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脈法][맥법]
七情傷脈. 喜則脈散, 怒則脈促 一作激, 憂則脈澁,

思則脈沈 一作結, 悲則脈結 一作緊, 驚則脈顫 一作動, 恐則脈沈[得效].

칠정(七情)은 맥(脈)을 상하게 한다.

지나치게 기뻐하면 맥이 산(散)하고,

지나치게 성내면 맥이 촉(促)하고(어떤 곳에서는 격(激)이라고 하였다),

지나치게 근심하면 맥이 삽(澁)하고,

지나치게 생각하면 맥이 침(沈)하고(어떤 곳에서는 결(結)이라고 하였다),

지나치게 슬퍼하면 맥이 결(結)하고(어떤 곳에서는 긴(緊)이라고 하였다),

지나치게 놀라면 맥이 전(顫)하고(어떤 곳에서는 동(動)이라고 하였다),

지나치게 두려워하면 맥이 침(沈)하다(득효).


喜傷心則脈虛, 思傷脾則脈結, 憂傷肺則脈澁,

怒傷肝則脈濡, 恐傷腎則脈沈, 驚傷膽則脈動, 悲傷心包則脈緊.

凡七情之脈, 惟氣口緊盛而已, 細分之則如此[入門].

지나치게 기뻐하여 심(心)을 상하면 맥이 허(虛)하고,

지나치게 생각을 하여 비(脾)를 상하면 맥이 결(結)하고,

지나치게 걱정하여 폐를 상하면 맥이 삽(澁)하고,

지나치게 성내어 간을 상하면 맥이 유(濡)하고,

지나치게 두려워하여 신(腎)을 상하면 맥이 침(沈)하고,

지나치게 놀라서 담(膽)을 상하면 맥이 동(動)하고,

지나치게 슬퍼하여 심포(心包)를 상하면 맥이 긴(緊)하다.

칠정의 맥은 모두 기구맥(氣口脈)이 긴성(緊盛)한데 자세히 나누어 보면 이와 같다(입문).


癲疾脈搏大滑, 久自已. 脈小堅急, 死不治.

又曰, 癲疾脈虛則可治, 實則死[內經].

전질(癲疾)의 맥이 박(搏)하고 대활(大滑)한 것은 오래 두면 저절로 낫지만,

맥이 소견(小堅)하고 급하면 죽어도 고치지 못한다.

또 전질은 맥이 허하면 치료할 수 있지만 실하면 죽는다(내경).


癲癎之脈, 浮洪大長滑大堅實, 痰蓄心, 狂.

又曰, 大堅疾者, 癲狂[脈訣].

전간(癲癎)의 맥은 부홍(浮洪)하고 대장(大長)하며 활대(滑大)하고 견실(堅實)한데,

이것은 담(痰)이 심(心)에 쌓여서 미친 것이다.

또 "맥이 대견질(大堅疾)한 것은 전광(癲狂)이다"라고 하였다(맥결).


恍惚癲狂, 實大爲順, 沈細爲逆[得效].

정신이 흐리멍덩한 전광증(癲狂證)에 맥이 실대(實大)하면 순증이고,

침세(沈細)하면 역증이다(득효).

靈樞曰, 凡脈急甚, 皆爲癲狂厥疾.

영추에서는 "맥이 매우 급한 것은 모두 전광과 궐질(厥疾)이다"라고 하였다.


心中驚悸, 脈必結代.

飮食之悸, 沈伏動滑[脈訣].

놀라고 두근거림[驚悸]이 있으면 맥이 반드시 결대(結代)하고,

음식 때문에 두근거리는 증상이 생기면 침복동활(沈伏動滑)하다(맥결).


寸口脈動而弱, 動爲驚, 弱爲悸.

又曰, 肝脈動暴, 有所驚駭[正傳].

촌구맥이 동(動)하고 약(弱)한 경우 맥이 동(動)한 것은 놀랐기 때문이고,

약(弱)한 것은 두근거리기 때문이다.

또 "간맥(肝脈)이 심하게 동한 것은 놀란 것이 있기 때문이다"라고 하였다(정전).


人恐怖, 其脈何狀.

師曰, 脈形如循絲纍纍然, 其面白脫色也.

又曰, 人愧者, 其脈何類.

師曰, 脈浮而面色乍白乍赤也[脈經].

사람이 두려워하면 그 맥의 상태는 어떠한가?

선생이 "맥의 형태는 여러 겹으로 감긴 실을 만지는 것 같고,

그 얼굴이 핏기가 없이 하얗다"고 대답하였다.

