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水陸丹] [水陸二仙丹]
金櫻子洗淨 甑中蒸熟淋 取汁銀銚內 慢火熬稀膏 和芡粉
芡實肉(硏爲粉) 各等分
酒糊 或乳汁爲丸 如梧子大每服30丸 食前 溫酒
或鹽湯 送下(正傳).
補眞 秘精 甚佳(本草).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勝金丹][승금단]  (0) 2018.11.01
[水陸二仙丹][수육이선단]   (0) 2018.11.01
[鎖陽丹][쇄양단]   (0) 2018.11.01
[松蘂丹][송예단]  (0) 2018.11.01
[續嗣丹][속사단]   (0) 2018.11.01

[鎖陽丹][쇄양단]
治脫精滑泄不禁.
桑螵蛸 灸 三兩,
龍骨, 白茯苓 各一兩.
右爲末, 糊丸梧子大.

煎茯苓鹽湯下七十丸[得效].
탈정으로 정액이 계속 새어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상표초(구운 것) 석 냥, 용골, 백복령 각 한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풀로 오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복령과 소금을 넣어 달인 물로 일흔 알씩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陸二仙丹][수육이선단]   (0) 2018.11.01
[水陸丹][수육단]   (0) 2018.11.01
[松蘂丹][송예단]  (0) 2018.11.01
[續嗣丹][속사단]   (0) 2018.11.01
[蘇靑丹][소청단]   (0) 2018.11.01

[松蘂丹][송예단]
治龜背
松花 枳殼 防風 獨活 各40g
麻黃 大黃 前胡 桂心 各20g
爲末 蜜丸黍米大 粥飮下10丸(得效).
구배(龜背)를 치료한다.
솔꽃가루(松花), 지각, 방풍, 따두릅(독활) 각각 40g,
마황, 대황, 전호, 계심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기장쌀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죽이나 미음으로 먹인다[득효].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陸丹][수육단]   (0) 2018.11.01
[鎖陽丹][쇄양단]   (0) 2018.11.01
[續嗣丹][속사단]   (0) 2018.11.01
[蘇靑丹][소청단]   (0) 2018.11.01
[小胃丹][소위단]   (0) 2018.11.01

[續嗣丹][속사단]
無子宜服
山茱萸 天門冬 麥門冬 各100g,  破故紙炒160g
토絲子 枸杞子 覆盆子 蛇床子 巴戟 熟地黃 韭子炒60g
龍骨 黃芪 牡蠣 山藥 當歸 鎖陽 各40g

人參 杜冲 各30g
陳皮 白朮 各20g

黃狗外腎酥灸2對
爲末 用紫河車1具蒸製 同門冬 地黃 爛搗 他藥並爲細末 煉蜜和勻
搗千杵 作丸梧子大 每取100丸 空心及臨臥 以溫酒 或塩湯 任意呑下(入門).
임신하지 못하는 데 먹으면 좋다.
산수유, 천문동, 맥문동 각각 100g, 파고지(닦은 것) 160g,
새삼씨(토사자), 구기자, 복분자, 뱀도랏열매(사상자), 파극,
찐지황(숙지황), 부추씨(닦은 것) 각각 60g,
용골, 단너삼(황기), 굴조개껍질(모려), 마(산약), 당귀, 쇄양 각각 40g,
인삼, 두충 각각 30g, 귤껍질(陳皮), 흰삽주(백출) 각각 20g,
누른 개[黃狗]의 불알 2쌍(연유를 발라 구워 가루낸다).
위의 약에서 천문동, 맥문동, 찐지황을 자하거 1보를 찐 데다 넣고 잘 짓찧는다.
그리고 나머지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꿀과 함께 짓찧은 약에 넣고
반죽한 다음 잘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빈속과 잠잘 무렵에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鎖陽丹][쇄양단]   (0) 2018.11.01
[松蘂丹][송예단]  (0) 2018.11.01
[蘇靑丹][소청단]   (0) 2018.11.01
[小胃丹][소위단]   (0) 2018.11.01
[宣聖辟瘟丹][선성벽온단]   (0) 2018.11.01

