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胃丹][소위단]
取膈上濕痰熱積, 上可取胸膈之痰,
下可利腸胃之痰, 惟胃虛少食者忌用.
又云, 治風痰熱痰濕痰食積痰.
芫花 醋浸一宿炒黑,
甘遂 麵褁煨熟水浸半日晒乾,
大戟 長流水煮 晒乾 各五錢,
大黃 濕紙褁煨再用酒浸炒熟 一兩,
黃柏 炒二兩.
右爲末, 粥丸麻子大. 每十丸, 臨臥, 津嚥下[丹心].
一方, 白朮膏和丸, 蘿葍子大. 臨臥, 津液嚥下二三十丸, 白湯送下.
가슴 위의 습담과 열이 쌓여 있는 것을 다스리는데[取],
위로는 가슴의 담을 다스리고 아래로는 장위(腸胃)의 담이 막히지 않게 한다.
위(胃)가 허하고 식사를 조금밖에 하지 못하는 사람은 사용을 피한다.
또 풍담, 열담, 습담, 식적담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원화(식초에 하룻밤 담갔다가 검게 볶은 것),
감수(밀가루로 싸서 잿불에 묻어 구운 다음
끓인 물에 한나절 동안 담가두었다가 햇볕에 말린 것),
대극(장류수에 삶아서 햇볕에 말린 것) 각 다섯 돈,
대황(젖은 종이에 싸서 잿불에 묻어 구운 다음 술에 담갔다가 볶아서 익힌 것) 한 냥,
황백(볶은 것) 두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죽으로 반죽하여 마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열 알씩 잠자리에 들 때 침으로 삼킨다(단심).
어떤 처방에서는 백출고로 반죽하여 나복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잠자리에 들 때 스물에서 서른 알씩 침으로 먹거나 끓인 물로 먹는다고 하였다.
[加味小胃丹][가미소위단]
治風痰 痞積 眩暈 喉痺 癱瘓 不語 腹中痞塊 等證 神效
小胃丹一劑方見下, 加南星, 半夏幷用, 白礬 皂
角薑汁水煮十五次 各100g
蒼朮用米泔, 白礬皂角水浸一宿炒80g
桃仁 杏仁幷以白礬 皂角水泡半日炒 白朮 白芥子炒 各40g
爲末薑汁竹瀝煮 神曲爲糊和丸 綠豆大 每服20~30丸,
薑湯下(入門).
[醫鑑] 一名 [導痰小胃丹].
[回春] 一名 [竹瀝化痰丸].
풍담(風痰), 비적( 積), 어지럼증, 후비증(喉痺證), 반신불수,
말을 못하는 것, 뱃속에 비괴( 塊)가 있는 증을 치료하는 데 잘 낫는다.
[註] 비적( 積) : 배속에 적이 생겨 더부룩한 것.
소위단(小胃丹)의 약 1제에 천남성,
끼무릇(반하, 이 2가지는 백반, 주염열매, 생강즙을 물에 15번 달인 것) 각각 100g,
삽주(쌀뜸물에 백반과 주염열매를 넣고 달인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볶은 것) 80g,
복숭아씨(도인),
살구씨(행인, 이 2가지는 백반과 주염열매(조협)를 달인 물에 우려서 끝을 버린 것),
잇꽃(술에 찐 것), 귤껍질(陳皮),
지실(이 2가지는 백반물에 한나절 동안 우려서 볶은 것),
흰삽주(백출), 흰겨자(닦은 것)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생강즙과 참대기름에 쑨 약누룩풀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의감]에는 도담소위단(導痰小胃丹)이라고 하였고
[회춘]에는 죽력화담환(竹瀝化痰丸)이라고 하였다.
芫花醋浸一宿炒黑 甘遂麵裹煨熟水浸半日晒
乾 大戟長流水煮晒乾 各20g
大黃濕紙裹煨再用酒浸炒熟40g , 黃柏炒80g.
爲末 粥丸麻子大 每10丸 臨臥 津嚥下(丹心).
원화(식초에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거멓게 볶은 것),
감수(밀가루반죽에 싸서 잿불에 묻어 구워 끓인 물에
한나절 동안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버들옻(대극, 강물을 붓고 삶아서 햇볕에 말린 것) 각각 20g,
대황(젖은 종이에 싸서 잿불에 묻어 구운 다음 술에 담갔다가 잘 볶은 것) 40g,
황백(닦은 것)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죽에 반죽하여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잠잘 무렵에 녹여서 먹는다[단심].
一方, 白朮膏 和丸蘿葍子大 臨臥 津液嚥下 20~30丸 白湯 送下.
어떤 처방은 흰삽주(백출)로 만든 고약에 반죽하여 무씨(나복자)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잠잘 무렵에 20-30알씩
물고 녹여 먹거나 끓인 물로 먹게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