또 사람이 부끄러워하면 그 맥이 어떠한가?

선생이 "맥은 부(浮)하고 얼굴빛이 하얗게 되었다가 붉어졌다가 한다"고 대답하였다(맥경).

[藏氣絶則神見於外][장기절칙신견어외]
一士人喜觀書忘食, 一日有紫衣人立於前曰, 公不可苦思, 思則我死矣.

問其何人, 曰, 我穀神也.

於是絶思而食如故矣[延壽書].
어떤 선비가 책 보기를 좋아하여 먹는 것을 잊었는데,

하루는 자주색 옷을 입은 사람이 앞에 나타나 "당신은 너무 골똘히 생각하지 말라.

생각만 하면 내가 죽는다"고 하였다.

누구냐고 묻자 "나는 음식의 신[穀神]이다"라고 하였다.

그래서 생각하기를 멈추자 음식을 예전처럼 먹게 되었다(연수서).

無錫游氏子, 以酒色得疾, 常見兩女子, 衣服鮮麗, 冉冉至腰而沒.

醫曰, 此腎神也, 腎絶則神不守舍, 故見於外也[醫說].

무석 유씨의 아들이 술과 여자 때문에 병이 생겼는데,

항상 두 여자가 옷을 곱게 차려입고 허리까지 보이다가 사라지곤 하였다.

의사가 "이는 신(腎)의 신(神)이다.

신(腎)의 기가 끊어지면 신(神)이 집을 지킬 수 없기에 밖으로 나타난 것이다"라고 하였다(의설).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統七情傷則爲病][신통칠정상칙위병]   (0) 2019.10.13
[脈法][맥법]   (0) 2019.10.13
[五藏藏七神][오장장칠신]   (0) 2019.10.13
[人身神名][인신신명]   (0) 2019.10.10
[心藏神][심장신]   (0) 2019.10.10

[五藏藏七神][오장장칠신]
內經曰, 五藏所藏, 心藏神, 肺藏魄, 肝藏魂, 脾藏意, 腎藏志.
又曰, 脾藏意與智, 腎藏精與志, 是謂七神.
내경에서는 "오장이 각기 간직하는 것이 있는데,

심(心)은 신(神)을 간직하고, 폐는 백(魄)을 간직하고, 간은 혼(魂)을 간직하고,

비(脾)는 의(意)를 간직하고, 신(腎)은 지(志)를 간직한다"고 하였다.

또 "비(脾)는 의(意)와 지(智)를 간직하고, 신(腎)은 정(精)과 지(志)를 간직하는데,

이를 일곱 가지 신이라 한다"고 하였다.


註云, 神者, 精氣之化成也. 魄者, 精氣之匡佐也.

魂者, 神氣之輔弼也. 意者, 記而不忘者也. 志者, 專意而不移者也.

왕빙의 주에서는 "신(神)은 정(精)과 기가 변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백(魄)은 정과 기를 옆에서 돕는 것이고[匡佐], 혼(魂)은 신(神)의 기를 보필하는 것이고, 의(意)는 새겨서 잊지 않는 것이며, 지(志)는 그 의를 오로지 하여 바뀌지 않게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靈樞曰, 兩精相薄謂之神, 隋神往來謂之魂, 並精出入謂之魄,

心有所憶謂之意, 意之所存謂之志, 因慮而處物謂之智也
영추에서는 "두 정(精)이 서로 만나 맺는 것[交結]을 신(神)이라 한다.

이 신을 따라서 왔다갔다하는 것을 혼(魂)이라 한다.

정과 함께 드나드는 것을 백(魄)이라 한다.

심(心) 속에 품고 있는 바가 있는 것을 의(意)라고 한다.

의가 오래 보존되는 것을 지(志)라고 한다.

멀리까지 잘 생각하여[慮] 사물에 잘 대처하는 것을 지(智)라 한다"고 하였다.

'[內景篇] > [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脈法][맥법]   (0) 2019.10.13
[藏氣絶則神見於外][장기절칙신견어외]   (0) 2019.10.13
[人身神名][인신신명]   (0) 2019.10.10
[心藏神][심장신]   (0) 2019.10.10
[五味生神][오미생신]   (0) 2018.02.12

[人身神名][인신신명]
黃庭經曰, 肝神龍烟, 字含明. 形長七寸, 靑錦衣, 鳳玉鈴, 狀如懸瓠, 其色靑紫.

心神丹元, 字守靈. 形長九寸, 丹錦飛裳, 狀如未開垂蓮, 其色赤.

