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虛煩不睡][허번불수]
靈樞曰, 黃帝問曰, 人之目不瞑不臥者, 何氣使然.

伯高對曰, 衛氣晝日行於陽, 夜行於陰, 常從足少陰之分間, 行於五藏六府.

今厥氣客於藏府, 則衛氣獨衛其外, 不得入於陰.

行於陽則陽氣盛, 陽氣盛則陽蹻陷.

不得入於陰, 陰氣虛, 故目不瞑.

飮以半夏湯一劑, 陰陽已通, 其臥立至.

其方, 以流水千里外者八升, 揚之萬遍, 取其淸五升煮之, 炊以葦薪火沸, 置秫米一升,

治半夏五合. 徐炊令竭爲一升半, 去其渣, 飮汁一小盃, 日三, 稍益以知爲度.

其病新發者, 覆盃則臥, 汗出則已矣. 久者, 三飮而已也.
영추에서는 황제가 눈을 감지 못하고 자지 못하게 하는 것은

무슨 기운이 그러하게 하는가 라고 물었다.

백고가 대답하였다.

위기는 낮에는 양의 부위에서 돌고 밤에는 음의 부위에서 도는데

족소음경맥을 따라서 오장육부로 들어간다.

그런데 궐기(厥氣)가 장부에 침입하면 위기가 홀로 몸의 겉을 지켜야 하기 때문에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고 양에서만 돌게 된다.

그러면 몸 겉의 양기가 성해지는데 양기가 성해지면 양교맥의 기가 가득 차게 된다[陷].

위기가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면 음기가 허해지기 때문에 잠을 자지 못하게 된다"고 하였다.

반하탕 한 제를 먹으면 음양이 잘 통하게 되어 곧 잠이 온다.

그 처방은 다음과 같다.

천리 밖에서부터 흘러온 물 여덟 되를 만 번 휘저어 그 가운데 맑은 웃물 다섯 되를

갈대 짚을 땔감으로 하여 끓이는데, 차조 한 되, 법제한 반하 다섯 홉을 넣는다.

서서히 불을 지펴서 한 되 반이 되도록 졸인 후 그 찌꺼기는 버리고

작은 잔으로 한 잔씩 하루에 3번 먹는다. 조금씩 양을 늘여서 효과가 날 때까지 먹는다.

병이 갓 생긴 것은 약을 먹으면 곧 잠이 오고 땀이 나면서 낫는다.

오래된 병도 3번 먹으면 낫는다.
身不覺熱, 頭目昏疼, 口乾咽燥而不渴, 淸淸7)不寐, 皆虛煩也[三因].

몸에 열은 없으면서 머리와 눈이 흐리며 아프고,

입이 마르고 목 안이 마르나 갈증은 없고,

정신이 맑아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모두 허번(虛煩)이다(삼인).

大病後, 虛煩不睡, 溫膽湯主之.

甚者, 益元散 方見暑門 加朱砂牛黃服之[入門].

큰 병을 앓은 후에 허번으로 잠을 자지 못할 때는 온담탕으로 치료하는데,

심하면 익원산(처방은 서문에 있다)에 주사와 우황을 넣어 복용한다(입문).

但獨熱者, 虛煩也.

起臥不安, 睡不穩, 謂之煩.

宜竹葉石膏湯 方見寒門, 酸棗仁湯[入門].

자신만 열감(熱感)을 느끼는 것이 허번이다.

기거가 불안하고 잠이 편하지 못한 것을 '번(煩)'이라고 한다.

죽엽석고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이나 산조인탕을 쓴다(입문).

不寐有二種, 大病後虛弱, 及年高人陽衰不寐者, 六君子湯 方見痰門, 加炒酸棗仁黃芪.

如痰在膽經, 神不歸舍而不寐者, 溫膽湯加南星酸棗仁炒[醫鑑].

잠을 자지 못하는 데는 두 가지가 있다.

큰 병을 앓고 난 뒤 허약해져서 잠을 자지 못하거나 나이가 많은 사람이 양기가 쇠하여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육군자탕(처방은 담문에 있다)에 산조인(볶은 것)과 황기를 넣어 쓴다.

담경(膽經)에 담(痰)이 있어 신(神)이 제자리로 돌아가지 못하여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온담탕에 남성과 산조인(볶은 것)을 넣어서 쓴다(의감).
虛煩者, 心胸煩擾而不寧也.

內經曰, 陰虛則內熱.

