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糯米][나미 / 찹쌀] 

 
止泄瀉.

半生半炒煮粥食, 甚效[醫鑑].
설사를 멈추게 한다.
반은 날것으로, 반은 볶아서 죽을 쑤어서 먹으면 효과가 좋다(의감).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鸎粟殼][앵속각]  (0) 2020.01.10
[神麴][신곡]  (0) 2020.01.10
[赤小豆][적소두]   (0) 2020.01.09
[生脂麻油][생지마유]  (0) 2020.01.09
[大麻仁][대마인]   (0) 2020.01.09

[赤小豆][적소두 / 붉은팥] 

 
止泄痢. 作粥食之.
설사와 이질을 멈추게 하는데, 죽을 쑤어 먹는다.
赤白痢, 作粥, 和蠟一兩. 頓服差[本草].
적백리에는 죽을 쑤어 황랍[蠟] 한 냥을 넣고 단번에 먹으면 낫는다(본초).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麴][신곡]  (0) 2020.01.10
[糯米][나미]  (0) 2020.01.10
[生脂麻油][생지마유]  (0) 2020.01.09
[大麻仁][대마인]   (0) 2020.01.09
[酸石榴殼][산석류각]  (0) 2020.01.08

[生脂麻油][생지마유 / 볶지 않은 참깨로 짠 참기름]


治熱秘大便不通.
每服一合, 取利爲度[本草].
열비로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한 홉씩 먹는데, 대변이 잘 나올 때까지 먹는다(본초).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糯米][나미]  (0) 2020.01.10
[赤小豆][적소두]   (0) 2020.01.09
[大麻仁][대마인]   (0) 2020.01.09
[酸石榴殼][산석류각]  (0) 2020.01.08
[桃仁][도인]  (0) 2020.01.08

[大麻仁][대마인 / 삼씨] 

 
治大小便不通, 及風秘熱秘血秘.

硏取汁, 作粥食之.
或與蘇子取汁, 作粥, 名蘇麻粥[本草].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과 풍비, 열비, 혈비를 치료한다.
대마인을 갈아 즙을 내어 죽을 쑤어 먹는다.
또는 소자와 함께 즙을 내어 죽을 쑤어 먹기도 하는데, 이것을 소마죽이라고 한다(본초).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赤小豆][적소두]   (0) 2020.01.09
[生脂麻油][생지마유]  (0) 2020.01.09
[酸石榴殼][산석류각]  (0) 2020.01.08
[桃仁][도인]  (0) 2020.01.08
[桃葉][도엽]  (0) 2020.01.08

[酸石榴殼][산석류각 / 신맛나는 석류껍질] 


止赤白痢.

燒赤爲末, 米飮下二錢.
亦治暴瀉不止.
적백리를 그치게 한다.

산석류각을 벌겋게 태워 가루낸 다음 두 돈씩 미음으로 먹는다.
갑자기 설사가 나와 그치지 않는 것도 치료한다.
冷熱不調, 或下赤白靑黃者, 石榴五枚合殼杵, 絞取汁, 每取一合, 數服卽斷.
或取殼爲末, 飯丸服, 亦得[本草].
냉열(冷熱)이 고르지 못하여 대변의 색이 붉거나 희거나 푸르거나 누렇게 나오면

석류 다섯 개를 껍질째 찧은 다음 짜서 즙을 내어 한 홉씩 여러 번 먹으면 곧 멈춘다.
또는 껍질을 가루낸 다음 밥으로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낫는다(본초).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脂麻油][생지마유]  (0) 2020.01.09
[大麻仁][대마인]   (0) 2020.01.09
[桃仁][도인]  (0) 2020.01.08
[桃葉][도엽]  (0) 2020.01.08
[桃花][도화]  (0) 2020.01.08

[桃仁][도인 / 복숭아씨] 

 
治大便血結血秘血燥, 秘澁不通.

硏取汁, 作粥服之[湯液].
대변이 혈결, 혈비, 혈조로 뭉쳐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도인을 갈아 즙을 내어 죽을 쑤어 먹는다(탕액).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麻仁][대마인]   (0) 2020.01.09
[酸石榴殼][산석류각]  (0) 2020.01.08
[桃葉][도엽]  (0) 2020.01.08
[桃花][도화]  (0) 2020.01.08
[烏梅][오매]   (0) 2020.01.08

[桃葉][도엽 / 복숭아잎] 

 
主大小便不通.
擣取汁, 服半升, 卽通[本草].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주치한다.
도엽을 찧어 즙을 내어 반 되 가량 먹으면 대소변이 나온다(본초).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酸石榴殼][산석류각]  (0) 2020.01.08
[桃仁][도인]  (0) 2020.01.08
[桃花][도화]  (0) 2020.01.08
[烏梅][오매]   (0) 2020.01.08
[蓮子肉][연자육]   (0) 2020.01.08

[桃花][도화 / 복숭아꽃] 

 
利大小便.
花落時, 拾取陰乾爲末, 水調服, 或作煎餠喫.
治大小便不通, 卽效[子和方].
대소변을 잘 나오게 한다.
꽃이 질 때 그 꽃을 주워 그늘에서 말려 가루낸 다음

물에 타서 먹거나 전병(煎餠)을 만들어 먹는다.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바로 효과가 있다(자화방).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桃仁][도인]  (0) 2020.01.08
[桃葉][도엽]  (0) 2020.01.08
[烏梅][오매]   (0) 2020.01.08
[蓮子肉][연자육]   (0) 2020.01.08
[糞蛆][분저]   (0) 2020.01.08

[烏梅][오매 / 훈증한 매실] 

 
澁腸止痢.
장을 수렴하여[澁腸] 이질을 멈추게 한다.
血痢, 白梅肉一箇合臘茶加醋湯沃服之, 一啜而差.
혈리에는 백매육(白梅肉) 한 개와 납다를 식초 달인 물에 우려먹는데, 한 번만 먹어도 낫는다.
赤痢及久痢, 烏梅水煎和蜜服.
적리와 구리(久痢)에는 오매 달인 물에 꿀을 타서 먹는다.
休息痢, 合建茶乾薑爲丸, 服之大驗[本草].
휴식리에는 좋은 차와 건강으로 알약을 만들어 먹으면 큰 효과가 있다(본초).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桃葉][도엽]  (0) 2020.01.08
[桃花][도화]  (0) 2020.01.08
[蓮子肉][연자육]   (0) 2020.01.08
[糞蛆][분저]   (0) 2020.01.08
[露蜂房][노봉방]   (0) 2020.01.08

[蓮子肉][연자육 / 연밥] 

 
止痢, 又治噤口痢.

去皮留心爲末, 米飮下二錢[百一方].
이질을 그치게 하고 또 금구리도 치료한다.
연자육의 껍질을 버리고 심(心)이 있는 채로 가루내어

한 번에 두 돈씩 미음에 타서 먹는다(백일방).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桃花][도화]  (0) 2020.01.08
[烏梅][오매]   (0) 2020.01.08
[糞蛆][분저]   (0) 2020.01.08
[露蜂房][노봉방]   (0) 2020.01.08
[鮒魚膾][부어회]   (0) 2020.01.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