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刺要][자요]

 

黃帝問曰

願聞刺要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부디 자법의 요강을 설명해 주기 바라오.

 

岐伯對曰

病有浮沈刺有淺深各至其理無過其道

過之則?不及則生外壅壅則邪從之

淺深不得反爲大賊?動五藏後生大病

기백이 대답하였다.

병의 위치에 표와 리, 음과 양, 내와 외 즉 부침이 있습니다.

이에 대하여 실시하는 자법도 당연히 이에 따라 심천이 있을 것입니다.

각각 그 도리에 따라서 과부족이 생기게 해서는 안 됩니다.

만약 자침이 너무 깊으면 내부를 상해하게 되며,

너무 얕으면 밖의 피부의 살결이 막혀서 기능 불량으로 되기 때문에

그 틈을 타서 사기가 침입합니다.

고로 자침의 심천이 부적절하면 모처럼의 치료가 빌미가 되어

큰 상해를 끼쳐서 5장을 동요시켜 그 후에 대병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됩니다.

 

故曰

病有在毫毛?理者

有在皮膚者

有在肌肉者

有在?

有在筋者

有在骨者

有在髓者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습니다.

병이 호모(체모나, 주리 즉 피부의 살결의 극히 얕은 부분)에 있는 자가 있다.

피부에 있는 자가 있다.

기육에 있는 자가 있다.

맥에 있는 자가 있다.

근에 있는 자가 있다.

골에 있는 자가 있다.

수에 있는 자가 있다. 라고 합니다.

 

故刺毫毛?理無傷皮

皮傷則?動肺

肺動則秋病????然寒慄

刺皮無傷肉肉傷則?動脾

脾動則七十二日四季之月病腹脹煩

不嗜食.

호모 주리를 자침할 때는 그 아래의 피()를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만약 피에 상해를 끼치면 속으로 영향이 되어 폐를 동요시킵니다.

폐가 동요되면 가을이 되어 온학을 앓아서 오싹오싹 오한하여 전율합니다.

피를 자침할 때는 그 아래의 육을 손상해서는 안 됩니다.

육이 손상되면 내부로 영향이 되어 비를 동요시킵니다.

비가 동요되면 춘 하 추 동의 각 계절의 끝의 18일간씩의 중간

즉 계 72일간 배가 팽만하며, 가슴이 답답하고,

식욕이 없어지는 병으로 됩니다.

 

刺肉無傷??傷則?動心

心動則夏病心痛

?無傷筋筋傷則?動肝

肝動則春病熱而筋弛

刺筋無傷骨骨傷則?動腎

腎動則冬病脹腰痛

刺骨無傷髓

髓傷則銷??

體解漁然不去矣

육을 자침할 때는 그 아래의 맥을 손상시켜서는 안 됩니다.

맥이 손상되면 내부로 영향이 되어 심을 동요시킵니다.

심이 동요되면 여름에 심통을 앓습니다.

맥을 찌를 때는 그 아래의 근육을 손상시켜서는 안 됩니다.

근육이 손상되면 내부로 영향이 되어 간을 동요시킵니다.

간이 동요되면 봄이 되어 발열하여 근이 이완되는 병에 걸립니다.

근을 자침할 때는 골을 손상시켜서는 안 됩니다.

골이 손상되면 내부로 영향이 되어 신을 동요시킵니다.

신이 동요되면 겨울이 되어 부종이 생겨서 허리가 아픕니다.

골을 자침할 때는 수를 손상시켜서는 안 됩니다.

수가 손상되면 자체가 야위게 되고 경이 저리며,

피로곤비하여 걷기도 곤란해집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刺禁][자금]  (0) 2025.01.24
[刺齊][자제]  (2) 2025.01.19
[脈解][맥해]  (4) 2025.01.05
[大奇][대기]  (0) 2025.01.01
[奇病][기병]  (8) 2024.12.27

[脈解][맥해]

 

太陽所謂腫腰?痛者

正月太陽寅寅太陽也

족태양 방광경의 병으로 허리가 붓고 엉덩이가 아픈 까닭은,

음력 정월은 이 족태양방광경의 기가 주관하는 달로서 방위는 인이다.

