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離合眞邪論][이합진사론]

 

黃帝問曰

余聞九鍼九篇,

夫子乃因而九之, 九九八十一篇,

余盡通其意矣. 經言氣之盛衰,

左右傾移, 以上調下, 以左調右,

有餘不足, 補瀉於榮輸, 余知之矣.

此皆榮衛之傾移, 虛實之所生,

非邪氣從外入於經也.

余願聞邪氣之在經也,

其病人何如, 取之奈何.

黃帝께서 물어 가라사대, "九針 九篇하였는데,

夫子께서 이에 (九針九篇) 하여서

이를 하여 九九 八十一篇으로 하셨고,

가 그 를 다() 하였습니다.

, 하고 하며[盛衰]

左右傾移함과, 으로써 調하고 로써 調함과,

有餘不足榮輸補瀉함은, (이미) 이를 (고 있)는데,

이는 모두 榮衛傾移(하여) 虛實하는 바이지,

邪氣로부터 함은 아닙니다.

컨대 邪氣함에

(것이) 함은 어떠하며, 이를 함은 어떻게 하는지를 듣고 싶습니다."

 

岐伯對曰

夫聖人之起度數, 必應於天地,

故天有宿度, 地有經水, 人有經脈.

天地溫和, 則經水安靜;

天寒地凍, 則經水凝泣;

天暑地熱, 則經水沸溢;

卒風暴起, 則經水波涌而?.

夫邪之入於脈也,

寒則血凝泣, 暑則氣?,

虛邪因而入客, 亦如經水之得風也,

經之動脈, 其至也亦時?,

其行於脈中循循然,

其至寸口中手也, 時大時小,

大則邪至, 小則平,

其行無常處, 在陰與陽, 不可爲度,

從而察之, 三部九候, 卒然逢之,

?其路. 吸則內鍼, 無令氣?.

靜以久留, 無令邪布,

吸則轉鍼, 鎰氣爲故,

候呼引鍼, 呼盡乃去,

大氣皆出, 故命曰瀉.

岐伯()하여 가로되,

"대저 聖人度數하심엔 반드시 天地하시(),

에는 宿度가 있고, 에는 經水가 있고, 에는 經脈이 있습니다.

天地溫和하면, 經水安靜하며;

하고 하면, 經水凝泣하며;

하고 하면, 經水沸溢하며;

卒風暴起하면, 經水波涌하며 롱합니다.

대저 함엔,

하면 凝泣하고 하면 가 뇨하는데,

虛邪하여 入客함이 또한 經水함과 같으며[같아서],

動脈---(것이) 함이 또한 때때로 롱하는데,

그것이 脈中함은 循循然하나,

그것이 寸口하여 함은 때로는 하고 때로는 하며,

하면 함이고, 하면 () 하여짐인데,

함이 常處가 없이 하여[常處가 없어서 함을

((의 어느 쪽에 하는지를))] 하지 못하(),

하여 이를 하여 三部九候[하여 이를 三部九候하여] 卒然히 이를 하거든,일찍 그 를 알하고, 하면 (())하되 로 하여금 오하지 말게 하여,

고요히 오래 ()하여 로 하여금 하지 말게 하고,

하면 轉鍼하되 得氣(함으)로써 를 삼아,

(할 때)하여 引鍼하고 하면 이에[비로소] 하여,

大氣((在此指邪氣))가 모두 (게 하나), 하여 라고 합니다."

 

帝曰

不足者補之, 奈何.

께서 가라사대,

"不足, 이를 함은 어떻게 합니까?"

 

岐伯曰

必先?而循之, 切而散之,

推而按之, 彈而怒之, ?而下之,

通而取之, 外引其門, 以閉其神,

呼盡內鍼, 靜以久留,

以氣至爲故, 如待所貴, 不知日暮,

其氣以至, 適而自護, 候吸引鍼,

氣不得出, 各在其處, 推闔其門,

令神氣存, 大氣留止, 故命曰補.

岐伯이 가로되,

"반드시 먼저 이를 문하여 하도록 하고,

하여 이를 (게 하)(나서),

하여 이를 하고, 하여 이를 하게 하고(나서), 조하여 이를 하고,

(게 하)여 이를 하고(나서)((下鍼之後,必使其氣通,然後施以補瀉之法,以取其疾)),

로 그 ((鍼孔))에서 () 하며 써 그 ((在此指眞氣))(이 새어나가지 못하도록 針孔)(재빠르게) 합니다.

함에 (())하여 고요히 오래 하되,

함을 로 삼아 所貴((한 이))하듯이 하는데,

日暮不知하고((시간의 早晩을 잊고))

가 써 하거든 하여 스스로 하다가 하기를 하여 하되,

가 시러곰 하지 못하(게 하)여 각기 그 (게 하),

推闔하여 神氣하고 大氣((此處指人體正氣))留止하게 하(),

하여 라고 합니다."