脾神常在, 字魂停. 形長七寸六分, 黃錦之衣, 狀如覆盆, 其色黃.

肺神皓華, 字虛成.

形長八寸, 素錦衣裳, 黃雲之帶, 狀如華盖覆磬, 其色紅白.

腎神玄冥, 字育嬰.

形長三寸六分, 蒼錦之衣, 狀如圓石, 其色黑.

膽神龍曜, 字威明.

形長三寸六分, 九色錦衣, 綠華裙, 狀如懸瓠, 其色靑.
황정경에서는 "간(肝)의 신(神)은 용연이라 하며, 자(字)는 함명이고

키는 일곱 치이며 청색 비단옷을 입고 봉옥령을 차고 있는데,

그 생김새는 매달린 표주박 같으며 색은 청자색이다.

심(心)의 신(神)은 단원이라 하며, 자는 수령이고

키는 아홉 치이며 붉은 비단옷에 휘날리는 치마를 입었는데,

그 생김새는 아직 벌어지지 않은 연꽃 같으며 색은 빨갛다.

비(脾)의 신(神)은 상재라 하며, 자는 혼정이고

키는 일곱 치 여섯 푼이며 황색의 비단옷을 입었는데,

그 생김새는 엎어놓은 사발과 같으며 색은 누렇다.

폐(肺)의 신(神)은 호화라 하며,

자는 허성이고 키는 여덟 치이며 하얀 비단옷에 누런 구름 띠를 맸는데,

그 생김새는 화개(華盖)의 엎어놓은 경쇠와 같으며 색은 붉은빛이 도는 백색이다.

신(腎)의 신(神)은 현명이라고 하며,

자는 육영이고 키는 세 치 여섯 푼이며 푸른 비단옷을 입었는데,

그 생김새는 둥근 돌과 같으며 색은 검다.

담(膽)의 신(神)은 용요라고 하며, 자는 위명이고

키는 세 치 여섯 푼이며 아홉 가지 색이 어우러진 비단옷에 풀빛의 치마를 입었는데,

그 생김새는 매달린 표주박 같으며 색은 푸르다"고 하였다.

正理曰, 黃庭經云, 至道不煩決存眞, 泥丸百節皆有神.

神名最多, 莫能枚擧. 身中有三部, 上部八景, 神胸神眼神鼻神耳神口神舌神齒神.

中部八景, 肺神心神肝神脾神左腎神右腎神膽神喉神.

下部八景, 腎神大腸神小腸神胴神胃神膈神兩脇神左陽神右陰神.

身中有九宮眞人 心爲絳宮眞人, 腎爲丹亢宮眞人, 肝爲蘭臺宮眞人, 肺爲尙書宮眞人,

脾爲黃庭宮眞人, 膽爲天靈宮眞人, 小腸爲玄靈宮眞人, 大腸爲末靈宮眞人, 膀胱爲玉房宮眞人.

又有元首九宮眞人 腦有九辨,故頭有九宮. 一曰雙丹宮, 二曰明堂宮, 三曰泥丸宮, 四曰流珠宮,

五曰大帝宮, 六曰天庭宮, 七曰極眞宮, 八曰玄丹宮, 九曰大皇宮也.

又有金樓重門十二亭長, 身外有一萬八千陽神,

身內有一萬八千陰神, 所主者爲絳宮眞人, 卽心主也.

又有三身神, 四智神, 三魂神 爽靈, 胎光, 幽精, 七魄神 尸拘, 伏矢,

雀淫, 飛毒, 天賊, 除穢, 臭師, 七元八識神, 假名異字, 難可悉數.

心主乃一身之君, 萬神爲之聽命焉, 故能虛靈知覺, 千變萬化.
정리에서는 "황정경에서 '지극한 도(道)는 번잡하지 않고 틀림없이 진실이 보존되어 있으며,

뇌[泥丸]와 백 마디 모두에 신(神)이 있는데,

그 신의 이름이 매우 많아 이루 셀 수가 없다'고 하였다.

몸은 세 부위로 나눌 수 있는데,

상부 팔경(八景)은 발신, 흉신, 안신, 비신, 이신, 구신, 설신, 치신이다.

중부 팔경은 폐신, 심신, 간신, 비신, 좌신신, 우신신, 담신, 후신이다.

하부 팔경은 신신, 대장신, 소장신, 동신, 위신, 격신, 양협신, 좌양신, 우음신이다.