 

正月陽氣出在上而陰氣盛

陽未得自次也故腫腰?痛也

정월은 양기가 대두하기 시작하지만,

아직 음기가 왕성하여 양기가 충분하게 자리를 잡지 못한다.

그러므로 양기가 눌려 있어서

족태양방광경맥상의 허리가 붓고 엉덩이가 아프다.

 

病偏?爲跛者

正月陽氣凍解地氣而出也

所謂偏?冬寒頗有不足者故偏?爲跛也

또한 아플 때 그 좌우의 경맥의 한쪽이 허하여 절름발이가 되는 까닭은,

정월은 양기가 동쪽에서 지의 한기를 풀어서 나오려고 하는 때이므로

아직 겨울의 한이 남아 있어서 양기가 조금 부족하다.

그러므로 한쪽 다리만이 허하여 절름발이가 되는 것이다.

 

所謂?上引背者陽氣大上而爭?上也

所謂耳鳴者陽氣萬物盛上而躍故耳鳴也

또 목덜미()가 뻣뻣하여 그것이 등에까지 미치는 까닭은

태양의 양기가 크게 올라서 집중하기 때문에 뻣뻣해진다.

또 이명이 되는 까닭은 태양의 양기가 모두 상행하여 뛰놀기 때문이다.

 

所謂甚則狂?疾者陽盡在上

而陰氣從下?上實故狂?疾也

또한 그것이 심할 때에 광기가 생기거나, 간질을 일으키거나 하는 까닭은

양기가 전부 머리로 올라가서 열하며,

음기만이 족에 있어서 냉하여 상실하허의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所謂浮爲聾者皆在氣也

또한 양기가 부하면 귀가 안 들리게 되는 까닭은

이를 주관하는 신기까지 부족하기 때문이다.

 

所謂入中爲?陽盛已衰故爲?

또 속에 들어가면 소리가 안 나는 까닭은

양기가 머리에 오른 것이 속으로 들어가서 목에 얽힌 신기까지도 쇠하기 때문이다.

 

?奪而厥則爲?此腎?

少陰不至者厥也

또 방사과다에 의해 정기가 빠져서

한기가 역상하면 소리가 안 나는 수가 있다.

이는 신이 허하기 때문이다.

이 때는 소음의 맥인 태곡의 맥이 박동하지 않게 되어 족이 냉해진다.

 

少陽所謂心脇痛者言少陽盛也

盛者心之所表也

九月陽氣盡而陰氣盛故心脇痛也

족소양담경의 병으로서 심협이 아픈 까닭은,

음력 9월은 족소양담경맥이 주관하는 달이기 때문이다.

또 심이란 것은 수소음심경의 맥이 액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9월은 양기가 소진하여 음기가 성대해지려는 때이므로

소양의 경이 아픈 것이다.

 

所謂不可反側者陰氣藏物也

物藏則不動故不可反側也

또 자다가 몸을 뒤치지 못하는 까닭은 음기가 성대해지는 달이므로,

그리고 음의 작용은 만물을 갈무리는 작용이 있으므로

물건이 갈무려 지면 움직이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자다가 몸을 뒤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所謂甚則躍者

九月萬物盡衰草木畢落而墮

則氣去陽而之陰

氣盛而陽之下長故謂躍

또 심할 때는 아픔이 족에서부터 올라오는 까닭은,

9월은 무릇 만물이 모두 쇠퇴하고 초목도 마르기 시작하는 때이므로

음기가 성대하게 되고, 양기가 아래로 가라앉는다.

그래서 만약 소양의 기가 심하게 성대해지면

아픔이 족에서 옆구리 쪽으로 도약하는 수가 있는 것이다.

 

陽明所謂??振寒者

陽明者午也五月盛陽之陰也

陽盛而陰氣加之??振寒也

족양명위경의 병으로 물을 끼얹은 것처럼

오싹오싹 오한이 나며 떨리는 까닭은

족양명위경을 주관하는 방위가 오이기 때문이다.