 

帝曰

候氣奈何.

께서 가라사대,

"함은 어떻게 합니까?"

 

岐伯曰

夫邪去絡入於經也,

舍於血脈之中, 其寒溫未相得,

如涌波之起也, 時來時去,

故不常在. 故曰: 方其來也,

必按而止之, 止而取之,

無逢其衝而瀉之.

眞氣者, 經氣也, 經氣大虛,

故曰: 其來不可逢, 此之謂也.

故曰: 後邪不審, 大氣已過,

瀉之則眞氣脫, 脫則不復,

邪氣復至, 而病益蓄,

故曰: 其往不可追, 此之謂也.

不可?以髮者,

待邪之至時而發鍼瀉矣,

若先若後者,

血氣已盡, 其病不可下,

故曰: 知其可取如發機,

不知其取如?,

故曰: 知機道者不可?以髮,

不知機者?之不發, 此之謂也.

岐伯이 가로되,

"대저 하여 함에는

血脈하여 그 寒溫相得하지 못하니

[血脈하니, 寒溫相得하지 못하면],

涌波함과 같이 때로는 하고 때로는 하므로 常在하지 못합니다.

로 가로되, '바야흐로 그것이 함엔

반드시 하여 이를 (게 하), 함에 이를 하되,

하지 말고 이를 할지니[하여 이를 하지 말지니],

眞氣經氣인데, 經氣가 크게 하여 짐이라.'고 했으니,

로 가로되, '하는 것은 하지 못한다.'고 함이 이를 이름입니다.

로 가로되, ' 함이 하지 못하여 大氣가 이미 하였는데,

이를 하면 眞氣하고, 하면 하지 못하고

邪氣가 다시 하여, 이 더욱 한다.'고 했으니,

로 가로되, '(한 것)하지 못한다.'고 함이 이를 이름입니다.

로써 괘하지 못한다((머리카락만큼의 時差도 두어서는 안 된다))고 함은

하는 때를 하여 (하여 )함이니,

만약 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血氣가 이미 하여 그 하지 못합니다.

로 가로되, '함을((을 써서 邪氣時機)) 하면 하는 듯하고, 함을 하지 못하면 를 구함 같다.'고 했으며;

로 가로되, '機道하는 로써 괘하지 못하고,

하지 못하는 는 이를 구하여도 하지 못한다.'고 했으니, 이를 이름입니다."

 

帝曰

補瀉奈何.

께서 가라사대, "補瀉는 어떻게 합니까?"

岐伯曰

此攻邪也,

疾出以去盛血, 而復其眞氣,

此邪新客 溶溶未有定處也.

推之則前, 引之則止,

逆而刺之,溫血也.

刺出其血, 其病立已.

岐伯이 가로되, "함은[이는 함이니],

빨리 함으로써 盛血하여 그 眞氣()(여야 하)는데,

() 가 새로 하면서,

溶溶히 아직 定處가 있지[定處를 두지] 아니하여,

이를 하면 하고, 이를 하면 하니,

(())하여 溫血(여야 하)는데,

(하여 )하면 그 이 곧 낫습니다(立已)."

 

帝曰

. 然眞邪以合,

?不起, 候之奈何.

께서 가라사대, "합니다.

그러나 ()가 써 하여 롱이 하지 아니하면,

이를 함은 어떻게 합니까?"

 

岐伯曰:

?循三部九候之盛虛而調之,

察其左右上下相失及相減者,

審其病臟以期之.

不知三部者, 陰陽不別, 天地不分,

地以候地, 天以候天,

人以候人, 調之中府, 以定三部,

故曰: 刺不知三部九候病脈之處,

雖有大過且至, 工不能禁也.

誅罰無過, 命曰: 大惑,

反亂大經, 眞不可復,

用實爲虛, 以邪爲眞, 用鍼無義,

反爲氣賊, 奪人正氣, 以從爲逆, 榮衛散亂,

眞氣已失, 邪獨內著, 絶人長命, 予人夭殃,

不知三部九候, 故不能久長.

因不知合之四時五行,

因加相勝, 釋邪攻正, 絶人長命.

邪之新客來也, 未有定處,

推之則前, 引之則止,

逢而瀉之, 其病立已.

岐伯이 가로되,

"三部九候盛處() 하여 이를 調()하는데,

左右上下相失() 相減하고

()하여 써 이를 합니다.

三部하지 못하는 陰陽하지 못하고 天地하지 못합니다.

로써 하고, 으로써 하고,

으로써 하여, 이를 中府調하여 써 三部합니다.

