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炒固眞丹][사초고진단]
治元藏久虛, 遺精白濁, 五淋七疝, 婦人崩帶等證.
蒼朮一斤剉作四分, 一分以茴香靑鹽各一兩同炒,
一分以烏藥川練子各一兩同炒, 一分以川椒破故紙各一兩同炒,
一分以酒醋同炒, 俱以朮黃色爲度, 只取朮爲末,
以煮藥酒醋打糊和丸梧子大, 空心每取三五十丸.
男子酒下, 婦人醋湯下[入門].
신[元臟]이 오랫동안 허하여 생긴 유정(遺精), 백탁, 다섯 가지 임병,
일곱 가지 산증(疝症), 부인의 붕루(崩漏)와 대하(帶下) 등의 증을 치료한다.
창출 한 근을 썰어 4등분한다.
그 중 한 몫은 회향, 소금 각 한 냥과 함께 볶고,
또 한 몫은 오약, 천련자 각 한 냥과 함께 볶고,
다른 한 몫은 천초, 파고지 각 한 냥과 함께 볶고,
나머지 한 몫은 술, 식초와 함께 볶는데, 모두 창출이 누렇게 될 정도로 볶는다.
다음으로 창출만 골라 가루내어 앞서 창출을 볶을 때 썼던 술과 식초로 풀을 쑤어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서른에서 쉰 알씩 남자는 술로, 부인은 식초를 넣고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입문).
醉飽後色慾不節, 傷脾損腎, 脾來剋腎, 土剋水也.
小便黃濁, 其脈脾部洪數, 腎部微澁.
其證尿下如梔子汁, 澄下桶底如石灰脚, 或如血點凝結在內.
法當補養脾胃, 宜此藥[醫鑑].
술에 취하거나 배불리 먹고 난 후 성생활을 무절제하게 하면 비(脾)와 신(腎)을 손상시키는데,
이는 비가 신을 억제하는 것으로, 즉 토(土)가 수(水)를 억제한 것이다.
오줌이 누렇고 흐릴 때 비의 맥을 보면 홍삭(洪數)하고,
신의 맥은 미삽(微澁)하며, 증상은 치자즙 같은 오줌이 나오고
오줌통 밑에 석회가루 같은 것이 가라앉고 곳곳에 엉긴 피가 안에 있다.
이때는 비위를 보하고 길러야 하는데, 이 약이 좋다(의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蛇丹][삼사단] (0) | 2018.11.01 |
---|---|
[三癎丹][삼간단] (0) | 2018.11.01 |
[四神丹][사신단] (0) | 2018.11.01 |
[四寶丹][사보단] (0) | 2018.11.01 |
[四白丹][사백단] (2) | 2018.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