즉 오는 음력의 5월에 해당한다.

음력의 5월은 양기의 정점이므로 이 때부터 음기가 펴나려는 시기이며,

양기가 성대한 터에 음기가 가해지므로 불에 물을 끼얹은 것처럼

오싹오싹 오한이 나며 떨리는 것이다.

 

所謂脛腫而股不收者是五月盛陽之陰也

陽者衰於五月而一陰氣上與陽始爭

故脛腫而股不收也

또 경이 붓고 고가 부자유하게 되는 까닭은,

5월은 양기의 정점이며, 음기가 펴나려는 시기이므로

양기가 쇠하고 음기가 조금 솟아올라서 음기와 양기가 싸우기 시작하므로

경이 붓고 고가 부자유하게 되는 것이다.

 

所謂上喘而爲水者

陰氣下而復上

上則邪客於藏府間故爲水也

또 호흡이 식식하면서 거칠어지고 부종이 생기는 까닭은

음기가 올랐다가 내렸다가 할 때이므로

음기가 오를 때 사기가 장부의 사이에 침입하여

거기에 물이 괴이므로 붓기도 하고,

혹은 위에서는 열과 물이 싸우므로 호흡이 거칠어져서 식식하게 된다.

 

所謂胸痛少氣者水氣在藏府也

水者陰氣也陰氣在中故胸痛少氣也

또 가슴이 아파서 호흡이 얕게 되는 까닭은

수기의 사가 장부의 사이에 있기 때문이며,

수는 음이므로 바꾸어 말해서 음이 속에 있어서

위로 식식하면서 나갈 수 없게 되는 대신에

가슴이 아프고 호흡이 얕게 되는 것이다.

 

所謂甚則厥惡人與火

聞木音則?然而驚者

陽氣與陰氣相薄水火相惡

?然而驚也

또 심할 때는 수족이 냉해져서 사람을 만나거나 불을 보는 것을 싫어하고,

목음을 들으면 깜짝 놀라서 무서워하는 까닭은

음기와 양기가 부딪쳐서 즉 수와 화가 서로 싫어하므로

수족의 끝에서는 음양의 기가 교류하지 않게 되어 냉해지고,

또 정신적으로는 깜짝 놀라서 무서워하는 것이다.

 

所謂欲獨閉??而處者陰陽相薄也

陽盡而陰盛故欲獨閉??而居

또 실내에 틀어박히는 까닭은 양기에 음기가 덮쳐서 양기가 없어지고,

음기가 성대해지므로 가만히 어두운 실내에 틀어박히려고 하는 것이다.

 

所謂病至則欲乘高而歌棄衣而走者

陰陽復爭而外?於陽故使之棄衣而走也

또 발작이 생기면 기분이 이상하게 되어

높은 곳에 뛰어 올라서 노래를 부르거나,

의복을 벗어 던지고 달아나려고 하는 까닭은

음기와 양기가 자주 싸워서 양자가 머리로 오르기 때문이다.

 

所謂客孫?則頭痛鼻?腹腫者

陽明?於上上者則其孫絡太陰也

故頭痛鼻?腹腫也

또 사가 손락에 머물면 두통, 비폐, 복창이 생기는 까닭은

족양명위경의 맥기가 역상하여 위에 있기 때문이며,

위에 있을 때는 족양명위경과 족태음비경과의 손락이 충만하기 때문이다.

 

太陰所謂病脹者太陰子也

十一月萬物氣皆藏於中故曰病脹

족태음비경의 병으로서 배가 팽만해지는 까닭은,

이 경맥이 주관하는 달은 음력 11월이며, 방향은 자이기 때문이다.

11월은 만물이 모두 땅 속에 잠복하는 때이다.

그러므로 인체에서도 배가 팽만해진다.

 

所謂上走心爲噫者

陰盛而上走於陽明

陽明絡屬心故曰上走心爲噫也

또 기가 올라가서 심경맥 으로 들어가 트림을 하는 까닭은

태음의 기가 성대해져서 그 표인 양명경 으로 올라가면

족태음비경의 대락은 심경으로 연락되어 있으므로

심을 주관하는 희 즉, 트림이 나오는 것이다.

