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本草綱目原序]


紀稱︰望龍光,知古劍;覘寶氣,辨明珠。

故萍實商羊,非天明莫洞。

厥後博物稱華,辨字稱康,析寶玉稱倚頓,亦僅僅晨星耳。

楚蘄陽李君東璧,一日過予 山園謁予,留飲數有[本草綱目]數十卷。

謂予曰︰時珍,荊楚鄙人也。

幼多羸疾,質成鈍椎;長耽典籍,若啖蔗飴。

遂漁獵群書,搜羅百氏。

凡子、史、經、傳、聲韻、農圃、醫卜、星相、樂府諸家,稍有得處,輒著數言。

古有[本草]一書,自炎黃及漢、梁、唐、宋,下迨國朝,註解群氏舊矣。

第其中舛謬差訛遺漏,不可枚數。

乃敢奮編摩之志,僭纂述之權。歲歷三十稔,書考八百餘家,稿凡三易。

複者芟之,闕者緝之,訛者繩之。

舊本一千五百一十八種,今增藥三百七十四種,分為一十六部,著成五十二卷。

雖非集成,亦粗大備,僭名曰[本草綱目]。

願乞一言,以托不朽。

予開卷細玩,每藥標正名為綱,附釋名為目,

正始也;次以集解、辨疑、正誤,

詳其土產形狀也;次以氣味、主治、附方,著其體用也。

上自墳典,下及傳奇,凡有相關,靡不備采。

如入金谷之園,種色奪目;如登龍君之宮,

寶藏悉陳;如對冰壺玉鑒,毛發可指數也。

博而不繁,詳而有要,綜核究竟,直窺淵海。

茲豈僅以醫書覯哉?實性理之精微,

格物之[通典],帝王之秘 ,臣民之重寶也。

李君用心嘉惠何勤哉﹗噫, 玉莫剖,朱紫相傾,弊也久矣。

故辨專車之骨,必俟魯儒;博支機之石,必訪賣卜。

予方著[州卮言],恚博古如[丹鉛卮言]後乏人也,

何幸睹茲集哉﹗茲集也,藏之深山石室無當,盍鍥之,

以共天下後世味[太玄]如子雲者。

時萬歷歲庚寅春上元日, 州山人鳳洲王世貞拜撰。

進[本草綱目]疏

湖廣黃州府儒學增廣生員李建元謹奏,為遵奉明例訪書,

進獻[本草]以備采擇事。

臣伏讀禮部儀製司勘合一款,恭請聖明敕儒臣開書局纂修正史,移文中外。

凡名家著述,有關國家典章,及紀君臣事跡,

他如天文、樂律、醫術、方技諸書,但成一家名言,可以垂於方來者,

即訪求解送,以備采入[藝文志]。

如已刻行者,即刷印一部送部。或其家自欲進獻者,聽。

奉此。

臣故父李時珍,原任楚府奉祠,奉敕進封文林郎、四川蓬溪知縣。

生平篤學,刻意纂修。

曾著[本草]一部,甫及刻成,忽值數盡,撰有遺表,令臣代獻。

臣切思之︰父有遺命而子不遵,何以承先志;父有遺書而子不獻,何以應朝命。

矧今修史之時,又值取書之會,臣不揣譾陋,不避斧鉞,謹述故父遺表。

臣父時珍,幼多羸疾,長成鈍椎,耽嗜典籍,若啖蔗飴。

考古証今,奮發編摩,苦志辨疑訂誤,留心纂述諸書。

伏念[本草]一書,關系頗重,註解群氏,謬誤亦多。

行年三十,力肆校讎;歷歲七旬,功始成就。

野人炙背食芹,尚欲獻之天子;微臣採珠聚玉,敢不上之明君。

昔炎黃辨百穀,嘗百草,而分別氣味之良毒;軒轅師岐伯,遵伯高,

而剖析經絡之本標。

遂有[神農本草]三卷,[藝文]錄為醫家一經。

及漢末而李當之始加校修,至梁末而陶弘景益以注釋,古藥三百六十五種,以應重卦。

唐高宗命司空李 重修,長史蘇恭表請伏定,增藥一百一十四種。

宋太祖命醫官劉翰詳校,宋仁宗再詔補注,增藥一百種。

召醫唐慎微合為[証類],修補眾本草五百種。

自是人皆指為全書,醫則目為奧典。

夷考其間, 瑕不少。

有當析而混者,如葳蕤、女葳,二物而並入一條;有當並而析者,

如南星、虎掌,一物而分為二種。生薑、薯蕷,菜也,

而列草品;檳榔、龍眼,果也,而列木部。

八穀,生民之天也,不能明辨其種類;三菘,日用之蔬也,罔克的別其名稱。

黑豆、赤菽,大小同條;硝石、芒硝,水火混注。

以蘭花為蘭草,卷丹為百合,此寇氏[衍義]

