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黑礬][흑반] 


又名爣礬療疳媞染鬚髮藥用之[入門]
또는 조반( 礬)이라고도 한다.
감닉창(疳 瘡)을 낫게 하며 수염과 머리털을 물들이는 데 쓴다[입문].

'[湯液篇] > [石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空靑][공청]   (0) 2019.09.08
[紅礬][홍반]   (0) 2019.09.08
[綠礬][녹반]   (0) 2019.09.08
[礬石][반석]   (0) 2019.09.08
[石鍾乳][석종유]   (0) 2019.09.07

[綠礬][녹반]


性凉無毒

治喉痺猼牙痛口瘡及惡瘡疥癬多入咽喉口齒藥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없다.
후비증, 벌레먹은 이빨, 입이 헌 것, 악창, 옴과 버짐 등을 낫게 하며

목구멍, 입, 이빨에 생긴 병에 많이 넣어 쓴다.
一名[靑礬]乃銅之精液火禭醋柒三次用乃抑肝助脾之藥也

又云醋製以平肝[入門] 
일명 청반(靑礬)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구리의 정액이다.
불에 달구워 식초에 담그기를 세번 반복하여 쓴다.
이 약은 간기를 억제하고 비를 돕는 약이다.
또한 식초에 법제하여 쓰면 간기를 고르게 한다고 한다[입문].  

'[湯液篇] > [石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紅礬][홍반]   (0) 2019.09.08
[黑礬][흑반]   (0) 2019.09.08
[礬石][반석]   (0) 2019.09.08
[石鍾乳][석종유]   (0) 2019.09.07
[雲母][운모]   (0) 2019.09.07

[礬石][반석 / 백반] 


性寒(一云冷)味酸澁無毒

消痰止痢療陰蝕惡瘡去鼻中息肉

治急喉閉堅骨齒主岤嵤鼠瘻疥癬
성질은 차며[寒](서늘하다고도 한다) 맛은 시고[酸] 떫으며[澁] 독이 없다.
담을 삭이고 이질을 멎게 하며 음식창과 악창을 낫게 하고

코의 군살을 없애고 갑자기 목구멍이 막힌 것을 낫게 한다.
뼈와 이빨을 든든하게 하며 나력, 서루(鼠瘻), 옴 등을 낫게 한다.
卽今白礬也白色光明者

佳細硏入瓦罐中火禭半日色白如粉者名枯礬通

治諸瘡去惡生肌之妙劑也惟化痰生用

又有綠礬黑礬紅礬
즉 지금의 백반(白礬)이다.

빛이 희고 광택이 있고 말간 것이 좋다.
보드랍게 갈아서 질그릇에 넣고 한나절 동안 불에 달구워

빛이 분같이 희게 된 것을 고백반[枯礬]이라고 한다.
여러 가지 헌데를 낫게 하는데 궂은 것은 없애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는 좋은 약이다.
다만 가래를 삭이는 데는 생것을 쓴다.
또한 녹반(綠礬), 흑반(黑礬), 홍반(紅礬) 등이 있다.
白礬水化書紙上瀮乾水不能濡故知其性却濕治涎[本草]
백반을 물에 풀어 종이에 글을 쓰면 그 물기가 마를 때부터 거기에 물이 묻지 않는다.
이것으로 백반의 성질이 습한 것을 없앤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담연을 치료하는 데 쓴다[본초]. 

'[湯液篇] > [石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礬][흑반]   (0) 2019.09.08
[綠礬][녹반]   (0) 2019.09.08
[石鍾乳][석종유]   (0) 2019.09.07
[雲母][운모]   (0) 2019.09.07
[朱砂][주사]   (0) 2017.11.12

[石鍾乳][석종유] 


性溫味甘無毒

補五勞七傷安五藏利九竅補虛損明目益精强陰治下焦傷竭脚弱疼冷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5로 7상을 보하며 5장을 편안하게 하고 9규를 잘 통하게 하며 허손을 보하고 눈을 밝게 한다.