로 가로되, '함에 三部九候()病脈하지 못하면,

비록 大過가 장차 하려 함이 있어도, 하지 못한다.'고 했습니다.

無過誅罰함을 하여 大惑이라고 하(),

도리어 大經(게 하)하지 못하(게 하),

로써 를 삼고 로써 을 삼아, 함에 가 없으니,

도리어 氣賊이 되어 [에게서] 正氣하며,

으로써 을 삼아 榮衛散亂하고 眞氣가 이미 ()되면,

가 홀로 안에 ()하여 長命하며 에게 夭殃((原作'天殃'))(())하니,

三部九候하지 못하므로 久長((長久))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하여 이를 四時 五行할 줄을 모르고,

하여 (病邪) 相勝((助益))하여 하고 하여 長命합니다.

(가 새로 客來함엔 아직 定處가 있지 아니하며, 이를 하면 하고 이를 하면 하니, 하여 이를 하면 그 이 곧 낫습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太陰陽明][태음양명]  (0) 2024.08.09
[通評虛實][통평허실]  (0) 2024.08.01
[八正神明論][팔정신명론]  (0) 2024.07.19
[寶命全形論][보명전형론]  (4) 2024.07.13
[血氣形志][혈기형지]  (2) 2024.07.07

[八正神明論][팔정신명론]

 

黃帝問曰

用鍼之服必有法則焉今何法何則

황제께서 물으셨다.

용침상 따라야 하는 데는 반드시 법칙이 있을 것인데,

어떤 법칙에 따라야 하는 것이요?

 

岐伯對曰

法天則地合以天光

기백이 대답하였다.

천의 법칙에 따르며 지의 법칙에 따르는데,

이에 첨가하여 천의 광을 따라야 합니다.

 

帝曰

願卒聞之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기 바라오.

 

岐伯曰

凡刺之法必候日月星辰

四時八正之氣氣定乃刺之

是故天溫日明則人血淖液而衛氣浮

故血易寫氣易行天寒日陰

則人血凝泣而衛氣沈

月始生則血氣始精衛氣始行

月郭滿則血氣實肌肉堅

月郭空則肌肉減經絡虛

衛氣去形獨居

是以因天時而調血氣也

是以天寒無刺天溫無疑

月生無寫月滿無補

月郭空無治是謂得時而調之

因天之序盛虛之時

移光定位正立而待之

故日月生而寫是謂藏虛

月滿而補血氣揚溢

絡有留血命曰重實

月郭空而治是謂亂經

陰陽相錯眞邪不別沈以留止

外虛內亂淫邪乃起

기백이 대답하였다.

자침의 법을 실시하는 데는 반드시 일월이나, 성신의 운행이나,

춘하추동의 교체 상항이나, 8풍의 방각을 측후할 필요가 있습니다.

즉 천지의 기가 인체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자법(刺法)을 실시합니다.

대저, 천의 기가 따뜻하고 햇볕이 잘 비칠 때는 사람의 피도 충분하게 흘러서 위기도 표에 떠 있습니다.

고로 혈도 사하기 쉽고, 기도 움직이기 쉬운 상태에 놓여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천의 기가 춥고 날씨가 흐리면 인간의 혈은 응삽되어

흐름이 나빠지고, 위기도 속으로 들어갑니다.

이와 같은 때는 혈도, 기도 움직이기 어렵게 되는 것입니다.

혹은 또 초승달(新月)이 생기면 혈기의 작용이 예리하게 되어 위기가 잘 돌기 시작합니다.

만월(滿月)이 되면 혈기가 충실하고 기육(肌肉)이 단단해집니다.

암야가 되면 기육이 감퇴되고, 경맥이나 낙맥 속의 혈기가 허하고,

위기가 속으로 들어가서 방위하지 않습니다.

그저 형체만이 무방비인 상태로 될 따름입니다.

그러므로 천의 시를 잘 살펴서 환자의 혈기의 혼란을 조화시켜 줍니다.

천의 기가 추울 때는 자법을 실시하는데 신중해야 합니다.

천의 기가 따뜻할 때는 자법을 실시하는데 주저할 필요가 없습니다.

초승달(신월)일 때는 강하게 사법을 실시해서는 안됩니다.

만월일 때는 강하게 보법을 실시할 필요는 없습니다.

암야일 때는 치료를 실시하는 데 신중해야 합니다.

이들 사항을 천의 시를 잘 살펴서 혈기를 조화시킨다고 합니다.

이와 같이 천의 양기의 변환, 혹은 달이 차고 기울 때를

천문역법을 생각하여 태연하게 기다려서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옛부터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초승달(신월)일 때에 사법을 실시하면 장기를 허하게 한다.

만월일 때에 보법을 실시하면 혈기가 떠올라서 넘쳐 낙맥에 울혈이 생긴다.

