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刺志][자지]

 

黃帝問曰

願聞?實之要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허실의 요점을 설명해 주기 바라오.

 

岐伯對曰

氣實形實??此其常也反此者病

穀盛氣盛??此其常也反此者病

?實血實???此其常也反此者病

기백이 대답하였다.

생명의 활동력으로서 맥진 혹은 직관으로 감지할 수 있는 힘을 기라고 하는데,

이 기가 충실해 있으면 육체가 충실해 있는 것이 보통이며, 또 기가 허쇠해 있으면

육체도 허쇠해 있는 것이 통상입니다.

이에 반()한 경우는 질병입니다.

 

또 식욕이 왕성하면 기도 성대할 것입니다.

식욕이 적으면 기도 허소할 것입니다.

이것이 정상인데, 이에 반한 경우는 질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 맥이 충실해 있어서 혈색이 좋은 것은 정상입니다.

맥이 허소하면 그다지 혈색이 좋지 않은데,

그 사람에게 있어서는 정상의 상태입니다.

그러나 이에 반()하면 질병입니다.

 

 

帝曰

如何而反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이에 반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이요?

 

岐伯曰

?身熱此謂反也

穀入多而氣少此謂反也

穀不入而氣多此謂反也

?盛血少此謂反也

?少血多此謂反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기가 성대한데 오한하는 것은 반()입니다.

기가 허소한데 신체가 열하는 것은 반입니다.

식욕이 왕성한데 기가 적은 것은 반입니다.

식욕이 부진한데 기가 많은 것은 반입니다.

맥이 성대한데 혈색이 나쁜 것은 반입니다.

맥이 허소한데 혈색이 좋은 것은 반입니다.

 

氣盛身寒得之傷寒

?身熱得之傷暑

穀入多而氣少者得之有所?濕居下也

穀入少而氣多者邪在胃及與肺也

기가 성대한데 오한하는 것은 상한 즉 한에 손상되었기 때문입니다.

기가 허소한데 신체가 열한 것은 상서 즉 서에 손상되었기 때문입니다.

식욕이 왕성한데 기가 적은 것은 출혈했을 때

혹은 하반신이 습기에 침범되었을 때입니다.

식욕이 부진한데 기가 많은 것은 사기가 위

혹은 폐에 있기 때문에 정기가 아니고 사기가 나타난 것입니다.

 

?小血多者飮中熱也

?大血少者?有風氣水漿不入此之謂也

夫實者氣入也?者氣出也

맥이 허소한데 혈색이 좋은 것은 마신 수분이 정상적으로 배설되지 않고,

신체의 각소에 여러 가지 상태로 머물러 있는 음의 병에 걸린 자가 열에 손상된 경우입니다.

맥이 성대한데 혈색이 나쁜 것은 정기가 아니고 풍의 사기가 맥을 성대하게 한 것이며,

유동식도 먹지 못하게 되었을 때의 상태입니다.

무릇 실이란 것은 기가 들어 있는 것입니다.

허라는 것은 이 기가 빠져 나간 것입니다.

 

氣實者熱也?者寒也

入實者左手開鍼空也

?左手閉鍼空也

기가 실하게 되면 열이 생깁니다.

기가 허하게 되면 한이 생깁니다.

너무 실한자를 자침할 때는

왼손으로 침공을 벌리고 기를 빼는 수기를 실시합니다

허해 있는 자를 자침할 때는

왼손으로 침공을 눌러서 닫는 수기를 실시합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刺禁][자금]  (0) 2025.01.24
[刺齊][자제]  (2) 2025.01.19
[刺要][자요]  (2) 2025.01.13
[脈解][맥해]  (4) 2025.01.05
[大奇][대기]  (0) 2025.01.01

[刺禁][자금]

 

黃帝問曰

願聞禁數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자법에 관한 금기의 규칙을 묻고 싶소.

 

岐伯對曰

藏有要害不可不察

肝生於左肺藏於右

心部於表腎治於裏

脾爲之使胃爲之市

??之上中有父母七節之傍

中有小心從之有福逆之有咎

기백이 대답하였다.

5장에는 급소가 있으므로 잘 알아야 합니다.

간은 좌를 기르고, 폐는 우를 지키고 있습니다.

심은 표를 다스리고, 신은 리를 다스리고 있습니다.

비는 이들의 하업 이며, 위는 시장에서 각기 즐기는 영양분을 흡수하여 분배시키고 있습니다.

흉곽의 속에는 양중의 태양인 심과 양중의 태음인 폐가 있습니다.

7추의 부근에 심포가 있습니다.