之舛謬;謂黃精即鉤吻,旋花即山姜,乃陶氏[別錄]之差訛。

酸漿、苦耽,草菜重出,掌氏之不審;天花、栝蔞,兩處圖形,蘇氏之欠明。

五倍子,構蟲窠也,而認為木實;大 草,田字草也,而指為浮萍。

似茲之類,不可枚陳,略摘一二,以見錯誤。

若不類分品列,何以印定群疑?臣不揣猥愚,僭肆刪述,重複者芟之,遺缺者補之。

如磨刀水、潦水、桑柴火、艾火、鎖陽、山柰、土茯苓、番木鱉、金柑、樟腦、

蠍虎、狗蠅、白蠟、水蛇、狗寶、秋蟲之類,並今方所用,

而古本則無;三七、地羅、九仙子、蜘蛛香、豬腰子、勾金皮之類,

皆方物土苴,而稗官不載。

今增新藥,凡三百七十四種,類析舊本,分為一十六部。

雖非集成,實亦粗備。

有數名或散見各部,總標正名為綱,余各附釋為目,

正始也;次以集解、辨疑、正誤,

詳其出產形狀也;次以氣味、主治、附方,著其體用也。

上自墳典,下至傳奇,凡有相關,靡不收采,雖命醫書,實該物理。

我太祖高皇帝首設醫院,重設醫學,

沛仁心仁術於九有之中;世宗肅皇帝既刻[醫方選要],

又刻[衛生易簡],藹仁政仁聲於率土之遠。

伏願皇帝陛下體道守成,遵祖繼志;當離明之正位,司考文之大權。

留情民瘼,再修司命之書;特詔良臣,著成昭代之典。

治身以治天下,書當與日月爭光;壽國以壽萬民,臣不與草木同朽。

臣不勝冀望屏營之至。

臣建元為此一得之愚,上干九重之覽,

或準行禮部轉發史館采擇,

或行醫院重修,父子銜恩,存歿均戴。

臣無任瞻天仰聖之至。

萬歷二十四年十一月 日進呈,十八日奉聖旨︰書留覽,禮部知道,欽此


[上古天眞論篇][상고천진논편]  

 

昔在黃帝,生而神靈,弱而能言,幼而徇齊,長而敦敏,成而登天。

아득한 옛적에 황제라는 어진 제왕이 있었다.

이 분은 선천적으로 영통하게 명석한 두뇌의 소지자였으며, 

갓 났을 때 벌써 말을 이해하였으며, 유소시에 총명아 이었고, 

성장해서는 더욱더 행동이 성실하여 어진 제왕이 되었음은 물론이다.

그리하여 마침내는 용을 타고 승천하였다고 한다.

 

乃問于天師曰:余聞上古之人,春秋皆度百歲,  

而動作不衰;今時之人,年半百而動作皆衰者。

時世異耶? 人將失之耶?

어느 때 그 황제가 왕사인 기백에게 묻기를

나는 오래전부터 태고 적 사람들은 나이를 먹어 백세가 지나도 

여전히 그 동작이 쇠퇴하지 않았다고 들었소.

그런데 지금의 백성들을 보면 50세가 되자, 벌써 동작이 쇠퇴하게 되는데, 

이는 대체 어찌된 까닭인가?

시대에 따라 천지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에 사람의 수명에 

차이가 생긴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백성들의 불섭생에 기인하여 이렇게도 단명한 것인지?

 

岐伯對曰:上古之人, 其知道者,法于陰陽,和于術數,食飮有節,

起居有常,不妄作勞, 故能形與神俱,而盡終其天年,度百歲乃去。

기백이 답하기를 태고적 사람들 가운데 양생의 이치를 터득한 사람은 천문력 수를 

알아서 춘하추동의 자연의 기운에 조화를 맞추고, 음식물 섭취에 절도가 있었으며, 

일상생활에도 규칙을 세워서 함부로 심신을 과로케 하는 일이 없었으므로 

육체도 정신도 다 함께 조화가 이루어졌습니다. 

때문에 백년의 수명을 다할 수 있었습니다.

 

今時之人不然也,以酒爲漿,以妄爲常,醉以入房,以欲竭其精,以耗散其眞,

不知持滿,不時御神,務快其心,逆于生樂,起居無節,故半百而衰也。

그런데 지금의 사람들은 그러한 이치에 적합한 생활을 하지 않고 있습니다.

과즙이라도 마시듯이 술을 마구 마시고, 심신을 함부로 과로케 하는 일 등이 

일상다반사 입니다.

술에 취해서는 여자를 찾아서 정욕이 동하는 대로 

그 정력을 소모하여 생의 원천인 진기를 상실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심신의 진기를 보존하려 하지 않고, 기분이 내키는 대로 행동하여 

욕망을 충족시키며, 장수의 약을 모르고, 생활 태도가 아주 무절제하기 때문에 

50세만 되면 벌써 노화 현상을 나타내게 됩니다.