이를 실을 실하게 했다고 한다.

암야일 때 치법을 실시하면 경기의 운행을 혼란케 한다.

즉 음양의 경맥의 흐름이 혼란되어 진기와 사기가 얽혀서 내부를 들어가

위기는 밖을 지키지 않고, 영혈은 속으로 혼란되어 사기가 뻗어서 퍼지게 된다.

 

帝曰

星辰八正何候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성신이라든지, 8정이라든지 하는 것은 이에 의하여 대체 무엇을 알려고 하는 것이요?

 

岐伯曰

星辰者所以制日月之行也

八正者所以候八風之虛邪以時至者也

四時者所以分春秋冬夏之氣所在以時調之也

八正之虛邪而避之勿犯也

以身之虛而逢天之虛兩虛相感其氣至骨

入則傷五藏工候救之弗能傷也

故曰天忌不可不知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성신을 관측하여 일월의 운행 상태를 알게 되며,

또 입춘 춘분 입하 하지 입추 추분 입동 동지의 8절의시기를 생각하여

각각 동북, , 동남, , 서남, , 서북, 북의 방위에서 바르게

그 계절의 바람이 불고 있는지, 혹은 반대 방향에서 불어와서 허사로 될 풍이 아닌지를 살피는 것입니다.

이밖에 춘하추동의 4계절에 있어서의 인체의 혈기의 존재 상항을 알아서 치법을 실시함은 물론입니다.

8절의 계절의 역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 예컨대 춘분일 때는 동풍이 정풍인데,

이 때 서풍이 불어오면 이 서풍은 역이므로 사람을 허하게 하는 사의 허사로 됩니다.

이 사풍이 불어올 때는 외출을 피하여 이에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합니다.

만약 어떠한 원인으로 그 사람 자신의 진기가 허해 있을 때에 다시 천의 허 예컨대 암야일 때라든지, 천의 음기가 강할 때라든지,

혹은 5운이 불급한 해라든지 이와 같이 천과 사람의 허가 겹쳐 있을 때에 이 사풍을 만나면 그 사기는 인체 깊이 침입하여 골수에까지 이릅니다.

이와 같이 하여 5장의 기능까지도 손상합니다.

이 때 이 천의 허의 상태와 허풍과를 측후하여 조기에 병을 발견하고 의료를 가하면 허사도 5장을 손상할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의사는 이 천의 기피해야 할 시기를 몰라서는 안 됩니다.

 

帝曰善

其法星辰者余聞之矣願聞法往古者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성신에 따르는 것은 지금 들어서 알았소.

그러면 옛것에 따르는 법을 듣고 싶소.

 

岐伯曰

法往古者先知鍼經也

驗於來今者先知日之寒溫

月之虛盛以候氣之浮沈

而調之於身觀其立有驗也

觀其冥冥者言形氣榮衛之不形於外

而工獨知之以日之寒溫月之虛盛

四時氣之浮沈參伍相合而調之

工常先見之然而不形於外

故曰觀於冥冥焉

通於無窮者可以傳於後世也

是故工之所以異也然而不形見於外

故俱不能見也

視之無形嘗之無味

故謂冥冥, 若神仿佛

虛邪者八正之虛邪氣也

正邪者身形若用力汗出

腠理開逢虛風

其中人也微故莫知其情莫見其形

上工救其萌牙必先見三部九候之氣

盡調不敗而救之故曰上工

下工救其已成救其已敗救其已成者

言不知三部九候之相失因病而敗之也

知其所在者知診三部九候之病脈處而治之

故曰守其門戶焉莫知其情而見邪形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옛것에 따른다는 것은 먼저 "침경"을 열독 완미하는 것입니다.

[침경]을 지금부터 실험하려고 생각하는 사람은 먼저 천의 기의 한온,

월의 영허를 알아서 그것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다음에 39후의 맥을 보아 경맥의 기의 부침을 살피고,

그 이상을 조화시켜 주면 곧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눈앞에 볼 수가 있을 것입니다.

[침경]에 있는 그 명명함을 관한다는 것은 사가 침범한 초기에 있어서는 육체적 정신적으로도 영기 위기의 성쇠도 좀처럼 외견상 잠깐 보는 것만으로는 나타나지 않은 것처럼 생각되므로 이 미세한 이상의 표현은 의술을 습득한 사람이 아니고서는 모르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수한 의사는 이를 감지하여 다시 천의 기의 한온, 월의 영허, 춘하추동의 양기의 소장 등을 짐작하여 환자의 경맥의 이상을 조화시켜 줍니다.

우수한 의사라면 이 사기의 침입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데,

범의들에게는 좀처럼 알 수 없습니다.

그러므로 그 명명함을 관한다고 하는 것입니다.