이들 유혈의 신기를 잘 유통시켜 주면 인체에 호 영향을 끼치고,

이 신기에 거스른 자법을 실시하면 역효과를 초래하여 화해가 생깁니다.

 

刺中心一日死其動爲噫

刺中肝五日死其動爲語

刺中腎六日死其動爲?

刺中肺三日死其動爲?

刺中脾十日死其動爲呑

刺中膽一日半死其動爲嘔

만약 심의 장을 직자 하면 1일만에 사망합니다.

그 직자의 반동으로서는 희 즉, 트림을 합니다.

간의 장을 직자 하면 5일째에 사망합니다.

그 직자의 반동으로서는 어 즉, 헛소리를 합니다.

신의 장을 직자 하면 6일째에 사망합니다.

그 직자의 반동으로서는 체 즉, 재채기를 합니다.

폐의 장을 직자 하면 3일째에 사망합니다.

그 직자의 반동으로서는 기침을 합니다.

비의 장을 직자 하면 10일째에 사망합니다.

그 직자의 반동으로서는 탄 즉, 황색 담즙이 올라옵니다.

담의 부를 직자 하면 1일반만에 사망합니다.

그 직자의 반동으로서는 구토를 합니다.

 

?中大?血出不止死

刺面中溜?不幸爲盲

刺頭中腦?入腦立死

刺舌下中?太過血出不止?

刺足下布絡中?血不出爲腫

?中大?令人??

刺氣街中?血不出爲腫鼠僕

刺脊間中髓?

刺乳上中乳房爲腫根蝕

刺缺盆中?陷氣泄令人喘?

刺手魚腹?陷爲腫

족배 동맥의 충양 부근을 자침하여 동맥에 출혈해서 멎지 않을 때는 사망합니다.

안면을 자침하여 눈으로 흐르는 맥에 닿으면 소경이 될 우려가 있습니다.

뇌호를 자침하여 뇌에 닿으면 즉사합니다.

설하를 자침하여 맥에 닿아서 출혈이 다량으로 되어 멎지 않을 때는 소리가 안 나오게 됩니다.

족하의 부락을 찔러서 맥을 뚫고 출혈하지 않을 때는 붓게 됩니다.

슬와의 대락맥을 자침하여 출혈하면 환자는 안면이 창백해져서 혼돈합니다.

기충을 자침하여 맥을 뚫고 출혈하지 않을 때는 서계가 붓게 됩니다.

추간을 자침하여 골에 닿으면 꼽추가 됩니다.

유방을 자침하여 유천에 닿으면 부어서 그 근본부터 썩게 됩니다.

결분을 자침하여 깊이 들어가서 폐의 기가 누설되면

환자는 기침이 나서 호흡이 거칠게 됩니다.

수장의 모지구를 자침하여 깊이 들어가면 붓게 됩니다.

 

無刺大醉令人氣亂

無刺大怒令人氣逆

無刺大勞人無刺新飽人

無刺大饑人無刺大?無刺大驚人

술에 취한 사람을 자침해서는 안 됩니다.

자침하면 양기를 혼란시키게 됩니다.

격노하고 있을 때 자침해서는 안 됩니다.

자침하면 양기가 역상합니다.

 

피로곤비한 사람을 자침해서는 안 됩니다.

만복인 사람을 자침해서는 안 됩니다.

기아인 사람을 자침해서는 안 됩니다.

대갈인 사람을 자침해서는 안 됩니다.

대경인 사람을 자침해서는 안 됩니다.

 

刺陰股中大?血出不止死

刺客主人?陷中??爲聾

刺膝?出液爲跛

刺臂太陰?出血多立死

刺足少陰??出血爲舌難以言

刺膺中陷中肺爲喘逆仰息

내지를 자침하여 대동맥에 닿거나 출혈이 멎지 않을 때는 사망합니다.

객주인(상관혈)을 자침하여 맥에 깊이 닿으면 귓구멍에서 고름이 흘러나오거나 안 들리게 됩니다.

무릎을 자침하여 관절의 골액이 나오면 절름발이가 됩니다.

팔의 태음폐경의 맥을 자침하여 출혈이 다량으로 되면 즉사합니다.

허해 있는 환자의 족소음 신경의 맥을 사하여 출혈시켜서

허에 허가 겹쳐지면 혀가 잘 움직이지 않게 되어 말이 안 나옵니다.

가슴의 함몰된 부위를 깊이 자침하여 폐에 닿으면 기침이 나오고

숨결이 거칠어지며, 턱을 내밀고 호흡합니다.