 

所謂食則嘔者

物盛滿而上溢故嘔也

또 음식을 먹으면 괴로워져서 토하게 되는 까닭은

음식물이 많이 들어가면 기가 꽉 차서 내려가지 않으므로

올라가서 넘쳐 토하게 되는 것이다.

 

所謂得後與氣則快然如衰者

十二月陰氣下衰而陽氣且出

故曰得後與氣則快然如衰也

또 대변을 보거나 방귀를 뀌거나 하면

팽만하던 배가 시원하게 낫는 까닭은

11월은 음기가 정점에 달하여 양기가 싹트기 시작하는 시기이므로

설산하여 기분이 좋아지는 것이다.

 

少陰所謂腰痛者少陰者腎也

十月萬物陽氣皆傷故腰痛也

족소음신경의 병으로서 허리가 아픈 까닭은,

이 경이 주관하는 음력 10월은 만물의 양기가 손상되는 시기이므로

신의 양 즉 허리가 아픈 것이다.

 

所謂嘔?上氣喘者陰氣在下陽氣在上

諸陽氣浮無所依從故嘔?上氣喘也

또 숨이 막힐 듯이 기침을 하고 토하며,

기가 상충하여 식식하는 까닭은

음기가 아직 아래에 있고, 양기는 아직 위에 있으면

음양이 서로 분산되어 음이 양을 끌어 당기지 않아서

양기가 부상하여 힘이 없어지고,

그 결과 심한 기침을 하고, 토하거나 식식하면서 기가 역상하여 위로 나오는 것이다.

 

所謂色色不能久立久坐

起則目硯硯無所見者

萬物陰陽不定未有主也

또 눈이 아찔아찔하여 현기증이 나서 오래 서 있지 못하고,

오래 앉았다가 갑자기 일어서면 눈이 희미하게 보이지 않는 까닭은

만물의 음과 양과의 상태가 어느 것이 주된 것인지 정해지지 않은

달이므로 현기증이 나서 오래 서 있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秋氣始至微霜始下而方殺萬物

陰陽?故目硯硯無所見也

이 때 가을의 냉기가 닥쳐와서 서리가 약간 내리게 되면 모든 것이 시들고,

음양의 기가 내부에서 빠지므로 눈이 뿌옇게 되어 보이지 않게 된다.

 

所謂少氣善怒者陽氣不治陽氣不治

則陽氣不得出肝氣當治而未得

故善怒善怒者名曰煎厥

또 호흡이 얕아지고 정신이 흥분하기 쉬우며 잘 노하는 까닭은,

9월은 소양의 기가 아직 충분히 갖추어지지 않았으므로

족소양담경의 기가 족궐음간경의 기와 조화가 안 되어

간기가 울하여 잘 노하게 된다.

잘 노하고 수족이 냉하여 상기되는 병을 전궐이라 한다.

 

所謂恐如人將捕之者

秋氣萬物未有畢去陰氣少

陽氣入陰陽相薄故恐也

또한 공포 병에 잘 걸려서 언제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쫓기고 있는 듯한 기분이 되는 까닭은,

10월은 아직 가을의 기가 충분히 가시지 않으므로 음기가 아직 적고,

양기도 들어가려고 하는 시기이므로 음양의 기가 다투기 때문에

정신적으로 잘 공포증을 느끼게 된다.

 

所謂惡聞食臭者胃無氣故惡聞食臭也

또 음식물의 냄새를 맡는 것을 싫어하게 되는 까닭은

가을의 양기가 적기 때문이다.

 

所謂面?如地色者秋氣?故變於色也

또 안색이 거무튀튀하여 흑토와 같이 되는 것은

가을의 양기가 적을 때에 방사과다로 정기가 빠졌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안면에 신허의 색이 나온다.

 

所謂?則有血者?傷也

陽氣未盛於上?滿滿則?