 

夫上古聖人之敎下也,

皆謂之虛邪賊風避之有時,恬淡虛無,眞氣從之,精神內守,病安從來。

무릇 태고 적의 성인이라 불리던 분들이 아래 백성들을 잘 교육시킨 것은 

모두 다음의 사항들입니다.

인간의 생명력을 소실케 하며, 신체의 원활한 작용을 해치는 가지가지 

질병의 근원이 되는 사풍이라는 것은 이를 피할 수 없는 것이 아닙니다.

그 사풍이 불어올 때를 역법에 의해 정확히 알아서 스스로 피하도록 하면 되는 것입니다.

무릇 마음을 안정하여 과분한 욕망을 일으키지 않는다면 생명의 원천인 진기는 

그 사람의 체내를 골고루 순환하여 신체를 올바르게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여 5장의 정기이며, 생명 활동의 근본인 마음의 신기와 신의 정기가 충실하여 

해이됨이 없이 체내를 빈틈없이 방위한다면 질병을 일으킬 외사 등이 어디서 어떻게 

침입할 수 있겠습니까?

是以志閑而少欲,心安而不懼,形勞而不倦,氣從以順,各從其欲,皆得所願。

그러므로 무슨 일이든 급히 해치우고 말겠다는 지나친 욕심을 일으키지 않고, 

마음의 여유를 가져서 욕망을 적게 하며,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사물에 동요되지 말고, 

아무 것에도 놀라지 않고, 또 육체노동을 하더라도 무리를 하지 않게 되면 영기, 

위기가 다 함께 순조로이 체내를 운행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결국 욕망이 적은 사람은 마음이 언제나 만족된 상태가 될 수 있습니다.

故美其食,任其服,樂其俗,高下不相慕,其民故曰樸。

是以嗜欲不能勞其目,淫邪不能惑其心,

그렇게 되면 섭취한 음식물이 그것으로써 아! 맛있다고 마음에 흡족하게 되며,

가지고 있는 의복으로써 부족을 느끼지 않고, 각자의 환경에 만족하여 즐겁게 지내며,

신분이 다른 사람들이 서로 그 지위와 생활을 탐내지 않는다면

당연히 신분이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을 괴롭히려는 마음이 없고,

낮은 사람은 높은 사람을 원망하는 마음이 없어서 

그 결과로서 사회는 원활하게 다스려지는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백성들의 심리는 참으로 소박해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가 되면 백성들이 어떠한 유혹과 욕망(사욕)에도 끌리지 않고, 

부럽게 보이는 외견상의 어떤 즐거움도 그 마음을 유혹할 수 없습니다.

愚智賢不肖,不懼于物,故合于道。

所以能年皆度百歲而動作不衰者,以其德全不危也。

어리석은 사람이나, 지혜 있는 사람이나, 어진 사람이나, 하찮은 사람들이 모두 평등하게 

무슨 일이든 두려움이 없으므로 섭생의 도리에 잘 따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대개의 사람들이 100세를 넘어도 노쇠하지 않았다는 것은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바를 다 할 수 있었기 때문에 육체도 그에 따라 편안하였던 것입니다.

 

帝曰 : 人年老而無子者, 材力盡邪? 將天數然也?

岐百曰 : 女子

七歲, 腎氣盛, 齒更髮長.

二七而天癸至, 任脈通, 太衝脈盛, 月事以時下, 故有子.

三七, 腎氣平均, 故眞牙生而長極.

四七, 筋骨堅, 髮長極, 身體盛壯.

五七, 陽明脈衰, 面始焦, 髮時墮.

六七, 三陽脈衰於上, 面皆焦, 髮示白.

七七, 任脈虛, 太衝脈衰少, 天癸竭, 地道不通. 故形壞而無子也.

황제께서 물으셨다.

사람이 늙어지면 자식을 낳지 못하게 되는 까닭은 자식을 낳을 정자와 난자를 

다 소비하였기 때문인가? 

그렇지 않으면 하늘의 이치인가?

기백이 대답하였다.

먼저 여성에 대하여 아뢰옵겠 습니다.

여성은 7세가 되면 신기가 겨우 형성되어 그 표현으로서 영구치가 생기고, 

모발도 숱이 많아지고 길어집니다.

14세가 되면 생식 능력이 생깁니다. 

임맥 이 완전히 유통되고, 혈해인 충맥도 성대하게 되므로 

월경이 정기적으로 내리게 되며, 그래서 아기를 잉태할 능력이 완비됩니다.

21세가 되면 신기가 전신을 균등하게 돌게 되므로 사랑니가 나고, 

이로써 완전히 치아가 갖추어집니다.

