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刺齊][자제]

 

黃帝問曰

願聞刺淺深之分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부디 자침의 심천의 정도를 들려주기 바라오.

 

岐伯對曰

刺骨者無傷筋

刺筋者無傷肉

刺肉者無傷?

?者無傷皮

刺皮者無傷肉

刺肉者無傷筋

刺筋者無傷骨

기백이 대답하였다.

골을 자침할 때는 근을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근을 자침할 때는 육을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육을 자침할 때는 맥을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맥을 자침할 때는 피를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피를 자침할 때는 육을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육을 자침할 때는 근을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근을 자침할 때는 골을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帝曰

余未知其所謂願聞其解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나에게는 선생의 말이 잘 이해가 안 되오.

좀 더 상세히 설명해줄 수 없겠소?

 

岐伯曰

刺骨無傷筋者鍼至筋而去不及骨也

刺筋無傷肉者至肉而去不及筋也

刺肉無傷??而去不及肉也

?無傷皮者至皮而去不及?

기백이 대답하였다.

골을 자침할 때 근을 손상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침이 근에 이르렀을 때 그대로 발침 하면 헛되게 화평한

근을 교란할 뿐으로 목적한 골에 달하지 않으므로

골의 이상을 조화시킬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근을 자침할 때 육을 손상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침이 육에 이르렀을 때 그대로 발침 하면 근에 침의 효과가

미치지 않을 뿐더러 육도 손상할 우려가 있다는 것입니다.

 

육을 자침할 때 맥을 손상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침이 맥에 이르렀을 때 그대로 발침 하면 육에 침의 효과가

미치지 않을 뿐더러 맥도 손상될 우려가 있다는 것입니다.

 

맥을 자침할 때 피를 손상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침이 피에 이르렀을 때 그대로 발침 하면 맥에 침의 효과가

미치지 않을 뿐더러 피도 손상될 우려가 있다는 것입니다.

 

所謂

刺皮無傷肉者病在皮中鍼入皮中無傷肉也

刺肉無傷筋者過肉中筋也

刺筋無傷骨者過筋中骨也此之謂反也

또 피를 자침할 때 육을 손상해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이상이 피에 있는데, 피를 꿰뚫어 이상이 없는

육의 기를 혼란시켜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육을 찌를 때 근을 손상시켜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침이 병사가 있는 육의 부분에 이르렀을 때 적절한 수기를 실시해야 하는데, 만약 이를 자칫 잘못하여 육을 지나치면 침이 근에 닿아서

근의 기를 혼란시키므로 그렇게 말합니다.

 

근을 찌를 때 골을 손상시켜서는 안 된다고 하는 것은

침이 병사가 있는 근을 지나쳐서 이상이 없는 골에 닿으면

근의 병사를 추방하지 못할뿐더러 도리어 골로 밀어 넣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요약해서 말씀드리면,

자침의 심천의 정도는 병사가 있는 부분에

적절하게 이르게 하여 수기를 실시해야 하며,

너무 얕거나 너무 깊어도 치료 효과가 없을뿐더러

도리어 상해를 끼치게 됩니다.

그러므로 그것을 자법에 반한 수기라고 합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刺志][자지]  (0) 2025.01.28
[刺禁][자금]  (0) 2025.01.24
[刺要][자요]  (2) 2025.01.13
[脈解][맥해]  (4) 2025.01.05
[大奇][대기]  (0) 2025.01.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