[蘇靑元] 一名 [蘇靑丹]
和氣 宇散風痰
靑州白圓子(半夏28g 天南星120g 白附子80g 川烏20g
生爲細末 淸水浸 春五 夏三 秋七 冬十日 朝夕 換水 候日數足乃取
納生絹袋中 濾過其滓 再硏濾過 以盡爲度澄淸 去水 晒乾 爲末)末120g
蘇合香元(白朮 唐木香 沈香 麝香 丁香 安息香 白丹香 朱砂半爲衣 犀角
訶子 香附子 蓽撥各80g 蘇合油入安息香膏內 乳香 龍腦各40g細末)末40g
和勻 薑汁糊和 丸梧子大 淡薑湯下30~40丸(丹心).
기를 고르게[和] 하고 풍담(風痰)을 헤친다.
청주백원자약재가루 120g,

소합향원약재가루 40g.
위의 약들을 생강즙에 쑨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40알씩 생강을 연하게 달인 물로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松蘂丹][송예단]  (0) 2018.11.01
[續嗣丹][속사단]   (0) 2018.11.01
[小胃丹][소위단]   (0) 2018.11.01
[宣聖辟瘟丹][선성벽온단]   (0) 2018.11.01
[犀角化毒丹][서각화독단]   (0) 2018.11.01

[小胃丹][소위단]
取膈上濕痰熱積, 上可取胸膈之痰,

下可利腸胃之痰, 惟胃虛少食者忌用.

又云, 治風痰熱痰濕痰食積痰.
芫花 醋浸一宿炒黑,

甘遂 麵褁煨熟水浸半日晒乾,

大戟 長流水煮 晒乾 各五錢,

大黃 濕紙褁煨再用酒浸炒熟 一兩,

黃柏 炒二兩.
右爲末, 粥丸麻子大. 每十丸, 臨臥, 津嚥下[丹心].

一方, 白朮膏和丸, 蘿葍子大. 臨臥, 津液嚥下二三十丸, 白湯送下.
가슴 위의 습담과 열이 쌓여 있는 것을 다스리는데[取],

위로는 가슴의 담을 다스리고 아래로는 장위(腸胃)의 담이 막히지 않게 한다.

위(胃)가 허하고 식사를 조금밖에 하지 못하는 사람은 사용을 피한다.

또 풍담, 열담, 습담, 식적담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원화(식초에 하룻밤 담갔다가 검게 볶은 것),

감수(밀가루로 싸서 잿불에 묻어 구운 다음

끓인 물에 한나절 동안 담가두었다가 햇볕에 말린 것),

대극(장류수에 삶아서 햇볕에 말린 것) 각 다섯 돈,

대황(젖은 종이에 싸서 잿불에 묻어 구운 다음 술에 담갔다가 볶아서 익힌 것) 한 냥,

황백(볶은 것) 두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죽으로 반죽하여 마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열 알씩 잠자리에 들 때 침으로 삼킨다(단심).

어떤 처방에서는 백출고로 반죽하여 나복자대의 알약을 만들어,

잠자리에 들 때 스물에서 서른 알씩 침으로 먹거나 끓인 물로 먹는다고 하였다.


[加味小胃丹][가미소위단]

治風痰 痞積 眩暈 喉痺 癱瘓 不語 腹中痞塊 等證 神效

小胃丹一劑方見下, 加南星, 半夏幷用, 白礬 皂

角薑汁水煮十五次 各100g

蒼朮用米泔, 白礬皂角水浸一宿炒80g

桃仁 杏仁幷以白礬 皂角水泡半日炒 白朮 白芥子炒 各40g

爲末薑汁竹瀝煮 神曲爲糊和丸 綠豆大 每服2030,

薑湯下(入門).