또한 무궁하게 통한다는 것은 이 우수한 의술을 후세까지 단절됨이 없이 전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의술을 전할 수 있는 우수한 의사가 다른 범의들과 다른 까닭이 있습니다.

범의(凡醫)는 이 미묘성을 감지할 수 없습니다.

즉 보고자 해도 보이지 않으며, 핥아도 맛을 모른다는 형편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명명함이 신을 방불케 한다 즉 그 알기 어려움은 신불의 존재와 같다는 것입니다.

허사란 8절의 계절에 적합한 정풍에 대하여 전혀 반대 방향에서 불어오는 사풍의 기를 말합니다.

예컨대 춘분의 동풍은 정풍인데, 서풍은 사풍이며, 이것이 허사로 되는 것입니다.

정사란 8절의 정풍이 사로 되는 것인데, 보통의 상태로서는 이에 상해되지 않는 것이지만,

체질적으로 땀을 잘 흘리는 사람, 혹은 노동으로 인해 땀이 나서 모공이 열려 있을 때는 그 정풍을 만나도 신체의 표면이 허해 있기 때문에 사기에 손상되는 것입니다.

이들의 사기에 손상되었을 때 그 손상 정도가 약할 때는 그 사람에게 사기가 손상되었음을 전혀 모릅니다.

그 이상한 상태도 극히 미세하므로 확인하기 어려운 것입니다.

그런데 명의(名醫)가 되면 이 미묘한 이화를 찰지하여 병사의 싹을 적출하게 됩니다.

즉 먼저 반드시 39후의 맥을 살펴서 사소한 이상이라도 조화시켜서 병사의 공격을 모면케 합니다.

그러므로 상급의 의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급의 의사는 병변이 이미 형성되어 환자의 진기가 사기에 패북 하고 있을 무렵이 되어 겨우 알게 되며, 그때부터 진기를 사기에서 구출하려고 시도합니다.

이미 이루어진 것을 구하는 것은 39후의 맥상에 이상이 있음을 발견하지 못하여 병사가 깊이 침입되어서 비로소 치료를 개시하는 것으로 됩니다.

그 소재를 안다는 것은 39후의 맥상을 진찰하여 그 이상이 있는 부위를 알고 치료를 실시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신체의 문호를 지키고, 병사의 침입을 막는다고 합니다.

이 경우는 비록 그 사람이 사기에 손상되었다는 것을 그 사기에 손상된 원인인 8계절의 정과 사의 풍의 이론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임상 상으로는 극히 미세한 이상 상태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경우입니다.

 

帝曰

余聞補寫未得其意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일찍이 보()와 사()에 대하여 설명을 들은 일이 있지만,

아직 그 뜻을 충분히 알 수 없소. 그에 대한 설명을 바라오.

 

岐伯曰

寫必用方方者以氣方盛也

以月方滿也以日方溫也以身方定也

以息方吸而內鍼

乃復候其方吸而轉鍼

乃復候其方呼而徐引鍼

故曰寫必用方其氣而行焉

補必用員員者行也行者移也

刺必中其榮復以吸排鍼也

故員與方非鍼也

故養神者必知形之肥瘦榮衛血氣之盛衰

血氣者人之神不可不謹養

기백이 대답하였다.

사법을 실시할 때는 혈기가 가득 차 있을 때, 만월일 때, 천의 기가 충분히 따뜻할 때, 신체의 상태가 긴장되었을 때 쓰는 자법 입니다.

그 수기도 숨을 가득 흡입할 때 침을 자입 하고, 또 다시 숨을 가득 흡입할 때 다시 깊이 자입 합니다.

그리고 다음에는 숨을 완전히 내쉴 때를 살펴서 서서히 발침 합니다.

이와 같이 사법은 반드시 기혈이 성할 때에 시행하는 것입니다.

보법을 실시할 때는 반드시 원 즉 위축되어 둥글게 오므라진 상태에서 실시합니다.

그 방법은 위축된 기를 움직이는데 있습니다.

기가 움직이면 크게 퍼져 갑니다.

찔러서 영혈에 닿으면 반드시 숨을 들이쉴 때를 맞추어 발침 합니다.

고로 신기를 기를 수 있는 숙달한 사람은 반드시 환자의 비유의 영양 상태나, 영위 혈기의 기의 성쇠를 장악하여 이상을 조화시킵니다.

이 영위 혈기의 작용이야말로 그 사람의 신기이며, 정기 진기 정기라고도 일컫는 것입니다.

의인은 모름지기 환자의 신기를 삼가 영양해 주어야 합니다.