또 정을 돕고 성욕을 세게 하며 하초가 손상되어 다리가 약해지고 아프고 시린 데 쓴다.
生深山石穴中形如冬月詹氷通明輕薄如鵝翎管色白者爲佳
깊은 산 동굴 속에 있으며 그 생김새는 겨울에 처마끝에 달린 고드름같고 투명하며

가벼운 것이 거위깃의 대롱 같으면서 빛이 흰 것이 좋다.
須細硏水飛更硏三晝夜如衣魚粉便堪入藥[本草]
보드랍게 가루내어 수비하고 다시 밤낮 3일 동안 갈아서

옷좀가루와 같이 되어야 약에 쓸 수 있다[본초].
凡石藥冷熱皆有毒正宜斟酌內經曰石藥之氣悍不可久服明矣
돌로 된 약은 차거나 덥거나 다 독이 있다.

잘 짐작하여 써야 한다.
내경에 돌로 된 약은 약 기운이 맹렬하다고 하였으므로 오래 먹어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凡言石藥卽石鍾乳也古人多餌之[入門]
보통 돌로 된 약이라고 말하는 것은 즉 석종유이며 옛사람들이 많이 먹었다[입문].

'[湯液篇] > [石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礬][흑반]   (0) 2019.09.08
[綠礬][녹반]   (0) 2019.09.08
[礬石][반석]   (0) 2019.09.08
[雲母][운모]   (0) 2019.09.07
[朱砂][주사]   (0) 2017.11.12

[雲母][운모 / 돌비늘]


性平味甘無毒

主五勞七傷虛損少氣安五藏益子精明目補中止痢
성질은 평(平)하고 맛은 달며[甘] 독이 없다.
5로 7상, 허손으로 숨결이 약하고 기운이 없는 것을 낫게 한다.
5장을 편안하게 하고 정액을 보충하고 눈을 밝게 하며 중초를 보하고 이질을 멎게 한다.
在處有之以色白明透輕薄如蟬糞者爲上[本草]
곳곳에 있으며 빛이 희고 투명하며 엷고 가벼워 매미날개(蟬翼)와 같은 것이 좋다[본초].
火禭紅醋柒七次硏水飛望乾更硏如粉入藥[入門]
불에 빨갛게 달구워 식초에 담그기를 일곱번 반복하여 수비해서 햇볕에 말린 다음

다시 분같이 갈아 약에 쓴다[입문].

'[湯液篇] > [石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黑礬][흑반]   (0) 2019.09.08
[綠礬][녹반]   (0) 2019.09.08
[礬石][반석]   (0) 2019.09.08
[石鍾乳][석종유]   (0) 2019.09.07
[朱砂][주사]   (0) 2017.11.12

[眞珠][진주] 


性寒無毒

鎭安心神明目駐顔色療耳聾治手足皮膚逆嵉
성질은 차며[寒] 독이 없다.

마음과 정신을 진정시키고 눈을 밝게 하며

얼굴을 젊어지게 하고 귀머거리를 낫게 한다.
또한 손발의 피부가 붓는 것을 낫게 한다.
生於大海蚌蛤之中石決明亦有之入藥須用新完未經鑽綴者爲佳
바다진주조개나 전복 속에도 있다.

약으로 쓸 때에는 온전하고 새것으로 쓰며 뚫거나 붙이지 않은 것이 좋다.
入藥須久硏如粉方堪服餌[本草]
약에는 오래 갈아 분가루처럼 해서 먹는다[본초].

'[湯液篇] > [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珊瑚][산호]   (0) 2019.09.07
[硶崿][파려]   (0) 2019.09.07
[玉屑][옥설]  (0) 2017.11.12

[珊瑚][산호] 


性平味甘無毒

鎭心止驚明目去目次止鼻婼製法同上
성질은 평(平)하며 맛은 달고[甘] 독이 없다.
마음을 진정시키고 놀라는 증을 멈추며 눈을 밝게 하고 예장을 없애며 코피를 멎게 한다.