[醫鑑] 一名 [導痰小胃丹].

[回春] 一名 [竹瀝化痰丸].

풍담(風痰), 비적( ), 어지럼증, 후비증(喉痺證), 반신불수,

말을 못하는 , 뱃속에 비괴( ) 있는 증을 치료하는 낫는다.

[] 비적( ) : 배속에 적이 생겨 더부룩한 .

소위단(小胃丹) 1제에 천남성,

끼무릇(반하, 2가지는 백반, 주염열매, 생강즙을 물에 15 달인 ) 각각 100g,

삽주(쌀뜸물에 백반과 주염열매를 넣고 달인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볶은 ) 80g,

복숭아씨(도인),

살구씨(행인, 2가지는 백반과 주염열매(조협) 달인 물에 우려서 끝을 버린 ),

잇꽃(술에 ), 귤껍질(陳皮),

지실( 2가지는 백반물에 한나절 동안 우려서 볶은 ),

흰삽주(백출), 흰겨자(닦은 )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생강즙과 참대기름에 약누룩풀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0-3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의감]에는 도담소위단(導痰小胃丹)이라고 하였고

[회춘]에는 죽력화담환(竹瀝化痰丸)이라고 하였다.


芫花醋浸一宿炒黑 甘遂麵裹煨熟水浸半日晒

大戟長流水煮晒乾 各20g

大黃濕紙裹煨再用酒浸炒熟40g , 黃柏80g.

爲末 粥丸麻子大 每10丸 臨臥 津嚥下(丹心).

원화(식초에 하룻밤 담가 두었다가 거멓게 볶은 ),

감수(밀가루반죽에 싸서 잿불에 묻어 구워 끓인 물에

한나절 동안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

버들옻(대극, 강물을 붓고 삶아서 햇볕에 말린 ) 각각 20g,

대황(젖은 종이에 싸서 잿불에 묻어 구운 다음 술에 담갔다가 볶은 ) 40g,

황백(닦은 )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죽에 반죽하여 삼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알씩 잠잘 무렵에 녹여서 먹는다[단심].

一方, 白朮膏 和丸蘿子大 臨臥 津液嚥下 2030 白湯 送下.

어떤 처방은 흰삽주(백출)로 만든 고약에 반죽하여 무씨(나복자)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잠잘 무렵에 20-30알씩 물고 녹여 먹거나 끓인 물로 먹게 되어 있다.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續嗣丹][속사단]   (0) 2018.11.01
[蘇靑丹][소청단]   (0) 2018.11.01
[宣聖辟瘟丹][선성벽온단]   (0) 2018.11.01
[犀角化毒丹][서각화독단]   (0) 2018.11.01
[塞耳丹][색이단]   (0) 2018.11.01

[宣聖辟瘟丹][선성벽온단]
臘月24日平朝 取井華水 盛淨器中量人口多少浸乳香 至歲朝五更湯令溫
從少至大 每人 以乳香一小塊 飮水一二呷 嚥下則一年不患 時疫(醫鑒).
음력 섣달 24일 아침에 우물물을 떠다가 깨끗한 그릇에 부어놓고
여기에 유향을 담가두는데 가족수에 따라 적당한 양을 담가두었다가
다음해 정월 초하룻날 날샐 무렵에 달여 어린이로부터 늙은이에 이르기까지
다 유향 작은 덩어리 1개씩 물 1-2모금으로 넘기면
1년 동안 돌림병에 걸리지 않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蘇靑丹][소청단]   (0) 2018.11.01
[小胃丹][소위단]   (0) 2018.11.01
[犀角化毒丹][서각화독단]   (0) 2018.11.01
[塞耳丹][색이단]   (0) 2018.11.01
[賽命丹][새명단]  (0) 2018.11.01