 

??陷氣歸之爲不屈伸

刺陰股下三寸?令人遺溺

刺掖下脇間?令人?

刺少腹中膀胱溺出令人少腹滿

??爲腫

刺匡上陷骨中?爲漏爲盲

刺關節中液出不得屈伸

주와를 깊이 자침하여 기가 결집되면 주를 굴신하기 어렵게 됩니다.

서계부의 하방 3촌의 부위를 심자하면 소변을 싸게 됩니다.

액하 에서 옆구리에 걸쳐 심자하면 기침이 납니다.

하복부를 자침하여 방광에 닿거나 하면

소변이 나와서 하복부가 팽만해집니다.

종아리를 깊이 자침하면 붓게 됩니다.

눈꺼풀 위를 자침하여 안와의 골의 맥에 닿으면

눈물이 계속 흐르거나 눈이 보이지 않게 되기도 합니다.

관절 속을 자침하여 골액이 나오면 굴신이 곤란해집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刺志][자지]  (0) 2025.01.28
[刺齊][자제]  (2) 2025.01.19
[刺要][자요]  (2) 2025.01.13
[脈解][맥해]  (4) 2025.01.05
[大奇][대기]  (0) 2025.01.01

[刺齊][자제]

 

黃帝問曰

願聞刺淺深之分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부디 자침의 심천의 정도를 들려주기 바라오.

 

岐伯對曰

刺骨者無傷筋

刺筋者無傷肉

刺肉者無傷?

?者無傷皮

刺皮者無傷肉

刺肉者無傷筋

刺筋者無傷骨

기백이 대답하였다.

골을 자침할 때는 근을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근을 자침할 때는 육을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육을 자침할 때는 맥을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맥을 자침할 때는 피를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피를 자침할 때는 육을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육을 자침할 때는 근을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근을 자침할 때는 골을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帝曰

余未知其所謂願聞其解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나에게는 선생의 말이 잘 이해가 안 되오.

좀 더 상세히 설명해줄 수 없겠소?

 

岐伯曰

刺骨無傷筋者鍼至筋而去不及骨也

刺筋無傷肉者至肉而去不及筋也

刺肉無傷??而去不及肉也

?無傷皮者至皮而去不及?

기백이 대답하였다.

골을 자침할 때 근을 손상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침이 근에 이르렀을 때 그대로 발침 하면 헛되게 화평한

근을 교란할 뿐으로 목적한 골에 달하지 않으므로

골의 이상을 조화시킬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근을 자침할 때 육을 손상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침이 육에 이르렀을 때 그대로 발침 하면 근에 침의 효과가

미치지 않을 뿐더러 육도 손상할 우려가 있다는 것입니다.

 

육을 자침할 때 맥을 손상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침이 맥에 이르렀을 때 그대로 발침 하면 육에 침의 효과가

미치지 않을 뿐더러 맥도 손상될 우려가 있다는 것입니다.

 

맥을 자침할 때 피를 손상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침이 피에 이르렀을 때 그대로 발침 하면 맥에 침의 효과가

미치지 않을 뿐더러 피도 손상될 우려가 있다는 것입니다.

 

所謂

刺皮無傷肉者病在皮中鍼入皮中無傷肉也

刺肉無傷筋者過肉中筋也

刺筋無傷骨者過筋中骨也此之謂反也

또 피를 자침할 때 육을 손상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이상이 피에 있는데, 피를 꿰뚫어 이상이 없는

육의 기를 혼란시켜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육을 찌를 때 근을 손상시켜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침이 병사가 있는 육의 부분에 이르렀을 때 적절한 수기를 실시해야 하는데, 만약 이를 자칫 잘못하여 육을 지나치면 침이 근에 닿아서

근의 기를 혼란시키므로 그렇게 말합니다.

 

근을 찌를 때 골을 손상시켜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침이 병사가 있는 근을 지나쳐서 이상이 없는 골에 닿으면

근의 병사를 추방하지 못할뿐더러 도리어 골로 밀어 넣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요약해서 말씀드리면,

자침의 심천의 정도는 병사가 있는 부분에

적절하게 이르게 하여 수기를 실시해야 하며,

너무 얕거나 너무 깊어도 치료 효과가 없을뿐더러

도리어 상해를 끼치게 됩니다.

그러므로 그것을 자법에 반한 수기라고 합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刺志][자지]  (0) 2025.01.28
[刺禁][자금]  (0) 2025.01.24
[刺要][자요]  (2) 2025.01.13
[脈解][맥해]  (4) 2025.01.05
[大奇][대기]  (0) 2025.01.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