泄瀉如水, 手足冷, 脈欲絶, 臍腹痛, 漸漸短氣.

灸氣海百壯[得效].
물같이 설사를 하면서 손발이 차고 맥이 끊어지려고 하며,

배꼽 주위가 아프고 갈수록 숨이 가빠지는 데는

기해혈에 뜸을 백 장 뜬다(득효).

'[內景篇] > [大便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冷痢][냉리]   (0) 2020.01.15
[下痢腹痛][하사복통]   (0) 2020.01.15
[飱泄][손설]   (0) 2020.01.15
[泄痢][설리]   (0) 2020.01.15
[溏泄][당설]   (0) 2020.01.15

飱泄, 取陰陵泉, 然谷, 巨虛, 上廉, 太衝[綱目].
손설에는 음릉천, 연곡, 거허, 상렴, 태충혈에 침을 놓는다(강목).

'[內景篇] > [大便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下痢腹痛][하사복통]   (0) 2020.01.15
[泄瀉如水][설사여수]   (0) 2020.01.15
[泄痢][설리]   (0) 2020.01.15
[溏泄][당설]   (0) 2020.01.15
[泄痢不止][설리부지]   (0) 2020.01.15

泄痢, 灸脾兪隨年壯, 臍中二十壯, 關元百壯, 三報二七壯[得效].
설사와 이질에는 비수혈에 나이 수대로 뜸을 뜨는 것이 좋고,

배꼽에 스무 장, 관원에 백 장, 삼보혈에 열네 장 뜬다(득효).

'[內景篇] > [大便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瀉如水][설사여수]   (0) 2020.01.15
[飱泄][손설]   (0) 2020.01.15
[溏泄][당설]   (0) 2020.01.15
[泄痢不止][설리부지]   (0) 2020.01.15
[久泄痢][구설리]   (0) 2020.01.15

溏泄, 灸臍中爲第一, 三陰交次之[資生].
묽은 변이 나오는 설사에는 배꼽에 뜸을 뜨는 것이 제일 좋고, 삼음교가 그 다음이다(자생).

'[內景篇] > [大便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飱泄][손설]   (0) 2020.01.15
[泄痢][설리]   (0) 2020.01.15
[泄痢不止][설리부지]   (0) 2020.01.15
[久泄痢][구설리]   (0) 2020.01.15
[泄瀉不愈][설사불유]   (0) 2020.01.15

泄痢不止, 灸神闕七壯 一云三七壯, 關元三十壯[得效].
설사와 이질이 멈추지 않는 데는

신궐에 일곱 장(어떤 곳에서는 스물한 장 뜬다고 하였다), 관원에 서른 장 뜸을 뜬다(득효).

'[內景篇] > [大便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痢][설리]   (0) 2020.01.15
[溏泄][당설]   (0) 2020.01.15
[久泄痢][구설리]   (0) 2020.01.15
[泄瀉不愈][설사불유]   (0) 2020.01.15
[滑泄][활설]   (0) 2020.01.15

久泄痢, 灸天樞, 氣海, 大能止泄[丹溪].
오랜 설사나 이질에는 천추, 기해혈에 뜸을 뜨면 확실히 설사가 그친다(단계).

'[內景篇] > [大便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痢][설리]   (0) 2020.01.15
[溏泄][당설]   (0) 2020.01.15
[泄痢不止][설리부지]   (0) 2020.01.15
[泄瀉不愈][설사불유]   (0) 2020.01.15
[滑泄][활설]   (0) 2020.01.15

泄瀉三五年不愈, 灸百會五七壯卽愈[醫鑑].
설사가 3년, 5년이 되어도 낫지 않으면 백회에 뜸을 서른다섯 장 뜨면 낫는다(의감).

'[內景篇] > [大便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痢][설리]   (0) 2020.01.15
[溏泄][당설]   (0) 2020.01.15
[泄痢不止][설리부지]   (0) 2020.01.15
[久泄痢][구설리]   (0) 2020.01.15
[滑泄][활설]   (0) 2020.01.15

大渴飮水, 多爲滑泄,

水入卽泄, 泄而復飮, 此無藥.

當灸大顀 三五壯[易老].
갈증이 심하다고 물을 마시면 대개 활설이 된다.
물을 마시면 바로 설사를 하고, 설사를 하고는 다시 물을 마시고 싶은 것은 약으로는 안 된다.
대추혈에 뜸을 열다섯 장 떠야 한다(역로).

'[內景篇] > [大便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泄痢][설리]   (0) 2020.01.15
[溏泄][당설]   (0) 2020.01.15
[泄痢不止][설리부지]   (0) 2020.01.15
[久泄痢][구설리]   (0) 2020.01.15
[泄瀉不愈][설사불유]   (0) 2020.01.15

[猪膽][저담 / 돼지쓸개] 

 
治大便不通 詳見導便法.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자세한 것은 도변법에 나온다).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猪肝][저간]  (0) 2020.01.15
[狗肝][구간]  (0) 2020.01.15
[黃雄狗頭骨][웅황구두골]  (0) 2020.01.14
[牛角][우각]  (0) 2020.01.14
[牛肝][우간]   (0) 2020.01.14

[猪肝][저간 / 돼지간] 

 
主冷泄濕泄滑泄.

取肝薄切, 溫塗煨訶子皮末, 微火灸盡末五錢空心, 細嚼米飮送下[本草].

냉설, 습설, 활설을 주치한다.

돼지의 간을 얇게 썰어 잿불에 묻어 구운 가자피가루를 따뜻할 때 바르고,

약한 불에 완전히 구워 가루낸 다음 다섯 돈씩 잘 씹어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본초).

暴泄濕泄, 猪肝漿水煮熟食之[得效].

폭설, 습설에는 돼지의 간을 좁쌀죽 웃물에 푹 삶아서 먹는다(득효).

氣虛下痢瘦乏, 猪肝一具切片, 入醋一升煮乾, 空心食甚妙[入門]. 

기가 허하여 생긴 설사로 많이 야윈 데는 돼지의 간 하나를 얇게 썰어

식초 한 되에 넣고 삶아서 말린 뒤, 빈속에 먹으면 매우 좋다(입문). 

'[內景篇] > [大便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猪膽][저담]  (0) 2020.01.15
[狗肝][구간]  (0) 2020.01.15
[黃雄狗頭骨][웅황구두골]  (0) 2020.01.14
[牛角][우각]  (0) 2020.01.14
[牛肝][우간]   (0) 2020.0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