故血見於鼻也

또 기침을 하면 피가 나오는 까닭은 상부의 경맥이 손상되었기 때문이다.

양기의 순환이 쇠퇴하고 있을 때에 혈맥이 충만 되므로 기침이 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코에서 피가 나는 것이다.

 

厥陰所謂易疝婦人少腹腫者厥陰者辰也

三月陽中之陰邪在中故曰易疝少腹腫也

족궐음간경의 병으로서 남자는 하복부에서 고환에 걸쳐 붓고

아픈 병인 독산으로 되고,

여자는 하복부가 붓는 까닭은 이 경맥은 방위가 진이며,

주관하는 달은 음력의 3월이며,

3월은 양이 발생한 때이기는 하지만, 아직 음의 세력이 강하므로

사가 속에 있어서 위로 부상되지 않기 때문에

독산이나 하복부의 종통을 일으키는 것이다.

 

所謂腰脊痛不可以?仰者

三月一振榮華萬物一?而不仰也

또 허리나 등이 아파서 전후로 굴신이 안 되는 까닭은

3월의 양기가 한번 떨치면 만물이 모두 번무하여 드리워지는 것처럼

인체도 앞으로 굽히기는 쉽지만, 펴기가 곤란해지는 것이다.

 

所謂易?疝膚脹者曰陰亦盛?脹不通故曰易?疝也

또 독이나 소변이 안 나오고, 하복부가 붓는 병인 융이나

한이 쌓여서 하복부가 붓고 아픈 병인 산이나,

피부에 부종이 생기는 병인 부창 으로 되는 까닭은

이 때는 음기가 아직 성대하여 맥이 긴체해서 통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所謂甚則?乾熱中者

陰陽相薄而熱?乾也

또 심할 때는 목이 마르고 속에 열이 있는 까닭은

음양이 서로 부딪치므로 열이 생겨서 그것이 올라서 목이 마르는 것이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刺齊][자제]  (2) 2025.01.19
[刺要][자요]  (2) 2025.01.13
[大奇][대기]  (0) 2025.01.01
[奇病][기병]  (8) 2024.12.27
[病態][병태]  (2) 2024.12.22

[大奇][대기]

 

肝滿腎滿

肺滿皆實?爲腫

肺之雍喘而兩?滿

肝雍?滿臥則驚不得小便

腎雍脚下至少腹滿脛有大小??跛易偏枯

()滿하고, ()滿하고,

()滿하여 () 모두 하면 이 됩니다.

雍滯不暢()하면서 거가 滿하며,

肝雍거가 滿하고 누우면 하고 小便하지(보지) 못하며,

腎雍은 거에서 少腹까지 滿하고 (정강이)大小가 있어(한편은 크고 한편은 작음) 비행이 크게 하며(절뚝거리며) 偏枯(한쪽이 마름)하기 쉽습니다.

 

?滿大??筋攣

?小急??筋攣

??有所驚駭?不至?不治自已

?小急?小急

?小急不鼓皆爲?

腎肝?爲石水

?爲風水

??爲死

?小絃欲驚

?大急沈

?大急沈皆爲疝

?搏滑急爲心疝

?沈搏爲肺疝

三陽急?

三陰急爲疝

二陰急?

二陽急爲驚

心脈滿大하면 ,,筋攣하고[筋攣이고],

肝脈小急하면 ,,筋攣하며[筋攣이며],

肝脈이 무하면 驚駭한 바가 있음인데,

이 음과 같이 不至하면 ()하지 아니하여도 저절로 나으며,

腎脈小急하거나 肝脈小急하거나

心脈小急하면서, 不鼓하면 모두 가가 됩니다.

腎肝(), 아울러 하면 石水가 되고,

아울러 하면 風水가 되고,

아울러 하면 가 되고,

아울러 小弦하면 하려 함이며;

腎脈大 急 沈하거나,

肝脈大 急 沈하면 모두 이 되며,

腎脈搏 滑 急하면 心疝이 되고,

肺脈沈 搏하면 肺疝이 되며;

三陽(太陽脈)하면 가 되고,

三陰(太陰脈)하면 이 되고,

二陰(少陰脈)하면 肝厥이 되고,

二陽(陽明脈)하면 이 됩니다.