몸속에는 아홉 개의 궁(宮)과 진인(眞人)이 있다(심(心)은 강궁진인이다.

신(腎)은 단원궁진인이다. 간은 난대궁진인이다.

폐는 상서궁진인이다. 비는 황정궁진인이다.

담은 천령궁진인이다. 소장은 현령궁진인이다.

대장은 말령궁진인이다. 방광은 옥방궁진인이다).

머리에도 아홉 개의 궁과 진인이 있다

(뇌에는 아홉 개의 판(瓣)이 있으므로 머리에도 아홉 개의 궁이 있다.

첫째는 쌍단궁이고, 둘째는 명당궁이고, 셋째는 이환궁이고,

넷째는 유주궁이고, 다섯째는 대제궁이고, 여섯째는 천정궁이고,

일곱째는 극진궁이고, 여덟째는 현단궁이고, 아홉째는 대황궁이다).

또 금루, 중문, 열두 정자(亭子)의 우두머리가 있고,

몸의 겉에는 1만 8천의 양신이 있고 몸의 안에는 1만 8천의 음신이 있는데,

이 모두를 다스리는 것은 강궁진인 즉, 심주(心主)이다.

또 삼신신과 사지신, 삼혼신(상영, 태광, 유정),

칠백신(시구, 복시, 작음, 비독, 천적, 제예, 취사)이 있는데,

칠원팔식신은 다르게 불리는 이름과 여러 자(字)가 있어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다.

심주는 바로 온몸을 다스리는 임금으로, 모든 신(神)이 그의 명령을 듣는다.

그래서 허령(虛靈)하여 지각할 수 있으니, 수천만 가지로 변화할 수 있다"고 하였다. 

[心藏神][심장신]
臞仙曰, 心者, 神明之舍, 中虛不過徑寸, 而神明居焉.

事物之滑, 如理亂棼, 如涉驚浸.

或怵惕或懲創或喜怒或思慮, 一日之間, 一時之頃, 徑寸之地, 炎如火矣.

若嗜慾一萌, 卽不善也.

歸而勿納, 是與良心競也.

凡七情六慾之生於心皆然.

故曰, 心靜可以通乎神明, 事未至而先知.

是不出戶知天下, 不竅牖見天道也.

盖心如水之不撓, 久而澄淸, 洞見其底, 是謂靈明.

宜乎靜可以固元氣, 則萬病不生, 故能長久.

若一念旣萌, 神馳於外, 氣散於內, 血隨氣行, 榮衛昏亂, 百病相攻, 皆因心而生也.

大槩怡養天君, 疾病不作, 此治心之法也.
구선(臞仙)은 "심(心)은 신명(神明)이 머무는 곳이다.

속은 비어 있고 지름은 한 치를 넘지 않지만 신명이 거기에 머문다.

신명은 일을 잘 처리하게 하여 어지러운 것을 다스리고 놀랍고 어려운 일을 잘 헤쳐나가게 한다.

두려워하거나 슬퍼하거나, 혹 징계하거나 혼나거나 기뻐하거나 화를 내거나, 깊이 생각하거나 염려하면, 하루 사이나 한두 시간 사이에 지름이 한 치밖에 되지 않는 곳이 불꽃처럼 타오른다.

만약 욕망이 일단 싹트면 그것은 좋지 않다.

마음을 돌이켰지만 마음에서 받아들이지 않으면 욕망과 양심이 싸우게 된다.

심(心)에서 생기는 칠정(七情)과 육욕(六慾)이 모두 그러하다.

그러므로 심이 안정되면 신명과 통하여 일이 일어나기도 전에 미리 안다고 하였다.

그래서 문밖을 나가지 않아도 천하를 알고 창문을 내다보지 않아도

하늘의 도를 볼 수 있다고 한 것이다.

마음이 마치 물이 흔들리지 않고 오래되면 맑고 깨끗해져서

그 밑바닥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것처럼 된 그런 마음을 영명(靈明)이라 한다.

고요하게 하여 원기(元氣)를 든든하게 하면 어떤 병도 생기지 않으므로 오래 살 수 있다.

만약 한 생각이 이미 싹텄다면 신(神)은 밖으로 달아나고 기(氣)는 안에서 흩어지며

혈(血)은 기를 따라다니므로 영위(榮衛)가 혼란해져 온갖 병이 마구 생기는데

모두 심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대개 기쁘게 마음[天君]을 기르면 질병이 생기지 않는데, 이것이 심을 다스리는 방법이다.


內經曰, 心藏神.

神有餘則笑不休, 神不足則悲.

