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淵然眞人奪命丹][연연진인탈명단]
專治一切發背 陰疽 丁瘡 惡瘡 無名腫毒 服之,
便起發有頭不痛者 服之,立愈, 此乃惡證藥中 至寶也
雄黃12g
蟾穌乾則酒化 乳香 沒藥 銅綠 各8g
血竭 膽礬 寒水石 各4g
輕粉 麝香 龍腦各2g
蝸牛21箇連殼用 蜈蚣一條酒灸
爲末 蝸牛硏作泥和丸菉豆大,
若丸不就 以酒煮麪糊和爲丸 朱砂末8g 爲衣,
每服只2丸, 先以葱白三寸, 病人嚼爛 吐在手心,
男左女右 將藥丸在葱內 以熱酒二四盞 送下,
衣服盖覆 約人行五里 久 再以熱酒數盃 助弱力
發熱 汗大出爲度 如無汗 再服2丸(丹心).
一名 [飛龍奪命丹] (醫鑒).
모든 등창[發背], 음저(陰疽), 정창(丁瘡), 악창(惡瘡),
원인 모를 종독(腫毒)을 치료한다.
이 약을 먹으면 헌데 끝이 생기지 않았던 것은
끝이 생기고 아프지 않던 것은 곧 아프다.
이미 곪은 데 먹으면 곧 낫는다.
이 약이 옹저 때 나쁜 증상을 치료하는 약 가운데서 제일 좋은 것이다.
석웅황(웅황) 12g,
두꺼비진(섬소, 말랐으면 술에 녹여야 한다), 유향, 몰약, 동록 각각 8g,
혈갈, 담반, 한수석 각각 4g, 경분, 사향, 용뇌 각각 2g,
달팽이 21개(와우, 껍질째로 쓴다), 왕지네 1개(오공, 술을 발라 구운 것).
위의 약들을 가루낸다.
그 다음 달팽이를 풀지게 갈아서 가루약과 함께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드는데 만약 알약이 잘 빚어지지 않으면 술에 쑨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든다. 다음 주사 8g으로 알약들의 겉에 입힌다.
한번에 2알씩 쓰는데 먼저 환자가 파밑(총백) 3치를 잘 씹어서
남자는 왼손 바닥에 여자는 오른손 바닥에 놓고 거기에 알약을 싸서
데운 술 3∼4잔으로 먹어야 한다.
그 다음 30분 정도 이불을 덮고 있다가 다시 데운 술 몇 잔을 마셔서
약 기운을 도와주어야 한다.
그러면 열이 나고 땀이 몹시 난다.
만약 땀이 나지 않으면 또 2알을 먹어야 한다[단심].
일명 비룡탈명단(飛龍奪命丹)이라고 한다[의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白丹][사백단] (2) | 2018.11.01 |
---|---|
[秘元丹][비원단] (0) | 2018.10.28 |
[備急丹][비급단] (0) | 2018.10.28 |
[不換金丹][불환금단] (0) | 2018.10.28 |
[復元丹][복원단] (0) | 2018.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