 

帝曰妙乎哉論也

合人形於陰陽四時?實之應

冥冥之期其非夫子孰能通之

然夫子數言形與神何謂形何謂神願卒聞之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참으로 오묘한 논설이구나! 인체를 음양, 4, 허실의 표현과 이치 시켜서 명명한 기미에 통달할 수 있다는 것은 선생이 아니고서는 천하가 넓다 하더라도 누가 이 온오에 통달하겠소!

그런데 선생은 아까부터 자주 형과 신에 대하여 말하였는데, 무엇을 형이라 하고 무엇을 신이라 하는지? 모든 것을 설명해 주기 바라오.

 

岐伯曰

請言形形乎形目冥冥問其所病

索之於經慧然在前按之不得

不知其情故曰形

기백이 대답하였다.

신 기백이 삼가 아뢰옵니다.

! 형이란 즉 육체적 이상은 눈으로만 관찰하는 것이 아니고,

반안을 감고 그 병상에 따라서 39후를 살펴서 이상이 있는 경맥을 구하면 뚜렷이 안전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범의는 단지 환자의 형태에만 마음이 쏠려서 이에 구애되므로 아무리 진찰하여도 진짜로 어디가 나쁜지를 전혀 모릅니다.

그것은 참 이치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를 형이라 합니다.

 

帝曰

何謂神

황제께서 물으셨다.

그러면 무엇을 신이라 하오?

 

岐伯曰

請言神神乎神耳不聞目明心開

而志先慧然獨悟口弗能言?視獨見

適若昏昭然獨明若風吹雲故曰神

三部九候爲之原九鍼之論不必存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 ! 신의 움직임 즉 기의 움직임은 귀로 들으려고 해도 들리지 않습니다.

심안을 크게 뜨고 무아의 경지에 서서 정신을 통일하면 뚜렷이 홀로 느끼게 됩니다.

그 상태를 말로써 표현하라고 하여도 도저히 표현할 수 없습니다.

동시에 진찰하여도 명의만이 알 수 있습니다.

범의들은 멍청해서 무엇인지 모릅니다.

바로 바람이 구름을 헤치고 청천이 활짝 나타나는 것처럼 명인에게는 홀로 명료하게 찰지됩니다.

그러므로 이를 신의 느낌이라 합니다.

이 형과 신과의 상태를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39후론"이 기본입니다.

"9침론"도 긴요하지만, 이것과 비교하면 필수라고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評虛實][통평허실]  (0) 2024.08.01
[離合眞邪論][이합진사론]  (0) 2024.07.26
[寶命全形論][보명전형론]  (4) 2024.07.13
[血氣形志][혈기형지]  (2) 2024.07.07
[宣明五氣篇][선명오기편]  (3) 2024.07.05

[寶命全形論][보명전형론]

 

黃帝問曰

天覆地載萬物悉備

莫貴於人人以天地之氣生四時之法成

君王衆庶盡欲全形形之疾病

莫知其情留淫日深著於骨髓心私慮之

余欲鍼除其疾病爲之奈何

황제께서 물으셨다.

천은 만물을 덮고, 지는 만물을 실어서 이 세상은 형성되고 있다.

그 만물 가운데 가장 귀중한 것은 인간의 생명이다.

인간은 천지의 음양의 기의 작용에 의해 생명을 얻어 춘하추동의

생장 수장의 작용을 되풀이함을 받아서 인생의 생장 수장을 실시하는데 왕후든,

평민이든, 신분의 상하의 구별 없이 모두 육체를 손상함이 없이 천수를 다하려고 바라지 않는 사람은 없다.

그런데 인체를 병들게 하는 사기는 언제나 침입했는지 뚜렷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리하여 나날이 점점 깊이 침입한 사기는 마침내 가장 깊은 골수에까지 달라붙어서 실기하는 수가 있다.

나는 마음 깊이 이를 생각하여 침을 써서 그 질병을 제거해 주고 싶은데,

좋은 방법이 없겠소?

 

岐伯對曰

夫鹽之味鹹者其氣令器津泄

絃絶者其音嘶敗木敷者其葉發

病深者其聲噦

人有此三者是謂壞府毒藥無治

短鍼無取此皆絶皮傷肉血氣爭黑

기백이 대답하였다.

염수를 질그릇에 담아 두면 액이 자연히 새서 단지의 외면이 젖게 됩니다.

줄이 끊어지려는 거문고의 소리는 탁한 것입니다.

봄이 되어 나뭇잎이 싹트는 것은 나무가 겨울 동안 양분을 저장하고 있던 것을 발산시키는데 불과합니다.

이들 비유하는 사실처럼 모두가 종전부터 원인이 있어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데 불과합니다.

인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며, 병이 오래 전부터 양성되어 깊이 침입하고 있는 경우는 5장의 정기의 근원을 만들어 내는 긴요한 소화기관인 위의 기능을 손상하여 딸꾹질을 일으키고 있는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약물을 가지고도 고칠 수 없고, 침을 써도 사기를 제거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버립니다.