28세가 되면 근골이 모두 단단해지고, 모발도 많아지며, 

신체가 여성으로서 가장 충실한 상태가 됩니다.

35세가 되면 양명의 경맥이 점차 쇠퇴하기 시작하므로 얼굴에 주름이 잡히기 시작하며, 

모발이 빠지는 것이 약간씩 눈에 띄게 됩니다.

42세가 되면 태양, 양명, 소양의 3양경맥이 모두 쇠퇴하여 충분히 안면을 영양할 수 없게 

되므로 얼굴에는 주름이 많아지고, 머리에는 백발이 약간씩 보이게 됩니다.

49세가 되면 임맥이 공허하게 되기 시작하고, 혈해인 충맥이 쇠퇴하여 혈이 적어지면 

마침내 월경도 끝이 나고, 생식 능력이 없어집니다.

 

丈夫

八歲, 腎氣實, 髮長齒更.

二八, 腎氣盛, 天癸至, 精氣溢瀉, 陰陽和, 故能有子.

三八, 腎氣平均, 筋骨勁强, 故眞牙生而長極.

四八, 筋骨隆盛, 肌肉滿壯.

五八, 腎氣衰, 髮墮齒槁.

六八, 陽氣衰於上, 面焦, 髮賓頒白.

七八, 肝氣衰, 筋不能動,

八八, 天癸竭, 精少, 腎藏衰, 形體皆極, 則齒髮去.

腎者主水, 受五臟戮腑之精而藏之, 故臟府盛, 乃能瀉.

今五臟皆衰, 筋骨解墮, 天癸盡矣, 故髮賓白, 身體重, 行步不正, 而無子耳.

다음에 남성에 대하여 아뢰옵니다.

남성은 8세가 되면 신기가 겨우 충실 되어 그 표현으로서 모발의 숱이 많아지고 길어지며, 영구치가 생기게 됩니다.

16세가 되면 생식 능력이 갖추어집니다.

신에 정기가 넘쳐흐르며, 전신이 남자답게 되므로 성행위가 가능하게 되며, 

아기의 종자를 심을 수 있게 됩니다.

24세가 되면 신기가 전신을 균등하게 돌게 되므로 근골이 단단해지고, 사랑니가 나며, 

이로써 치아가 완전히 갖추어집니다.

32세가 되면 골근이 융성하고, 기육도 단단해져서 남자로서의 최성기를 맞이합니다.

40세가 되면 점차로 신기가 쇠퇴해지므로 모발이 드물게 되며, 동시에 치아가 나빠집니다.

48세가 되면 양기의 순환이 나빠져서 충분히 안면을 영양할 수 없게 되므로 

얼굴에 주름이 잡히고, 흰 머리털이 생겨서 희끗희끗해집니다.

56세가 되면 간기가 쇠퇴해지므로 그 결과로서 간의 표현인 근육의 신축이 종전처럼 

완전히 안되며, 생식 능력도 결핍되어 신에 저장되었던 정기가 적어지고, 

그와 동시에 신의 장기 자체의 기능도 나빠져서 결국 몸 전체가 노화됩니다.

64세가 되면 신의 표현인 치아나 모발도 빠지고, 다시 나지 않습니다.

대체 신이라는 장기는 체액을 주관하는 기관이며, 5장 6부의 활동의 원천인 정기를 

거기에 저장하여 필요에 따라서 보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5장의 작용이 왕성할 때는 그 정기를 전신에 골고루 돌게 하여 모든 기관의 

작용 능력을 지탱하고 있는데, 이제 이미 오장의 작용이 쇠퇴하므로 근골이 해이되고,

생식 능력도 소진돼 버립니다.

즉 모발은 희고, 몸이 부자유하여 걸음걸이도 비틀거리게 됩니다. 

그러므로 자식의 종자를 심는다는 일 같은 것은 도저히 바랄 수 없게 됩니다.

 

帝曰 : 有其年已老而有子者, 何也?

岐伯曰 : 此其天壽過度, 氣脈常通, 而賢氣有餘也.

此雖有子, 男佛過盡八八, 女不過盡七七, 而天地之精氣皆竭矣.

황제께서 물으셨다.

그러나 노인도 자식을 낳는 수가 있는데, 그것은 대체 어찌된 영문이요?

기백이 대답하기를

그것은 하늘이 그 사람에게 부여한 것이 보통 사람보다 많기 때문이며,

그런 사람은 노년이 되어도 경맥의 기가 젊은이처럼 원활하게 유통되고, 

신기도 여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노인에게 생식 능력이 있다고 해도 남성은 64세, 

여성은 49세가 지나면 상실됩니다.

이 나이를 지나면 남녀의 성적 능력의 원천인 신의 정기가 결핍되기 때문입니다.

 

 

 

출처 : 조연호의 자연치유학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