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奇][대기]

 

肝滿腎滿

肺滿皆實?爲腫

肺之雍喘而兩?滿

肝雍?滿臥則驚不得小便

腎雍脚下至少腹滿脛有大小??跛易偏枯

()滿하고, ()滿하고,

()滿하여 () 모두 하면 이 됩니다.

雍滯不暢()하면서 거가 滿하며,

肝雍거가 滿하고 누우면 하고 小便하지(보지) 못하며,

腎雍은 거에서 少腹까지 滿하고 (정강이)大小가 있어(한편은 크고 한편은 작음) 비행이 크게 하며(절뚝거리며) 偏枯(한쪽이 마름)하기 쉽습니다.

 

?滿大??筋攣

?小急??筋攣

??有所驚駭?不至?不治自已

?小急?小急

?小急不鼓皆爲?

腎肝?爲石水

?爲風水

??爲死

?小絃欲驚

?大急沈

?大急沈皆爲疝

?搏滑急爲心疝

?沈搏爲肺疝

三陽急?

三陰急爲疝

二陰急?

二陽急爲驚

心脈滿大하면 ,,筋攣하고[筋攣이고],

肝脈小急하면 ,,筋攣하며[筋攣이며],

肝脈이 무하면 驚駭한 바가 있음인데,

이 음과 같이 不至하면 ()하지 아니하여도 저절로 나으며,

腎脈小急하거나 肝脈小急하거나

心脈小急하면서, 不鼓하면 모두 가가 됩니다.

腎肝(), 아울러 하면 石水가 되고,

아울러 하면 風水가 되고,

아울러 하면 가 되고,

아울러 小弦하면 하려 함이며;

腎脈大 急 沈하거나,

肝脈大 急 沈하면 모두 이 되며,

腎脈搏 滑 急하면 心疝이 되고,

肺脈沈 搏하면 肺疝이 되며;

三陽(太陽脈)하면 가 되고,

三陰(太陰脈)하면 이 되고,

二陰(少陰脈)하면 肝厥이 되고,

二陽(陽明脈)하면 이 됩니다.

 

?外鼓沈爲腸?久自已

?小緩爲腸?易治

?小搏沈爲腸?下血?身熱者死

心肝?亦下血二藏同病者可治※.

?小沈?爲腸?其身熱者死熱見七日死

?沈鼓?胃外鼓大?小堅急

?偏枯男子發左女子發右

?舌轉可治三十日起

其從者??

年不滿二十者?

脾脈外鼓하면서 하면 벽인데, 오래되면 저절로 나으며;

肝脈小緩하면 벽인데, ()하기가 쉬우며;

腎脈小 搏 沈하면 下血인데,

하고 하며;

心肝벽 또한 下血하는데, 二藏 同病者()할 수 있으며;

小 沈 澁하면 벽인데,

하니, 이 보인 지 七日만에 합니다.

胃脈沈 鼓 澁하거나, 胃脈外鼓 大하거나,

心脈小 緊 急하면 모두 (塞不通)하여 偏枯가 되는데,

男子하거나 女子하고 舌轉하면,

()할 수 있으니 三十日만에 하며,

(男子發右 女子發左 爲從)가 음하면 三年만에 하며,

나이가 二十이 못된 三年만에 합니다.

 

?至而搏?身熱者死

?來懸鉤浮爲常?

?至如喘名曰暴厥

暴厥者不知與人言

?至如數使人暴驚三四日自已

함이 하면서 ,身熱하며,

脈來懸 鉤 浮한 것은 (失血者) 常脈이니 念慮할 것이 없으며,

함이 한 듯하면, 病名暴厥이라 하는데,

暴厥者는 사람과 더불어 말을 할 줄 모르며,

함이 한 듯하면(진짜 數脈이 아님) 사람이 暴驚하게 하나 (實熱症眞數脈이므로) , 四日이면 저절로 낫습니다.

