蛇床子, 免絲子, 百部根, 杜冲, 白茯苓
防風, 巴戟, 肉蓯蓉, 山藥, 遠志, 枸杞子, 栢子仁 各75g
爲末 蜜丸梧子大 空心 溫酒 或塩湯下 50~70丸(局方).
허로손상(虛勞損傷)으로 양기가 끊어져 음경이 일어서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오미자 320g, 뱀도랏열매(사상자), 새삼씨(토사자), 백부근, 두충, 흰솔풍령(백복령),

방풍, 파극, 육종용, 마(서여), 원지, 구기자, 측백씨(백자인) 각각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봉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빈속에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먹는다[국방].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塞耳丹][색이단]   (0) 2018.11.01
[賽命丹][새명단]  (0) 2018.11.01
[三聖丹][삼성단]  (0) 2018.11.01
[三仙丹][삼선단]  (0) 2018.11.01
[三蛇丹][삼사단]  (0) 2018.11.01

[三聖丹][삼성단]
治久痰嗽極效
半夏製80g,  南星煨40g,  甘草生20g  以半星二味
爲末 薑汁拌勻盦作麴 冬10 夏5 春秋7日 取出 再爲末 入甘草末
和勻竹瀝一椀 拌和作餠子焙乾 又將竹瀝沃濕焙乾 如此十數次 以竹瀝盡爲度
再硏爲末 煉蜜調和 如餳 臨臥抄一匙 於口內噙化 以竹瀝 潄口 嚥下(正傳).
오래된 담수를 치료하는 데 효과가 매우 좋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80g,
천남성(잿불에 묻어 구운 것) 40g, 감초(생것) 20g.
위의 약 가운데서 끼무릇(반하)과 천남성 이 2가지 약을 가루내어
생강즙에 버무려서 누룩을 만드는데
겨울에는 10일, 여름에는 5일, 봄과 가을에는 7일 동안 띄운다.
다음 가루내어 감초가루와 함께 참대기름(죽력) 1사발에 버무려서
떡을 만들어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그 다음 다시 참대기름(죽력)으로 축여서 약한 불기운에 말리는데
십여 번 반복하여 참대기름(죽력)이 다 없어질 때까지 한다.
이것을 다시 가루내어 졸인 꿀에 반죽한 다음 엿(이당)같이 만들어
잠잘 무렵에 1숟가락씩 머금고 녹여서 참대기름(죽력)으로 넘긴다[정전].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賽命丹][새명단]  (0) 2018.11.01
[上丹][상단]   (0) 2018.11.01
[三仙丹][삼선단]  (0) 2018.11.01
[三蛇丹][삼사단]  (0) 2018.11.01
[三癎丹][삼간단]  (0) 2018.11.01

[三仙丹][삼선단]
治虛勞證 腎與膀胱虛冷 耳聾目暗
蒼朮80g(以葱白一握同炒黃去葱)
川烏40g(以塩20g同炒裂) 茴香120g炒
爲末 酒糊和 丸梧子大 溫酒 下50~70丸 忌諸血(入門).
一名 [長壽元] (局方)
허로증과 신과 방광이 허랭하여 귀가 먹고 눈이 어두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파밑(총백) 한줌과 같이 닦아서 누렇게 되면 파밑은 버린다) 80g,
오두(천오, 소금 20g과 같이 터지게 닦은 것) 40g, 회향(닦은 것) 1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을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
일체 피를 먹지 말아야 한다[입문].
일명 장수원(長壽元)이라고도 한다[국방].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上丹][상단]   (0) 2018.11.01
[三聖丹][삼성단]  (0) 2018.11.01
[三蛇丹][삼사단]  (0) 2018.11.01
[三癎丹][삼간단]  (0) 2018.11.01
[四炒固眞丹][사초고진단]  (0) 2018.11.01

[愈風丹][유풍단]
治癩疾深重 治大風 髮脫眉落 遍身麻木 瘡爛
烏蛇, 白花蛇, 土桃蛇 各一條

並酒浸3日 取肉 爲末

苦參600g,  剉搗 取頭末150g
皂角濃煎汁熬膏 和丸梧子大

以防 [風通聖散] 煎水 呑下50丸 日二(入門).
一名 [三蛇丹]
문둥병이 심한 것을 치료한다.
문둥병으로 머리털과 눈썹이 빠지고
온몸에 감각이 없어지면서 헐어 진무는 것을 치료한다.
오사, 백화사, 토도사 각각 1마리.
위의 약들을 다 술에 3일 동안 담가두었다가 고기만 발가내서 가루낸다.
다음 너삼(고삼) 600g을 썰어서 맏물가루 160g을 내어 약가루와 섞는다.
다음 주염열매를 고약처럼 되게 진하게 달인다.
여기에 약가루를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하루 두번 방풍통성산을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일명 삼사단(三蛇丹)이라고도 한다.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聖丹][삼성단]  (0) 2018.11.01
[三仙丹][삼선단]  (0) 2018.11.01
[三癎丹][삼간단]  (0) 2018.11.01
[四炒固眞丹][사초고진단]  (0) 2018.11.01
[四神丹][사신단]  (0) 2018.11.01