今之虛煩, 多是陰虛生內熱所致.

是故傷寒吐下後, 及霍亂吐瀉後, 津液枯竭, 多有虛煩之證[醫鑑].

허번(虛煩)이란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러워서 편안하지 않은 것이다.

내경에서는 "음이 허하면 속에 열이 생긴다"고 하였는데,

여기에서 말하는 허번은 음이 허하여 속에서 열이 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상한(傷寒)으로 토하고 설사한 뒤나 곽란(霍亂)으로 토하고

설사한 다음에는 진액이 바짝 말라 허번증이 많이 생긴다(의감).

虛煩不睡, 宜寧志膏, 酸棗仁湯, 高枕無憂散, 眞珠母元, 獨活湯.

허번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데는 영지고, 산조인탕, 고침무우산, 진주모원, 독활탕을 쓴다.

勞心膽冷, 夜臥不睡, 定志元 方見神門, 加酸棗仁炒柏子仁炒, 朱砂乳香爲衣.

棗湯下五十丸. 加味溫膽湯亦主之[醫鑑].

마음을 수고롭게 하여 담(膽)이 차가워져 밤에 누워도 잠을 자지 못하는 것은

정지원(처방은 신문에 있다)에 산조인(볶은 것), 백자인(볶은 것)을 넣어 알약을 만들고,

주사와 유향으로 옷을 입혀 쉰 알을 대추 달인 물로 먹는다.

가미온담탕도 이런 병을 치료한다(의감).

癲狂不睡, 傷寒不睡 並見各門.

전광(癲狂)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과

상한으로 잠을 자지 못하는 것도 있다(모두 해당하는 문에 있다). 

[昏沈多睡][혼침다수]
靈樞曰, 足太陽有通項入于腦者, 正屬目本, 名曰眼系.

在項中兩筋間, 入腦乃別陰蹻陽蹻, 陰陽相交, 陽入陰, 陰出陽,

交于目銳眥 當作目內眥, 陽氣盛則瞋目, 陰氣盛則瞑目.

영추에서는 "족태양경은 목덜미를 통하여서 뇌로 들어가 바로 눈에 속하는데

이를 안계(眼系)라고 한다.

목덜미의 가운데 양 힘줄 사이를 지나서 뇌에 들어가 음교맥과 양교맥으로 나뉜다.

이 두 경맥의 음양이 서로 사귀어서 양은 음으로 들어가고 음은 양으로 나오는데,

목예자(目銳眦, 마땅히 목내자(目內眦)라고 하여야 한다)에서 사귄다.

양기가 성하면 눈을 부릅뜨고 음기가 성하면 눈을 감는다"고 하였다.

衛氣不得入於陰, 常留於陽, 留於陽則陽氣滿, 陽氣滿則陽蹻盛, 不得入於陰, 故目不暝.

又曰, 衛氣留於陰, 不得行於陽, 留於陰則陰氣盛, 陰氣盛則陰蹻滿, 不得入於陽, 故目閉[入門].

위기(衛氣)가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면 늘 양에 머무르게 되는데

양에 머무르면 양기가 가득 찬다.

양기가 가득 차게 되면 양교맥이 성하며 음으로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눈을 감지 못한다.

또한 위기가 음에 머무르게 되면 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위기가 음에 머무르면 음기가 성하게 된다.

음기가 성하면 음교맥이 가득 차서 양으로 들어가지 못하기 때문에 눈이 감긴다(입문).
傷寒之邪, 傳入陰則多眠. 昏昏閉目者, 陰主闔也, 默默不欲言者, 陰主靜也.

太陽證已解而多眠者, 不必藥也.

陽明證, 熱伏於裏而多眠者, 宜小柴胡湯 方見寒門. 少陰之證, 脈微細但欲寐.

盖寤則行陽, 寐則行陰, 必從足少陰始.

故少陰病但欲寐, 宜茯苓四逆湯 方見寒門, 以益陰回陽.

或熱病得汗後, 脈沈細, 身冷喜臥, 昏沈不省, 亦急與四逆湯, 令四肢溫, 不爾, 有熟睡而死者.

惟汗下後酣眠者, 爲正氣已復, 不必藥也[入門].

상한(傷寒)의 사기가 음으로 전하여 들어가면 잠이 많아진다.

정신이 흐려지며 눈을 감는 것은 음이 닫는 것을 주관하기 때문이다.

가만히 있으면서 말하려 하지 않는 것은 음이 조용한 것을 주관하기 때문이다.