 

?至浮合浮合如數

一息十至以上是經氣予不足也

微見九十日死

?至如火薪然是心精之予奪也草乾而死

?至如散葉是肝氣予?木葉落而死

?至如省客省客者?塞而鼓

是腎氣予不足也懸去棗華而死

?至如丸泥是胃精予不足也楡莢落而死

?至如?是膽氣予不足也禾熟而死

?至如弦縷是胞精予不足也

病善言下霜而死不言可治

?至如交漆交漆者左右傍至也

微見三十日死

?至如涌泉浮鼓肌中太陽氣予不足也

少氣味?英而死

?至如?土之?按之不得是肌氣予不足也

五色先見?白壘發死

?至如懸雍懸雍者

?切之益大是十二兪之予不足也

水凝而死

?至如偃刀偃刀者浮之小急按之堅大急

五藏?寒熱獨?於腎也

如此其人不得坐立春而死

?至如丸滑不直手不直手者

按之不可得也是大腸氣予不足也棗葉生而死

?至如華者令人善恐不欲坐臥

行立常聽是小腸氣予不足也季秋而死

함이 浮合하되(如浮波之合, 後至者凌前, 速疾而動, 無常候也) 浮合함이 한 듯하여 一息十至 以上이면,

이는 經氣(授與; 給與)함이 不足함이니, 始見한 지 九日만에 하며;

함이 불이 새로 타는 듯이 하면,

이는 心精함이 함이니, 풀이 고스라질 때 하며;

함이 흩어지는 나뭇잎 같으면,

이는 肝氣함이 함이니, 나뭇잎이 떨어질 때 하며;

함이 省客(親戚을 찾아오는 손님)과 같으면,

省客하고 함인데,

이는 腎氣함이 不足함이니,

대추 꽃이 懸去(피고 질) 때에 하며;

함이 丸泥와 같으면,

이는 胃精함이 不足함이니, 楡莢이 떨어질 때 하며;

함이 橫格한 듯하면,

이는 膽氣함이 不足함이니, 벼가 익을 때 하며,

함이 弦縷(새로 맨 활시위와 같이 팽팽하면서 실처럼 가늠)와 같으면, 이는 胞精함이 不足함이니,

病者가 말을 잘하면 서리 내릴 때 하나,

말을 못하면 治療할 수 있으며;

함이 交漆과 같으면, 交漆左右으로 함인데,

徵見한 지 三十日만에 하며;

함이 湧泉과 같아서 肌肉中浮鼓하면,

太陽氣함이 不足함이니,

少氣하면 구()을 먹을() [少氣味하면 구가 꽃필() ] 하며;

함이 頹土과 같아서 이를 하면 얻지 못하면,

이는 肌氣함이 不足함이니,

(얼굴에) 五色中()이 먼저 나타나면 유가 필 때 하며;

함이 懸離((原作'懸雍', 新校正))한 듯하면,

懸雍(脈搏浮動有力)하고 이를 하면 더욱 커지는 것이니,

이는 十二兪함이 不足함이니, 물이 얼어서 ()할 때 하며;

함이 偃刀와 같으면,

偃刀浮取하면 小急하고 하면 堅 大急한 것인데,

五藏鬱熱((''原作'', 甲乙))하여 寒熱이 오직 함이니,

이와 같고 그 사람이 앉지 못하면, 立春하며;

함이 같고(하고 ) 하며 直當하지 않으면,

하지 않는다는 것은 하면 하지 못한다는 것인데,

이는 大腸氣함이 不足함이니, 대추잎이 생길 때 하며;

함이 와 같은 는 사람으로 하여금 잘 하고 坐臥하려 하지 않고 하거나 하거나 항상 엿듣게 하는데(恐懼多疑故也),

이는 小腸氣함이 不足함이니, 季秋합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刺要][자요]  (2) 2025.01.13
[脈解][맥해]  (4) 2025.01.05
[奇病][기병]  (8) 2024.12.27
[病態][병태]  (2) 2024.12.22
[厥][궐]  (2) 2024.1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