[三癎丹][삼간단]
治急驚爲癎
蜈蚣 一條

牛膽南星8g
全蝎, 防風, 白附子, 遠志, 蘆薈, 玄胡索 辰砂 各4g
麝香一字 金銀箔 各3片
爲末 糊丸梧子大 金銀箔爲衣 每一丸 以薄荷湯化下(錢乙).
급경풍으로 간질이 된 것을 치료한다.
왕지네(오공) 1개, 우담남성 8g,
전갈, 방풍, 노랑돌쩌귀(백부자), 원지, 노회, 현호색, 주사 각각 4g,
사향 1g, 금박, 은박 각각 3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금박과 은박으로 겉을 입혀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전을].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仙丹][삼선단]  (0) 2018.11.01
[三蛇丹][삼사단]  (0) 2018.11.01
[四炒固眞丹][사초고진단]  (0) 2018.11.01
[四神丹][사신단]  (0) 2018.11.01
[四寶丹][사보단]  (0) 2018.11.01

[四炒固眞丹][사초고진단]
治元藏久虛, 遺精白濁, 五淋七疝, 婦人崩帶等證.
蒼朮一斤剉作四分, 一分以茴香靑鹽各一兩同炒,

一分以烏藥川練子各一兩同炒, 一分以川椒破故紙各一兩同炒,

一分以酒醋同炒, 俱以朮黃色爲度, 只取朮爲末,

以煮藥酒醋打糊和丸梧子大, 空心每取三五十丸.

男子酒下, 婦人醋湯下[入門].

신[元臟]이 오랫동안 허하여 생긴 유정(遺精), 백탁, 다섯 가지 임병,

일곱 가지 산증(疝症), 부인의 붕루(崩漏)와 대하(帶下) 등의 증을 치료한다.
창출 한 근을 썰어 4등분한다.

그 중 한 몫은 회향, 소금 각 한 냥과 함께 볶고,

또 한 몫은 오약, 천련자 각 한 냥과 함께 볶고,

다른 한 몫은 천초, 파고지 각 한 냥과 함께 볶고,

나머지 한 몫은 술, 식초와 함께 볶는데, 모두 창출이 누렇게 될 정도로 볶는다.

다음으로 창출만 골라 가루내어 앞서 창출을 볶을 때 썼던 술과 식초로 풀을 쑤어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서른에서 쉰 알씩 남자는 술로, 부인은 식초를 넣고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醉飽後色慾不節, 傷脾損腎, 脾來剋腎, 土剋水也.

小便黃濁, 其脈脾部洪數, 腎部微澁.

其證尿下如梔子汁, 澄下桶底如石灰脚, 或如血點凝結在內.

法當補養脾胃, 宜此藥[醫鑑].

술에 취하거나 배불리 먹고 난 후 성생활을 무절제하게 하면 비(脾)와 신(腎)을 손상시키는데,

이는 비가 신을 억제하는 것으로, 즉 토(土)가 수(水)를 억제한 것이다.

오줌이 누렇고 흐릴 때 비의 맥을 보면 홍삭(洪數)하고,

신의 맥은 미삽(微澁)하며, 증상은 치자즙 같은 오줌이 나오고

오줌통 밑에 석회가루 같은 것이 가라앉고 곳곳에 엉긴 피가 안에 있다.

이때는 비위를 보하고 길러야 하는데, 이 약이 좋다(의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蛇丹][삼사단]  (0) 2018.11.01
[三癎丹][삼간단]  (0) 2018.11.01
[四神丹][사신단]  (0) 2018.11.01
[四寶丹][사보단]  (0) 2018.11.01
[四白丹][사백단]  (2) 2018.11.01

[四神丹][사신단]
補眞元虛損 陽氣衰少 精髓耗傷 水火不交
雄黃 雌黃 硫黃 朱砂各40g
硏細入 磁盒內 塩泥固濟 慢火燒煆 一伏時 取出 硏細
以糯米粽和 丸如豆大 每一粒 空心 新汲水 呑下(入門).
진원(眞元)이 허손되고 양기가 부족하며 정기(精氣)와 골수(骨髓)가 상하고
신수(腎水)와 심화(心火)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석웅황(웅황), 자황, 유황, 주사 각각 4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갈아서 도자기합에 넣고 소금을 두고
이긴 진흙으로 싸바른 다음 2시간쯤 약한 불에 굽는다.
이것을 꺼내어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찹쌀떡으로 반죽한 다음
콩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새로 길어온 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癎丹][삼간단]  (0) 2018.11.01
[四炒固眞丹][사초고진단]  (0) 2018.11.01
[四寶丹][사보단]  (0) 2018.11.01
[四白丹][사백단]  (2) 2018.11.01
[秘元丹][비원단]   (0) 2018.10.28

