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鍼解][침해]
黃帝問曰.
願聞九鍼之解.?實之道.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부디 "9침"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해석하여 허실의 이치를 들려주기 바라오.
岐伯對曰.
刺?則實之者.鍼下熱也.氣實乃熱也.
滿而泄之者.鍼下寒也.氣?乃寒也.
?陳則除之者.出惡血也.
邪勝則?之者.出鍼勿按.
徐而疾則實者.徐出鍼而疾按之.
疾而徐則?者.疾出鍼而徐按之.
기백이 대답하였다.
자허측실지란,
허해 있는 부위를 자침하여 이것이 실해지면 침의 울림에 열을 느끼는 것입니다.
그것은 기가 실해지면 열을 띠게 되기 때문입니다.
만이설지란,
만실해 있는 부위를 자침하여 기가 누설되면 침의 울림에 한을 느끼는 것입니다.
기가 없어지면 냉해지기 때문입니다.
완진측여지란, 울혈된 혈락 에서 사혈하라는 것입니다.
사승측허지란,
사기가 성대한 것을 자침하여 허하게 할 때는 찰침 후 침공을 눌러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서이질측실이란,
서서히 발침 하여 빨리 침공을 눌러서 닫으면 실해진다는 것입니다.
병이서측허란,
빨리 발침 하여 서서히 침공을 누르면 허해진다는 것입니다.
言實與?者.寒?氣多少也.
若無若有者.疾不可知也.
察後與先者.知病先後也.
爲?與實者.工勿失其法.
若得若失者.離其法也.
?實之要.九鍼最妙者.爲其各有所宜也.
補寫之時者.與氣開闔相合也.
언실여허란,
실은 기가 많아서 열해 있는 것이며, 허는 기가 적어서 냉해 있는 것을 말합니다.
약무약유란,
기의 움직임이 빠르기 때문에 알기 어렵다는 뜻입니다.
찰후여선이란,
보사 전후의 병의 상태를 알라는 뜻입니다.
위허여실이란,
의사는 허실에 대한 보사의 법을 그르치지 말라는 뜻입니다.
약득약실이란,
보사의 법을 그르치는 것입니다.
허실지요9침최묘란,
9종류의 침에는 각각 적재적소의 사용 방법이 있다는 뜻입니다.
보사지시란,
보사에 적합한 시기에 침으로 기의 개폐 왕래를 꾀하라는 뜻입니다.
九鍼之名.各不同形者.鍼窮其所當補寫也.
刺實須其?者.留鍼陰氣隆至.乃去鍼也.
刺?須其實者.陽氣隆至.鍼下熱.乃去鍼也.
經氣已至.愼守勿失者.勿變更也.
深淺在志者.知病之?外也.
近遠如一者.深淺其候等也.
如臨深淵者.不敢墮也.
9침지명각부동형이란,
침술의 오의는 9종의 침을 알맞게 사용하여 완벽한 보사의 수기를 실시하는데 있다는 것입니다.
자실수기허란,
실을 자침할 때는 유침 하여 음기 즉 한기가 침에 느껴지는 것을 기다려서 거기서 발침 하라는 것입니다.
자허수기실이란,
허를 자침할 때는 양기가 모여서 침에 열기를 느끼게 되는 것을 기다려서 거기서 발침 하라는 것입니다.
경기사지진수물실이란,
기가 이르게 되면 이를 온존하도록 힘쓰라는 것입니다.
천심재지란,
병의 표리, 내외의 위치를 알아서 침의 심천을 적절히 하라는 것입니다.
근원여일이란,
자침에 심천이 있다 하더라도 기가 이르는 것을 살피는 것은 같다는 뜻입니다.
여림심연이란,
마음에 해이함이 없이 신중히 하라는 뜻입니다.
手如握虎者.欲其壯也.
神無營於衆物者.靜志觀病人無左右視也.
義無邪下者.欲端以正也.
