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刺志][자지]

 

黃帝問曰

願聞?實之要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허실의 요점을 설명해 주기 바라오.

 

岐伯對曰

氣實形實??此其常也反此者病

穀盛氣盛??此其常也反此者病

?實血實???此其常也反此者病

기백이 대답하였다.

생명의 활동력으로서 맥진 혹은 직관으로 감지할 수 있는 힘을 기라고 하는데,

이 기가 충실해 있으면 육체가 충실해 있는 것이 보통이며, 또 기가 허쇠해 있으면

육체도 허쇠해 있는 것이 통상입니다.

이에 반()한 경우는 질병입니다.

 

또 식욕이 왕성하면 기도 성대할 것입니다.

식욕이 적으면 기도 허소할 것입니다.

이것이 정상인데, 이에 반한 경우는 질병이라 할 수 있습니다.

 

또 맥이 충실해 있어서 혈색이 좋은 것은 정상입니다.

맥이 허소하면 그다지 혈색이 좋지 않은데,

그 사람에게 있어서는 정상의 상태입니다.

그러나 이에 반()하면 질병입니다.

 

 

帝曰

如何而反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이에 반한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이요?

 

岐伯曰

?身熱此謂反也

穀入多而氣少此謂反也

穀不入而氣多此謂反也

?盛血少此謂反也

?少血多此謂反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기가 성대한데 오한하는 것은 반()입니다.

기가 허소한데 신체가 열하는 것은 반입니다.

식욕이 왕성한데 기가 적은 것은 반입니다.

식욕이 부진한데 기가 많은 것은 반입니다.

맥이 성대한데 혈색이 나쁜 것은 반입니다.

맥이 허소한데 혈색이 좋은 것은 반입니다.

 

氣盛身寒得之傷寒

?身熱得之傷暑

穀入多而氣少者得之有所?濕居下也

穀入少而氣多者邪在胃及與肺也

기가 성대한데 오한하는 것은 상한 즉 한에 손상되었기 때문입니다.

기가 허소한데 신체가 열한 것은 상서 즉 서에 손상되었기 때문입니다.

식욕이 왕성한데 기가 적은 것은 출혈했을 때

혹은 하반신이 습기에 침범되었을 때입니다.

식욕이 부진한데 기가 많은 것은 사기가 위

혹은 폐에 있기 때문에 정기가 아니고 사기가 나타난 것입니다.

 

?小血多者飮中熱也

?大血少者?有風氣水漿不入此之謂也

夫實者氣入也?者氣出也

맥이 허소한데 혈색이 좋은 것은 마신 수분이 정상적으로 배설되지 않고,

신체의 각소에 여러 가지 상태로 머물러 있는 음의 병에 걸린 자가 열에 손상된 경우입니다.

맥이 성대한데 혈색이 나쁜 것은 정기가 아니고 풍의 사기가 맥을 성대하게 한 것이며,

유동식도 먹지 못하게 되었을 때의 상태입니다.

무릇 실이란 것은 기가 들어 있는 것입니다.

허라는 것은 이 기가 빠져 나간 것입니다.

 

氣實者熱也?者寒也

入實者左手開鍼空也

?左手閉鍼空也

기가 실하게 되면 열이 생깁니다.

기가 허하게 되면 한이 생깁니다.

너무 실한자를 자침할 때는

왼손으로 침공을 벌리고 기를 빼는 수기를 실시합니다

허해 있는 자를 자침할 때는

왼손으로 침공을 눌러서 닫는 수기를 실시합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刺禁][자금]  (0) 2025.01.24
[刺齊][자제]  (2) 2025.01.19
[刺要][자요]  (2) 2025.01.13
[脈解][맥해]  (4) 2025.01.05
[大奇][대기]  (0) 2025.01.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