태양증(太陽證)이 이미 풀려서 잠을 많이 잘 때는 약을 쓸 필요가 없다.

양명증(陽明證)에 열이 속에 숨어서 잠을 많이 잘 때는 소시호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쓴다.

소음증(少陰證)은 맥이 미세(微細)하고 오직 잠만 자려고 한다.

대개 깨어 있으면 위기가 양의 부위에서 돌고 잠들면 음의 부위에서 도는데,

반드시 족소음(足少陰)에서 시작한다.

그러므로 소음병에는 단지 자려고만 하는데,

이때는 복령사역탕(처방은 한문에 있다)을 써서 음을 더하여주고 양기를 회복시킨다.

혹 열병에 땀을 낸 다음 맥이 침세(沈細)하고 몸이 차고 눕기를 좋아하고

정신이 혼미하여 사람을 알아보지 못할 때도

빨리 사역탕을 써서 팔다리를 따뜻하게 하여야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깊이 잠들었다가 죽을 수도 있다.

땀을 낸 후에 푹 자는 것은 정기(正氣)가 이미 회복된 것이니 약을 쓸 필요가 없다(입문).

風溫多眠, 狐惑多眠 並見本門.

풍온(風溫)으로 잠을 많이 자거나

호혹(狐惑)으로 잠을 많이 자는 경우가 있다(모두 본문에 있다).

[陽氣之出入爲寤寐][양기지출입위오매]
靈樞曰, 衛氣之行, 晝行於陽, 則目張而寤.

夜行於陰, 則目瞑而寐

영추에서는 "위기(衛氣)가 낮에는 양(陽)의 부위를 돌기 때문에 눈을 뜨고 깨어나며,

밤에는 음(陰)의 부위를 돌기 때문에 눈을 감고 잔다"라고 하였다.

鄭康成曰, 口鼻之呼吸爲魂, 耳目之聰明爲魄.

以耳目與口鼻對言, 則口鼻爲陽, 耳目爲陰.

以耳目口鼻與藏府對言, 則耳目口鼻爲陽, 藏府爲陰.

故陽氣行陽分二十五度於身體之外, 則耳目口鼻皆受陽氣, 所以能知覺視聰動作而寤矣.

陽氣行陰分二十五度於藏府之內, 則耳目口鼻無陽氣運動, 所以不能知覺而寐矣.

聰明者, 豈非陽氣爲之乎[入門].  

정강성은 "입과 코로 숨쉬는 것은 혼(魂)의 작용이고,

귀가 잘 들리고 눈이 잘 보이는 것은 백(魄)의 작용이다.

귀와 눈을 입과 코에 비유하여 말하면 입과 코는 양(陽)이고, 귀와 눈은 음(陰)이다.

귀, 눈, 입, 코를 장부(臟腑)와 비유하여 말하면 귀, 눈, 입, 코는 양이고, 장부는 음이다.

그러므로 양기가 몸의 겉에서 양분(陽分)을 25번 돌면 귀, 눈, 입, 코가 모두

양기를 받게 되어 지각하고 보고 듣고 움직여서 깨어 있을 수 있게 된다.

양기가 장부의 속에서 음분(陰分)을 25번 돌면 귀, 눈, 입, 코에

양기의 운동이 없게 되어 감각 작용을 하지 못하며 잠들게 된다.

그러하니 듣고 보는 것이 어찌 양기의 작용이 아니겠는가!"라고 하였다(입문).    

'[內景篇] > [夢]'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煩不睡][허번불수]   (0) 2019.10.30
[昏沈多睡][혼침다수]   (0) 2019.10.30
[五藏虛實爲夢][오장허실위몽]   (0) 2019.10.30
[淫邪發夢][음사발몽]   (0) 2018.02.18
[魂魄爲夢][혼백위몽]  (0) 2017.05.14

[五藏虛實爲夢][오장허실위몽]  
肝氣虛, 則夢見菌香生草.

, 則夢伏樹下不敢起.

心氣虛, 則夢救火陽物.

實, 則夢燔灼. 脾氣虛,

則夢飮食不足.

實, 則夢築垣盖屋.

肺氣虛, 則夢見白物, 見人斬血藉藉.

實, 則夢見兵戰.

腎氣虛, 則夢見舟船溺人.