그 결과 피부의 기능도 손상되고, 기육도 소모되어 이 때문에 혈과 기가 주재하는

장소를 다투어 부패해 버리면 어떻게 할 도리가 없습니다.

 

帝曰

余念其痛心爲之亂惑反甚其病不可更代

百姓聞之以爲殘賊爲之奈何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그러한 환자를 만나면 환자의 고통을 생각해서 나의 마음도 흐트러지고 미혹되어 치료 방침을 세울 수 없어서 도리어 병상을 악화시켜 고칠 수 없게 된다.

백성들은 이 말을 듣고, 나를 극악인이라고 욕할 것이다. 어떻게 하면 좋겠소?

 

岐伯曰

夫人生於地懸命於天天地合氣命之曰人

人能應四時者天地爲之父母

知萬物者謂之天子

天有陰陽人有十二節

天有寒暑人有虛實

能經天地陰陽之化者不失四時

知十二節之理者聖智不能欺也

能存八動之變五勝更立能達虛實之數者

獨出獨入呿吟至微秋毫在目

기백이 대답하였다.

무릇 사람이라는 것은 천지 사이에서 생명을 받고 있는 것입니다.

즉 천지의 음양의 기가 합쳐진 것이 인간이므로 천지의 운행에 거슬리는 일이 없이 춘하추동의 4시의 양생법에 따르면 천지는 부모와 같이 그 사람을 자애하여 백년의 천수를 다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만물의 발생의 대원리를 받게 되는 분이야말로 천의 자 즉 천자입니다.

천에 33양의 6기가 있는 것처럼 사람에게는 수족의 33양의 12경맥이 있습니다.

천에 한서의 교체가 있는 것처럼 사람에게도 허실의 교체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천지의 음양의 변화를 알고 있는 사람은 춘하추동의 4시의 양생법에 어긋나는 일은 없습니다.

12경맥의 이치에 잘 통효하고 있는 사람은 성자이고 지자이며, 어떠한 사기에도 속는 일이 없습니다.

8풍의 정사의 풍의 변화의 유무를 잘 살피는 사람은 5운의 교체에 잘 순응할 수 있습니다.

허실의 이치에 잘 숙달된 사람의 침법은 마음대로 실시하여서 틀리는 일이 없습니다. 허실의 표현은 침으로 미묘합니다.

그 미묘성을 감지하는 것은 심안을 뜨는데 있을 뿐입니다.

 

帝曰

人生有形不離陰陽天地合氣

別爲九野分爲四時月有小大

日有短長萬物並至不可勝量

虛實呿吟敢問其方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탄생하여 형체를 가지고 있는 것은 음양의 작용에 의할 따름일 것이다.

천과 지가 기를 합쳐서 천의 9, 지의 9야가 생겼을 것이다.

1년을 나누는 춘하추동이 생기고, 달에도 대소가 있으며, 낮과 밤은 여름과 겨울 따라 장단이 생긴다.

만물이 모두 이와 같이 여러 가지로 변한 상태로 나타나는 것이지만, 이들을 하나하나 예를 들면 한이 없다.

요컨대 그 기본은 허실일 것이다.

허실의 보사를 간소하게 단적으로 설명해 주기 바라오.

 

岐伯曰

木得金而伐火得水而滅土得木而達

金得火而缺水得土而絶萬物盡然不可勝竭

故鍼有懸布天下者五黔首共餘食莫知之也

一曰治神二曰知養身三曰知毒藥爲眞

四曰制砭石小大五曰知府藏血氣之診

五法俱立各有所先

今末世之刺也虛者實之滿者泄之此皆衆工所共知也

若夫法天則地隨應而動和之者若響

隨之者若影道無鬼神獨來獨往

기백이 대답하였다.

목은 금이 오면 정벌되고, 화는 수가 오면 소멸되며,

토는 목이 오면 달통되고, 금은 화가 오면 요결되고,

수는 토가 오면 절색 되는 것이며,

만물은 이와 같이 모두 능한 면과 그렇지 못한 약한 면이 있습니다.

이 예를 들자면 참으로 한이 없습니다.

여기에 천하의 백성들에게 침술의 요도로서 공포해야 할 다섯 가지가 있습니다.

백성들은 폐하의 치세를 구가하여 오로지 완의포식하며, 이와 같은 학술은 조금도 모르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다섯 가지라는 것은

첫째 정신을 안정할 것.

둘째 양생법에 적합한 생활을 하여 환자에 대한 기준으로 될 수 있을 것.

셋째 엽물의 기미를 알 것.

넷째 침이나 돌칼의 대소를 규격 지을 것.

다섯째 5612경맥의 혈기의 허실을 진단하는 법을 알 것.