법제는 파려와 같다.
生大海水底有枝幹如樹狀色紅潤漁人網得之[本草]
바다 밑에서 나며 모양은 가지와 줄기가 있어 나무모양이고 빛은 붉고 윤택하다.

어부가 그물로 건진다[본초].

'[湯液篇] > [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眞珠][진주]   (0) 2019.09.07
[硶崿][파려]   (0) 2019.09.07
[玉屑][옥설]  (0) 2017.11.12

[硶崿][파려


性寒一云冷味辛無毒

安心止驚悸明目磨次障

성질은 차며[](서늘하다고도 한다) 맛은 맵고[] 독이 없다.

마음을 안정시키며 경계증을 낫게 한다. 눈을 밝게 하고 예장을 없앤다.

此西國之寶也佛經云七寶謂金銀瑠璃車渠馬腦硶崿眞珠是也[本草] 

이것은 서쪽나라의 보배이다.

불경에서 7보라 한 것은 금, , 유리, 차거(車渠), 마뇌(馬腦), 파려, 진주가

바로 이것이다[본초].

入藥細硏水飛用[入門]

약으로 쓸 때에는 보드랍게 가루내어 수비하여 쓴다[입문].   

'[湯液篇] > [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眞珠][진주]   (0) 2019.09.07
[珊瑚][산호]   (0) 2019.09.07
[玉屑][옥설]  (0) 2017.11.12

[白蠟][백랍 / 물푸래나무진] 


生肌止血定痛接骨續筋補虛止咳止瀉潤肺藏厚腸胃殺勞盤
새살을 살아나게 하며 지혈과 통증을 멎게 한다.
또 힘줄과 뼈를 잇고 허한 것을 보하며 설사와 기침을 낫게 한다.
또한 폐를 눅여 주고 장위(腸胃)를 든든하게 하며 노채충을 죽인다.
一名[盤蠟]冬靑樹上細盤食樹液而成者屬金專稟收斂堅凝之氣外科之要藥也

得合歡皮良肉膏神效[入門]
일명 충랍(蟲蠟)이라고도 하는데 동청나무에 있는 작은 벌레가 나무진을 먹고 된 것이다.
금(金)에 속하기 때문에 주로 아물게만 하고 단단히 엉키는 힘을 가지고 있어서

외과에 좋은 약으로 쓰인다.
자귀나무껍질과 배합하면 좋다.

살을 살아 나오게 하는 고약에 넣으면 아주 효과가 좋다[입문].
在處有之濟州尤多産作燭明淨甚佳勝蜜蠟[俗方]
곳곳에 있으며 제주도에서 더욱 많이 난다.

초를 만들어 쓰면 밝고 깨끗하여 좋은데 황랍보다도 좋다[속방].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圓][자광]   (0) 2019.09.07
[血竭][혈갈]  (0) 2019.09.07
[大風子][대풍자]   (0) 2019.09.07
[石南葉][석남엽]   (0) 2019.09.07
[楸木皮][추목피]   (0) 2019.09.07

[紫圓][자광]


治濕痒瘡疥癬
축축하면서 가려운 헌데와 옴버짐을 낫게 한다.
亦木脂液結成形若爛石與血竭同條而功效全別[入門]
나무진이 엉켜서 된 것인데 생김새는 부스러진 돌과 같으며

혈갈과 같다고 하나 약 효능은 전혀 다르다[입문].

'[湯液篇] > [木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蠟][백랍]   (0) 2019.09.07
[血竭][혈갈]  (0) 2019.09.07
[大風子][대풍자]   (0) 2019.09.07
[石南葉][석남엽]   (0) 2019.09.07
[楸木皮][추목피]   (0) 2019.09.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