實, 則夢伏水中, 若有畏恐[內經]  
간기(肝氣)가 허하면 꿈에 버섯이나 싱싱한 풀이 보이며,

실하면 나무 아래에 엎드려서 일어나지 못하는 꿈을 꾼다.

심기(心氣)가 허하면 꿈에서 불을 끄거나 양(陽)에 속하는 사물이 보이고,

실하면 불타는 꿈을 꾸게 된다.

비기(脾氣)가 허하면 음식이 부족한 꿈을 꾸고,

실하면 담장을 쌓고 지붕을 덮는 꿈을 꾼다.

폐기(肺氣)가 허하면 꿈에 흰 것이 보이거나 사람이 베어져서 피가 흥건한 것이 보이고,

실하면 병사들이 싸우는 것이 보인다.

신기(腎氣)가 허하면 꿈에 배가 보이거나 물에 빠진 사람이 보이고,

실하면 물에 빠져 두렵고 무서워하는 꿈을 꾼다(내경).   

'[內景篇] > [夢]'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虛煩不睡][허번불수]   (0) 2019.10.30
[昏沈多睡][혼침다수]   (0) 2019.10.30
[陽氣之出入爲寤寐][양기지출입위오매]   (0) 2019.10.30
[淫邪發夢][음사발몽]   (0) 2018.02.18
[魂魄爲夢][혼백위몽]  (0) 2017.05.14

[淫邪發夢][음사는 꿈을 꾸게 한다] 
黃帝問曰 淫邪泮行奈何?
岐伯對曰 正邪從外襲 內而未有定舍 反淫于藏不得定處 與榮衛俱行
與魂魄飛揚 使人臥不安而喜夢 是以陰氣盛則夢涉大水而恐懼
陽氣盛則夢大火而燔灼 陰陽俱盛則夢相殺 上盛則夢飛 下盛則夢墮
飢則夢取甚 飽則夢與 肝氣盛則夢怒 肺氣盛則夢哭泣 心氣盛則夢善笑恐畏
脾氣盛則夢歌樂 身體重不擧 腎氣盛則夢脊兩解不屬(內經 淫邪發夢 第四十三).
황제가“음사(淫邪)가 만연된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이 “정사(正邪)는 밖에서부터 몸 안으로 침습해 들어가는데
일정하게 머무르는 곳이 없다.
이것은 5장에 퍼져 정한 곳이 없이 영위(榮衛)를 따라 돌아다니기 때문에
혼백이 떠돌게 되어 잠자리가 불안하고 꿈을 잘 꾼다.
음기(陰氣)가 성하면 큰 물을 건너가는 꿈을 꾸고 무서우며 양기(陽氣)가 성하면
큰 불이 붙는 꿈을 꾸며 음양이 다 성하면 서로 사람을 죽이는 꿈을 꾼다.
상초가 성하면 날아다니는 꿈을 꾸고 하초(下焦)가 성하면 떨어지는 꿈을 꾼다.
배고프면 무엇을 가지는 꿈을 꾸고 배부르면 남에게 무엇을 주는 꿈을 꾼다.
간기(肝氣)가 성하면 성내는 꿈을 꾸고 폐기(肺氣)가 성하면 우는 꿈을 꾼다.
심기(心氣)가 성하면 웃기를 좋아하는 꿈이나 무서운 꿈을 꾸고
비기(脾氣)가 성하면 노래를 부르는 꿈이나 몸이 무거워 움직이지 못하는 꿈을 꾼다.
또한 신기(腎氣)가 성하면 허리뼈가 둘로 떨어져서 맞붙지 못하는 꿈을 꾼다.
又曰 厥氣
客于心 則夢見丘山烟火
客于肺 則夢飛揚 見金鐵之奇物
客于肝 則夢山林樹木
客于脾 則夢見丘陵大澤 壞屋風雨
客于腎 則夢臨淵 沒去水中
客于膀胱則 夢遊行
客于胃 則夢飮食
客于大腸 則夢田野
客于小腸 則夢聚邑街衢
客于膽 則夢鬪訟自刳
客于陰器 則夢接內
客于項則夢斬首
客于脛 則夢行走 而不能前 及居深地窌苑中
客于股肱 則夢禮節拜起
客于胞䐈則夢溲便(靈樞 淫邪發夢 第四十三)
또한 궐기(厥氣)가
심(心)에 머무르면 산이나 언덕, 연기나 불이 꿈에 보이고
폐(肺)에 머무르면 날아다니거나 쇠붙이로 만든 이상한 물건이 보인다.
궐기가 간(肝)에 머무르면 꿈에 산이나 나무가 보이고
비(脾)에 머무르면 꿈에 언덕이 있는 능이나 큰 못이나 집이 무너지는 것이나
비바람이 부는 것이 보인다.
신(腎)에 머무르면 연못가에 살면서 물에 빠지는 꿈을 꾸며
방광(膀胱)에 머무르면 놀러다니는 꿈을 꾼다.
위(胃)에 머무르면 음식을 먹는 꿈을 꾸고
대장(大腸)에 머무르면 논밭이 꿈에 보이며
소장(小腸)에 머무르면 복잡한 도시의 거리가 보이고
담(膽)에 머무르면 싸움하고 재판하며 자살하는 꿈을 꾸며
음기에 머무르면 성생활하는 꿈을 꾸고
목에 머무르면 머리를 베는 꿈을 꾸며 종아리에 머무르면 뛰려고 하나
앞으로 나가지 못하는 꿈이나 깊은 땅굴 속에 있는 꿈을 꾼다.
다리와 팔뚝에 머무르면 예절을 지키면서 절하는 꿈을 꾸고
자궁에 머무르면 대소변을 누는 꿈을 꾼다”고 하였다[영추].
一婦人 常夢與鬼神交 驚怕異常 及見神堂陰司 