註云, 心藏脈, 脈舍神.

心氣虛則悲, 實則笑不休也.

내경에서는 "심(心)은 신(神)을 간직하고 있는데, 신이 넘치면

웃음이 그치지 않고 신이 부족하면 슬퍼한다"고 하였다.

왕빙의 주에서는 "심은 맥(脈)을 간직하고 있는데, 맥에는 신이 머물고 있다"고 하였다.

"심의 기가 허하면 슬퍼하고 실하면 웃음을 멈추지 못한다"고 하였다.


皇甫士安曰, 心虛則悲, 悲則憂, 心實則笑, 笑則喜.

황보밀은 "심이 허하면 슬퍼하는데 슬퍼지면 근심하게 된다.

심이 실하면 웃는데 웃으면 기쁘게 된다"라고 하였다. 

氣亂于心, 取神門大陵.
氣亂于肺, 取魚際太谿.
氣亂于腸胃, 取太白陷谷足三里.
氣亂于頭, 取天柱大杼通谷束骨.
氣亂于臂脛, 取二間三間內庭陷谷液門中渚俠谿臨泣[靈樞].
기가 심에서 어지러우면 신문, 대릉에 놓고,
기가 폐에서 어지러우면 어제, 태계에 놓고,
기가 장위(腸胃)에서 어지러우면 태백, 함곡, 족삼리에 놓고,
기가 머리에서 어지러우면 천주, 대저, 통곡, 속골에 놓으며,
기가 비경(臂脛)에서 어지러우면

이간, 삼간, 내정, 함곡, 액문, 중저, 협계, 임읍에 놓는다(영추).   

'[內景篇] > [氣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短氣][단기]   (0) 2019.10.10
[上氣 短氣[상기 단기]   (0) 2019.10.10
[少氣][소기]   (0) 2019.10.08
[短氣][단기]   (0) 2019.10.08
[噫氣上逆][애기상역]   (0) 2019.10.08

短氣, 取天井大椎肺兪肝兪魚際尺澤[甲乙].
단기(短氣)에는 천정, 대추, 폐수, 간수, 어제, 척택에 놓는다(갑을).

'[內景篇] > [氣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亂于][기난우]   (0) 2019.10.10
[上氣 短氣[상기 단기]   (0) 2019.10.10
[少氣][소기]   (0) 2019.10.08
[短氣][단기]   (0) 2019.10.08
[噫氣上逆][애기상역]   (0) 2019.10.08

上氣, 灸太衝. 氣結食不消, 灸太倉. 冷氣臍下痛, 灸關元百壯.
短氣, 灸大顀隨年壯, 肺兪百壯, 神闕二七壯, 又灸第五顀下隨年壯[得效].
상기(上氣)에는 태충에 뜸을 뜨고, 기가 뭉치고
소화가 안 되면 태창, 냉기(冷氣)로 배꼽 밑이 아프면 관원에 뜸을 백장(百壯) 뜨며,
단기(短氣)는 대추에 나이 숫자만큼 뜸을 뜨고, 폐수에 백장,
신궐에 열네 장 뜨며, 또한 제5척추 밑에 나이 수만큼 뜸을 뜬다(득효).  

'[內景篇] > [氣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亂于][기난우]   (0) 2019.10.10
[短氣][단기]   (0) 2019.10.10
[少氣][소기]   (0) 2019.10.08
[短氣][단기]   (0) 2019.10.08
[噫氣上逆][애기상역]   (0) 2019.10.08

少氣, 取 間使 神門 大陵 少衝 足三里 下廉 至陰 肝兪 氣海[伸應].
소기(少氣)에는

간사, 신문, 대릉, 소충, 족삼리, 하렴, 행간, 연곡, 지음, 간수, 기해에 놓는다(신응).

'[內景篇] > [氣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短氣][단기]   (0) 2019.10.10
[上氣 短氣[상기 단기]   (0) 2019.10.10
[短氣][단기]   (0) 2019.10.08
[噫氣上逆][애기상역]   (0) 2019.10.08
[氣逆][기역]   (0) 2019.10.07

短氣, 取 大陵 尺澤,   
단기(短氣)에는 대릉, 척택에 놓으며,  

'[內景篇] > [氣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上氣 短氣[상기 단기]   (0) 2019.10.10
[少氣][소기]   (0) 2019.10.08
[噫氣上逆][애기상역]   (0) 2019.10.08
[氣逆][기역]   (0) 2019.10.07
[一切氣疾][일절기질]   (0) 2019.10.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