噫氣上逆, 取 太淵 神門,  
애기(噫氣)와 상역(上逆)에는 태연, 신문에 놓으며,

'[內景篇] > [氣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上氣 短氣[상기 단기]   (0) 2019.10.10
[少氣][소기]   (0) 2019.10.08
[短氣][단기]   (0) 2019.10.08
[氣逆][기역]   (0) 2019.10.07
[一切氣疾][일절기질]   (0) 2019.10.07

氣逆, 取 尺澤 商丘 太白 三陰交,
기역(氣逆)에는 척택, 상구, 태백, 삼음교에 놓으며,

'[內景篇] > [氣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上氣 短氣[상기 단기]   (0) 2019.10.10
[少氣][소기]   (0) 2019.10.08
[短氣][단기]   (0) 2019.10.08
[噫氣上逆][애기상역]   (0) 2019.10.08
[一切氣疾][일절기질]   (0) 2019.10.07

一切氣疾 取 氣海.
모든 기(氣)의 질병에는 기해에 침을 놓고,

'[內景篇] > [氣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上氣 短氣[상기 단기]   (0) 2019.10.10
[少氣][소기]   (0) 2019.10.08
[短氣][단기]   (0) 2019.10.08
[噫氣上逆][애기상역]   (0) 2019.10.08
[氣逆][기역]   (0) 2019.10.07

[六字氣訣][육자기결] 

噓肝氣 呵心氣 呼脾氣呬 肺氣

吹腎氣嘻三焦氣 其法以口吐鼻 取能去病延壽.

肝若噓時目爭精 肺知呬氣手雙擎 心呵頂上連叉手

腎吹抱取膝頭平 脾病呼時須撮口 三焦客熱臥嘻嘻.

천천히 부는 것은 간()의 기운이고 불어 덥히는 것은 심의 기운이다.

보통으로 내쉬는 것은 비()의 기운이고 가쁘게 내쉬는 것은 폐()의 기운이다.

그리고 세게 부는 것은 신()의 기운이고 한숨을 내쉬는 것은 3(三焦)의 기운이다.

그 방법은 입으로 내쉬고 코로 들이쉬면 병을 없애고 오래 살게 된다.

간병(肝病)으로 천천히 불 때에는 눈에 정기를 모으고

폐병(肺病)으로 가쁘게 내쉴 때에는 두 손을 쳐든다.

심병(心病)에 불어서 덥힐 때에는 두 손을 정수리 위에 올려 깍지를 끼고

신병(腎病)에 세게 불 때에는 무릎을 두 손으로 껴안는다.

비병(脾病)에 보통으로 내쉴 때에는 입을 오므린다.

3(三焦)에 객열(客熱)이 있으면 누워서 한숨을 내쉰다.



春噓養肝 夏呵養心 秋呬養肺 冬吹養腎 四季呼養脾

不時嘻養三焦 切忌出聲聞於口耳也(臞仙)

봄에는 천천히 불어 간을 보양한다.

여름에는 불어 덥혀서 심을 보양한다.

가을에는 가쁘게 내쉬어 폐를 보양한다.

겨울에는 세게 불어 신을 보양한다.

사철에는 보통으로 내쉬어 비를 보양하고

때없이 한숨을 내쉬어 3초를 보양해야 할 것이다.

입에서 나오는 소리가 절대로 귀에 들리지 않도록 해야 한다[구선].


肝病大呼三十過 細呼十遍 心病大呵三十遍 細呵十遍

脾病大呼三十遍 細呼十遍 肺病大呬 三十遍 細呬十遍

腎病大吹 五十遍 細吹十遍 皆須左右導引 然後乃爲之(得效).

간병에는 천천히 세게 30번 내어 분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심병에는 불어 덥히기를 세게 30번 한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비병에는 보통 숨쉬기를 세게 30번 한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신병에는 세게 불기를 50번 한 다음 열번은 약하게 한다.