舟楫橋梁 如此拾五年 竟無姙娠 諸治無效
戴人曰 陽火盛于上 陰水盛于下 見鬼神者 

陰之靈 神堂者 陰之所 舟楫橋梁 水之用也
診之兩手寸脈皆沈而伏 知其胸中有痰實也 

凡三涌 三泄 三汗 不旬日而無夢 一月而有娠(子和)
어떤 부인이 늘 꿈에 헛것과 성교를 하고 이상할 정도로 놀라며
무서워하였고 성황당, 무덤, 배와 다리가 꿈에 보였다.
이와 같이 15년 동안 지내면서 임신하지 못하여
여러 가지로 치료하였으나 효과가 없었다.
그런데 대인이 보고 나서 “상초에는 양화(陽火)가 성하고
하초에는 음수(陰水)가 성하다.
헛것이 보이는 것은 음기의 작용이고 성황당은 음이 있는 곳이며
배와 다리는 물의 반영이다.
그리고 양손의 촌맥을 보니 맥이 다 침(沈)하고 복(伏)한데
이것을 보아 가슴속에 담실증(痰實證)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하면서
세번 토하게 하고 세번 설사하게 하고 세번 땀을 내게 하였는데
10일이 못되어 꿈이 없어지고 1달이 못되어 임신하게 되었다[자화].  

[魂魄爲夢][정신이 꿈이 된다]
凡夢皆緣 魂魄役物 又曰 形接而爲事 神遇而爲夢(類聚).
대체로 꿈은 다 정신이 사물과 작용하여 생긴다.
또한 형체가 사물과 접촉하면 일이 생기고 정신이 사물과 작용하면 꿈이 된다[유취].
古之眞人 其寢不夢 寢不夢者 神存故也(正理).
옛날에 진인(眞人)은 잠을 자면서 꿈을 꾸지 않았다.
잠을 자면서 꿈을 꾸지 않는 것은 정신이 온전하기 때문이다[정리].
心實則夢 可憂, 可驚, 可怪之事.
虛則魂魄飛揚 紛紜多夢 宜別離散 益氣安神湯(入門).
심(心)이 실(實)하면 근심하거나 놀라거나 괴상한 꿈을 꾼다.
심이 허(虛)하면 혼백이 들뜨기 때문에 복잡한 꿈을 많이 꾼다.
이때에는 별리산, 익기안신탕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邪客 使魂魄不安者 血氣少也.
血氣少者 屬於心 心氣虛者 其人多畏合目欲眠 夢遠行
而精神離散 魂魄妄行 陰氣衰者 爲癲 陽氣衰者 爲狂(仲景).
사기가 침범하면 정신이 불안해지는 것은 혈기(血氣)가 적기 때문이다.
혈기가 적은 것은 심(心)에 속한다.
심기(心氣)가 허하면 흔히 두려워하고 눈을 감고 있으며 자려고만 하고
먼 길을 가는 꿈을 꾸며 정신이 흩어지고 꿈에 허투루 돌아다닌다.
음기가 쇠약하면 전증이 생기고 양기가 쇠약하면 광증(狂證)이 생긴다[중경].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