이 다섯 가지 법을 알게 되면 벌써 시술의 순서는 저절로 정해집니다.

그런데 지금의 자법(刺法)에 있어서는 허한 자는 이를 실하게 하고, “실한 자는

이를 허하게 한다라는 것만을 모두 알고 있는데 불과합니다.

만약 이 천지의 대법에 따른 자법을 실시하면 자침의 효과에 따라서 기가 움직이고 조화가 이루어지는 것은 마치 치면 울리는 것처럼,

또한 혈기가 정상적인 운행에 따르는 것은 마치 그림자가 형체에 따르듯이 모두 빨리 효과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대저, 의도(의사의 길)는 귀신과 같은 요괴 변화 따위와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요컨대 다만 술자가 무아의 경지에 있어서 심안을 뜨고, 자유자재 융통무득 하게 시술하는데 있습니다.

 

帝曰

願聞其道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부디 그 요도를 가르쳐 주기 바라오.

 

岐伯曰

凡刺之眞必先治神五藏已定

九候已備後乃存鍼衆脈不見衆凶弗聞

外內相得無以形先可玩往來乃施於人

人有虛實五虛勿近五實勿遠至其當發間不容瞚

手動若務鍼耀而勻靜意視義觀適之變

是謂冥冥莫知其形見其烏烏

見其稷稷從見其飛不知其誰伏如橫弩起如發機

기백이 대답하였다.

대저, 자법의 진수는 먼저 반드시 환자의 기의 작용을 찰지하는데 있습니다.

그래서 환자의 5장이 안정되면 39후의 맥상을 확인하여 자법을 실시합니다.

시술에 의하여 7진 등의 나쁜 맥상이 소실되고, 여러 가지 병적 증후가 없어지면 음양 내외의 조화도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환자의 기의 작용을 안정시키는 것이 선결 문제이며, 환자의 육체상의 이변만을 먼저 조화시키려는 것은 잘못입니다.

즉 기를 이르게 하는 것이 시술의 목적입니다.

환자에게는 허실의 증상이 있습니다.

5허의 환자에게는 경솔하게 치법을 가해서는 안 됩니다.

5실의 환자에게도 겁을 먹고 경원해서는 안 됩니다.

심안으로 잘 살펴서 치료 방침을 견지하여 환자의 기의 작용을 주시하여 바로 찔러야 할 시기를 포착하여 제때에 정신을 집중하여 침을 쓰면 침의 운용은 분명히 조화되는 것입니다.

이리하여 무아의 경지에 서서 자침이 잘 되었음을 느꼈을 때를 기가 이르렀다고 하는 것이며, 그 느낌은 매우 미묘하여 무엇이라 형용해서 좋을지 모를 정도입니다.

그 기가 이르러 모이는 것은 마치 새가 어디에선가 모여 오는 것처럼,

또 그 기가 사라지는 것은 마치 새가 살짝 날아가는 것처럼 매우 빠른 것이며,

대체로 무엇이 그렇게 만드는 것인지 전혀 알 수 없을 정도입니다.

그러므로 예컨대 석궁을 잡아 당겨서 때를 겨누어 탁 발사하는 것처럼 침의 운용이 그 시기를 포착하는데 진중을 기해야 합니다.

 

帝曰

何如而虛何如而實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어떻게 하여 실을 허하게 하고, 허를 실하게 하오?

 

岐伯曰

刺虛者須其實刺實者須其虛

經氣已至愼守勿失深淺在志

遠近若一如臨深淵

手如握虎神無營於衆物

기백이 대답하였다.

허를 찌를 때는 기가 이르러 거기가 실해지는 것을 기다려야 합니다.

실을 찌를 때는 기가 이르러 거기가 허해지는 것을 기다려야 합니다.

소위 기가 이르러 경맥의 기가 평평하게 조화를 이루게 되면 거기서

그 조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시술이 지나쳐서는 안 됩니다.

자침의 깊이라는 것은 표준이 있지마는,

깊은 못()에 임했을 때와 같이 진중하게 모든 것을 술자의 의지에 의해 결정하여야 합니다.

또한 기가 이를 때의 지연에 불구하고 손으로 호두를 쓰다듬는 것처럼 긴장하여 그때가 이르는 것을 기다려야 합니다.

이와 같이 술자는 언제나 정신을 통일하여 무엇에도 장애를 받지 않고 시술을 완료하여 비로소 만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離合眞邪論][이합진사론]  (0) 2024.07.26
[八正神明論][팔정신명론]  (0) 2024.07.19
[血氣形志][혈기형지]  (2) 2024.07.07
[宣明五氣篇][선명오기편]  (3) 2024.07.05
[藏氣法時論][장기법시론]  (0) 2024.06.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