[四寶丹][사보단]
治黃病 喫生米 茶葉 黃土 黑炭等物
황달 때 생쌀, 차잎, 누런 흙, 숯 등을 먹는 것을 치료한다.
食生米者 麥芽600g 使君子肉75g 檳榔 南星薑製各37.5g
생쌀을 먹는 데는 보리길금(맥아) 600g, 사군자살(使君子肉) 80g,
빈랑, 천남성(생강즙에 법제한 것) 각각 40g.
食茶葉者 茶葉600g 使君子肉75g 檳榔 南星薑製各37.5g
차잎을 먹는 데는 차잎 600g, 사군자살 80g,
빈랑, 천남성(생강즙에 법제한 것) 각각 40g.
食黃土者 壁土600g 使君子肉75g 檳榔 南星薑製各37.5g
누런 흙을 먹는 데는 담벽흙 600g, 사군자살 80g,
빈랑, 천남성(생강즙에 법제한 것) 각각 40g.
食黑炭者 黑炭600g 使君子肉75g 檳榔 南星薑製各37.5g
숯을 먹는 데는 숯 600g, 사군자살 80g,
빈랑, 천남성(생강즙에 법제한 것) 각각 40g.
爲末 蜜丸 梧子大 砂糖水下50丸(回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해서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이른 새벽에 사탕물로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炒固眞丹][사초고진단]  (0) 2018.11.01
[四神丹][사신단]  (0) 2018.11.01
[四白丹][사백단]  (2) 2018.11.01
[秘元丹][비원단]   (0) 2018.10.28
[飛龍奪命丹][비룡탈명단]  (0) 2018.10.28

[四白丹][사백단]
治中風昏冒能淸肺氣養魄
㴿竹葉三兩, 白芷一兩
白朮, 縮砂, 白茯巔, 香附子, 防風, 川芎, 人參, 甘草 各五錢
羌活, 獨活, 薄荷 各二錢半,

細辛知母 各二錢
藿香, 白檀 各一錢半,

龍腦, 牛黃 各半錢, 麝香一字
右爲末蜜和每一兩作十丸臨臥細嚼一丸以愈風湯 (方見上)送下[易老]
중풍으로 정신이 흐릿한 것을 치료하는데
폐기(肺氣)를 맑게 하고 정신을 들게 한다.
첨죽엽(甛竹葉) 120g, 구릿대(백지) 40g,
흰삽주(백출), 사인, 흰솔풍령, 향부자, 방풍, 궁궁이(천궁), 인삼, 감초 각각 20g,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박하 각각 10g, 족두리풀(세신), 지모 각각 8g,
곽향, 백단향 각각 6g, 용뇌, 우황 각각 2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꿀에 반죽하여 40g으로 알약 10알씩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잠잘 무렵에 잘 씹어서 유풍탕(愈風湯) 달인 물로 넘긴다[역로].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神丹][사신단]  (0) 2018.11.01
[四寶丹][사보단]  (0) 2018.11.01
[秘元丹][비원단]   (0) 2018.10.28
[飛龍奪命丹][비룡탈명단]  (0) 2018.10.28
[備急丹][비급단]   (0) 2018.10.28

[秘元丹][비원단]
治精不禁, 危急者.
龍骨 酒煮焙, 靈砂 水飛 各一兩, 縮砂, 訶子 小者煨取肉 各五錢.
右爲末, 糯米糊和丸, 菉豆大. 溫水下十五丸, 加至三十丸[丹心].
정액이 새어나가는 것을 멈출 수 없어 위급해진 것을 치료한다.
용골(술에 넣어 달인 후 약한 불에 말린 것),

영사(물에 갈아서 수비한 것) 각 한 냥,

사인, 가자(작은 것을 잿불에 묻어 구운 후 살만 발라낸 것) 각 다섯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찹쌀로 쑨 풀로 녹두대의 알약을 만들어,

따뜻한 물로 열다섯 알씩 먹는데, 서른 알까지 점차 늘려 먹는다(단심).

[秘元丹][비원단]
治虛損, 小便不禁, 危急者 方見精門.
허약과 손상으로 오줌을 참지 못하여 위급한 것을 치료한다(처방은 정문에 있다).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寶丹][사보단]  (0) 2018.11.01
[四白丹][사백단]  (2) 2018.11.01
[飛龍奪命丹][비룡탈명단]  (0) 2018.10.28
[備急丹][비급단]   (0) 2018.10.28
[不換金丹][불환금단]   (0) 2018.10.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