여기서 어느 것이나 모두 반드시 좌우로 도인법(導引法)을 한 후에 해야 한다[득효]



'[內景篇] > [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治氣藥][통치기약]   (0) 2019.10.02
[用藥法][용약법]  (0) 2019.10.02
[禁忌][금기]   (0) 2019.10.02
[氣絶候][기절후]   (0) 2019.10.02
[氣不足生病][기부족생병]   (0) 2019.10.02

[黃狗肉][황구육] 

 
益氣, 補陽氣, 和五味, 煮熟食之[本草].
황구육은 기를 더해주고 양기를 보하는데, 갖은 양념을 하여 푹 쪄서 먹는다(본초).

'[內景篇] > [氣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肉][우육]   (0) 2019.10.03
[人乳][인유]   (0) 2019.10.03
[紫蘇葉][자소엽]   (0) 2019.10.03
[葱白][총백]   (0) 2019.10.03
[蘿蔔][나복]   (0) 2019.10.03

[牛肉][우육] 

 
補虛益氣, 滋養氣血.

肚尤良, 爛蒸食之[本草].
우육은 허한 것을 보하고 기를 늘려주며 기혈을 기른다.
소의 위(胃)는 더욱 좋다.
흐물흐물할 정도로 푹 쪄서 먹는다(본초).

'[內景篇] > [氣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狗肉][황구육]   (0) 2019.10.07
[人乳][인유]   (0) 2019.10.03
[紫蘇葉][자소엽]   (0) 2019.10.03
[葱白][총백]   (0) 2019.10.03
[蘿蔔][나복]   (0) 2019.10.03

[人乳][인유] 

 
益氣, 爲百藥之長, 最宜長服之[本草].
인유는 기를 더해주어 모든 약 중에 으뜸이며, 오래 먹으면 좋다(본초).

'[內景篇] > [氣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狗肉][황구육]   (0) 2019.10.07
[牛肉][우육]   (0) 2019.10.03
[紫蘇葉][자소엽]   (0) 2019.10.03
[葱白][총백]   (0) 2019.10.03
[蘿蔔][나복]   (0) 2019.10.03

[紫蘇葉][자소엽] 

 
下氣.

與橘皮相宜, 氣方中多用之, 又散表氣.

濃煎服[本草].
자소엽은 기를 내린다.
귤피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기병의 처방에 많이 쓰인다.
또 표(表)의 기를 흩어지게 한다.
진하게 달여 먹는다(본초).

'[內景篇] > [氣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牛肉][우육]   (0) 2019.10.03
[人乳][인유]   (0) 2019.10.03
[葱白][총백]   (0) 2019.10.03
[蘿蔔][나복]   (0) 2019.10.03
[靑皮][청피]   (0) 2019.10.03

[葱白][총백] 

 
通陽氣, 以通上下之陽.
去靑取白, 連根煎服[本草].
총백이 양기를 잘 통하게 하는 것은 위아래의 양기를 뚫어주기 때문이다.
총백의 푸른 부위는 버리고 흰 부위만 쓰는데, 뿌리째 달여 먹는다(본초).

'[內景篇] > [氣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乳][인유]   (0) 2019.10.03
[紫蘇葉][자소엽]   (0) 2019.10.03
[蘿蔔][나복]   (0) 2019.10.03
[靑皮][청피]   (0) 2019.10.03
[陳皮][진피]   (0) 2019.10.03

[蘿蔔][나복] 

 
大下氣. 草木中, 惟蘿葍下氣最速, 爲其辛也.

生薑雖辛, 止能散而已, 蘿葍辛而又甘, 故能散緩, 而下氣速也.

蘿葍子, 尤下氣. 炒煎服末服, 並佳[本草].
나복은 기를 크게 내린다.

뭇 초목 가운데 나복이 기를 가장 빨리 내리는 것은 그 매운맛 때문이다.

생강은 비록 매워도 기를 흩어지게 하는 데서 그치지만, 나복은 매우면서도 단맛이 있어서 기를 흩어지고 느슨하게 하여 기를 내리는 효과가 빠른 것이다.

나복자[무씨]는 기를 더 잘 내려준다.

볶아서 달여 먹거나 가루로 먹어도 좋다(본초).

'[內景篇] > [氣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蘇葉][자소엽]   (0) 2019.10.03
[葱白][총백]   (0) 2019.10.03
[靑皮][청피]   (0) 2019.10.03
[陳皮][진피]   (0) 2019.10.03
[麝香][사향]   (0) 2019.10.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