[犀角化毒丹][서각화독단]
治痘疹餘毒 未解頭面身體 多生癰癤 或唇口腫破生瘡 牙齦出血 口臭
桔梗40g

連翹 玄參 各24g

生乾地黃酒洗 赤茯苓 鼠粘子微炒 各20g
焰硝 犀角鎊 甘草各12g,  靑黛8g
爲末 蜜和 每40g 分作20丸 每一丸 薄荷湯化下(醫鑒).
마마의 여독이 풀리지 않아서 머리와 얼굴, 몸에 흔히 옹(癰)이나
절(癤)이 생겼거나 입술과 입이 부어 터져서 헌데가 생겼거나
잇몸에서 피가 나오고 입에서 냄새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길경) 40g, 연교, 현삼 각각 24g,
생건지황(술로 씻은 것), 벌건솔풍령(적복령), 우엉씨(서점자, 약간 닦은 것) 각각 20g,
염초, 서각가루, 감초 각각 12g, 청대 8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매 40g으로 20알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박하 달인 물에 풀어 먹인다[의감].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胃丹][소위단]   (0) 2018.11.01
[宣聖辟瘟丹][선성벽온단]   (0) 2018.11.01
[塞耳丹][색이단]   (0) 2018.11.01
[賽命丹][새명단]  (0) 2018.11.01
[上丹][상단]   (0) 2018.11.01

[塞耳丹][색이단]
治氣壅塞聾聵.
石菖蒲 一寸, 巴豆肉 一粒, 全蝎 一箇.
爲末, 葱涎和如棗核大, 綿裹塞耳[得效].
기(氣)가 막혀서 고름이 나오고 귀가 먹은 것을 치료한다.
석창포 한 마디, 파두육 한 알, 전갈 한 마리.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파즙[葱涎]으로 반죽하여

대추씨만하게 만들어 솜에 싸서 귀를 틀어막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宣聖辟瘟丹][선성벽온단]   (0) 2018.11.01
[犀角化毒丹][서각화독단]   (0) 2018.11.01
[賽命丹][새명단]  (0) 2018.11.01
[上丹][상단]   (0) 2018.11.01
[三聖丹][삼성단]  (0) 2018.11.01

[賽命丹][새명단]
治癰疽 發背 疔瘡 乳癰 魚口便毒 一切無名腫毒
賽飛龍奪命丹方見下 蟾酥 朱砂 雄黃 膽礬 血竭 乳香 沒藥 各12g
蜈蚣 麝香 各2g

細辛 全蝎 蟬退 穿山甲 白殭蠶 猪牙皂角 各24g
白礬(以信石少許 同枯 去信石) 片腦 各2g
爲末 端午日 以酒糊和 丸菉豆大 每3丸 以葱酒一小鍾 呑下 被盖出汗
或吐或不汗再服 白粥調理 (入門).
옹저(癰疽), 등창[發背], 정창(丁瘡), 유옹(乳癰), 어구창(魚口瘡), 변독(便毒)과
일체 원인 모를 종독(腫毒)을 치료하는데 새비룡탈명단(賽飛龍奪命丹) 처방과 같다.
두꺼비진(섬소), 주사, 석웅황(웅황), 담반, 혈갈, 유향, 몰약 각각 12g,
왕지네(오공), 사향 각각 2g,
족두리풀(세신), 전갈, 매미허물(선퇴), 천산갑, 백강잠, 주염열매(猪牙 角) 각각 24g,
백반(신석 조금과 함께 구워 신석은 버린 것), 용뇌 각각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단오날 술로 쑨 풀에 반죽해서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알씩 파를 넣은 술 작은 종지 하나로 먹은 다음 이불을 덮고 땀을 낸다.
토하거나 땀이 나지 않으면 다시 먹고 흰죽을 먹어서 조리해야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犀角化毒丹][서각화독단]   (0) 2018.11.01
[塞耳丹][색이단]   (0) 2018.11.01
[上丹][상단]   (0) 2018.11.01
[三聖丹][삼성단]  (0) 2018.11.01
[三仙丹][삼선단]  (0) 2018.11.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