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復元丹][복원단]
夫心腎眞火 能生脾肺眞土 今眞火旣虧 不能滋養眞土
故土不制水 水液妄行 三焦不瀉 樞機不運 腫脹滿溢
喘息奔急 股冷舌乾 不能正偃 小便不通
澤瀉100g 附子炮80g
木香 茴香炒 川椒 獨活 厚朴 白朮略炒 橘皮 吳茱萸 桂心 各40g
肉豆寇煨 檳樃 各20g
爲末 糊丸梧子大 紫蘇湯下50丸,
此藥 世傳累驗 其間君臣佐使 與造物同妙
當屛去諸藥一日三服 且禁慾絶鹹 半年(得效).
심과 신의 진화가 비와 폐의 진토(眞土)를 생기게 하는데
진화가 부족하여 진토를 자양하지 못하면 토(土)가 약해져서
수(水)를 억제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수기가 허투루 돌게 되고 3초(三焦)가 막혀서 작용을 잘하지 못하게 된다.
때문에 부종이나 창만이 생기는데 이때에는 숨이 몹시 차고 다리가 싸늘하며
혀가 마르고 몸을 가누지 못하며 오줌이 나오지 않는다.
이런 것을 치료한다.
택사 100g, 부자(싸서 구운 것) 80g,
목향, 회향(닦은 것), 조피열매(천초), 따두릅(독활), 후박,
흰삽주(백출, 약간 닦은 것), 귤껍질(橘皮), 오수유, 계심 각각 40g,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빈랑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풀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차조기잎(자소엽)을 달인 물로 먹는다.
이 약은 대대로 전해 내려오면서 여러 번 써서 효과를 많이 본 것이다.
그리고 주약[君], 신약[臣], 좌약[佐], 사약[使]이 알맞게 만들어졌고
인경약과 함께 닦아 쓰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다른 약은 다 쓰지 말고 이 약만 하루 세번씩 먹으면 된다.
그리고 성생활과 짠 것을 반년 동안 금해야 한다[득효].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備急丹][비급단]   (0) 2018.10.28
[不換金丹][불환금단]   (0) 2018.10.28
[復陽丹][복양단]  (0) 2018.10.28
[保幼化風丹][보유화풍단]  (0) 2018.10.28
[補髓丹][보수단]   (0) 2018.10.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