必正其神者.欲瞻病人目.制其神.令氣易行也.
所謂三里者.下膝三寸也.
所謂?之者.擧膝分易見也.
巨?者.?足?獨陷者.
下廉者.陷下者也.
수여악허란,
치법을 정하면 단호히 실시하라는 뜻입니다.
신무영어중물이란,
정신을 통일하여 환자에게 집중하여 좌고우면하지 말라는 뜻입니다.
의무사하란,
자침할 때는 똑바로 내려서 힘을 좌우로 치우치지 않게 하라는 것입니다.
심정기신이란,
자침에 있어서는 반드시 먼저 환자의 눈을 잘 봐서 그 정신 상태와 5장의 기의 상태를 관찰하여 기가 이르는 수기를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것입니다.
소위 3리는 슬하 3촌입니다.
부하란, 무릎을 세우고 발을 내리면 알기 쉽다는 것입니다.
거허의 상렴 하렴은 발을 들면 함하 하는 부위입니다.
帝曰.
余聞九鍼.上應天地四時陰陽.
願聞其方.令可傳於後世.以爲常也.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9침을 크게 말하여 천지 춘하추동의 4시, 일월의 음양에 상응한다고 들었는데, 그 도리를 묻고 싶소.
그리하여 이를 후세에 전하여 상법으로 삼고 싶소.
岐伯曰.
夫一天.二地.三人.
四時.五音.六律.七星.八風.九野.
身形亦應之.鍼各有所宜.故曰九鍼
기백이 말하였다.
대저,
1은 천, 2는 지, 3은 인,
4는 시 즉, 춘 하 추 동,
5는 음 즉, 궁 상 각 치 우,
6은 율 즉, 황종 태족 고선 유빈 이측 무사,
7은 리 즉, 28숙의 동서남북에 7성씩,
8은 풍 즉, 8계절에 부는 그 시기의 풍,
9는 야 천 및 지에 있어서의 9의 분야에 상응하고 있습니다.
인체의 각부도 이에 상응하여 그 부위를 조화하는데 적절한 9침이 있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9침이라 이름 붙인 것입니다.
人皮應天.人肉應地.人?應人.人筋應時.人聲應音.
人陰陽合氣應律.
人齒面目應星.人出入氣應風.
人九竅三百六十五絡應野.
인의 피(皮)는 천에 상응하고,
인의 육은 지에 상응하며,
인의 맥은 인에 상응하고,
인의 근은 시에 상응하며,
인의 성은 음에 상응하고,
인의 양음의 12의 기는 율에 음양의 12가 있는데 상응하며,
인의 치아나 안면의 7공은 성에 상응하고,
인에 출입하는 음양의 기는 풍에 상응하며,
인의 9공이나 365 수혈은 9야에 상응하고 있습니다.
故一鍼皮.二鍼肉.三鍼?.四鍼筋.
五鍼骨.六鍼調陰陽.七鍼益精.八鍼除風.
九鍼通九竅.除三百六十五節氣.此之謂各有所主也.
고로,
1침은 피(皮),
2침은 육,
3침은 맥,
4침은 근,
5침은 골,
6침은 음양을 조정하며,
7침은 정기를 더하고,
8침은 풍사를 제거하며,
9침은 인체의 9공 및 365 수혈의 기를 유통시켜서 사기의 침입을 제거합니다.
이를 9침이 각각 주관하는 곳이라 합니다.
人心意應八風.人氣應天.人髮齒耳目五聲.
應五音六律.人陰陽?血氣應地.人肝目應之九.
九竅三百六十五.人一以觀動靜.天二以候五色.
七星應之以候髮毋澤.五音一以候宮商角?羽.
六律有餘不足應之.二地一以候高下有餘.
九野一節兪應之以候閉.
節.三人變一分人候齒泄多血少.十分角之變.
五分以候緩急.六分不足.三分寒關節.第九分四時人寒?燥濕.
四時一應之以候相反一.四方各作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