 

?外鼓沈爲腸?久自已

?小緩爲腸?易治

?小搏沈爲腸?下血?身熱者死

心肝?亦下血二藏同病者可治※.

?小沈?爲腸?其身熱者死熱見七日死

?沈鼓?胃外鼓大?小堅急

?偏枯男子發左女子發右

?舌轉可治三十日起

其從者??

年不滿二十者?

脾脈外鼓하면서 하면 벽인데, 오래되면 저절로 나으며;

肝脈小緩하면 벽인데, ()하기가 쉬우며;

腎脈小 搏 沈하면 下血인데,

하고 하며;

心肝벽 또한 下血하는데, 二藏 同病者()할 수 있으며;

小 沈 澁하면 벽인데,

하니, 이 보인 지 七日만에 합니다.

胃脈沈 鼓 澁하거나, 胃脈外鼓 大하거나,

心脈小 緊 急하면 모두 (塞不通)하여 偏枯가 되는데,

男子하거나 女子하고 舌轉하면,

()할 수 있으니 三十日만에 하며,

(男子發右 女子發左 爲從)가 음하면 三年만에 하며,

나이가 二十이 못된 三年만에 합니다.

 

?至而搏?身熱者死

?來懸鉤浮爲常?

?至如喘名曰暴厥

暴厥者不知與人言

?至如數使人暴驚三四日自已

함이 하면서 ,身熱하며,

脈來懸 鉤 浮한 것은 (失血者) 常脈이니 念慮할 것이 없으며,

함이 한 듯하면, 病名暴厥이라 하는데,

暴厥者는 사람과 더불어 말을 할 줄 모르며,

함이 한 듯하면(진짜 數脈이 아님) 사람이 暴驚하게 하나 (實熱症眞數脈이므로) , 四日이면 저절로 낫습니다.

 

?至浮合浮合如數

一息十至以上是經氣予不足也

微見九十日死

?至如火薪然是心精之予奪也草乾而死

?至如散葉是肝氣予?木葉落而死

?至如省客省客者?塞而鼓

是腎氣予不足也懸去棗華而死

?至如丸泥是胃精予不足也楡莢落而死

?至如?是膽氣予不足也禾熟而死

?至如弦縷是胞精予不足也

病善言下霜而死不言可治

?至如交漆交漆者左右傍至也

微見三十日死

?至如涌泉浮鼓肌中太陽氣予不足也

少氣味?英而死

?至如?土之?按之不得是肌氣予不足也

五色先見?白壘發死

?至如懸雍懸雍者

?切之益大是十二兪之予不足也

水凝而死

?至如偃刀偃刀者浮之小急按之堅大急

五藏?寒熱獨?於腎也

如此其人不得坐立春而死

?至如丸滑不直手不直手者

按之不可得也是大腸氣予不足也棗葉生而死

?至如華者令人善恐不欲坐臥

行立常聽是小腸氣予不足也季秋而死

함이 浮合하되(如浮波之合, 後至者凌前, 速疾而動, 無常候也) 浮合함이 한 듯하여 一息十至 以上이면,

이는 經氣(授與; 給與)함이 不足함이니, 始見한 지 九日만에 하며;

함이 불이 새로 타는 듯이 하면,

이는 心精함이 함이니, 풀이 고스라질 때 하며;

함이 흩어지는 나뭇잎 같으면,

이는 肝氣함이 함이니, 나뭇잎이 떨어질 때 하며;

함이 省客(親戚을 찾아오는 손님)과 같으면,

省客하고 함인데,

이는 腎氣함이 不足함이니,

대추 꽃이 懸去(피고 질) 때에 하며;

함이 丸泥와 같으면,

이는 胃精함이 不足함이니, 楡莢이 떨어질 때 하며;

함이 橫格한 듯하면,

이는 膽氣함이 不足함이니, 벼가 익을 때 하며,

함이 弦縷(새로 맨 활시위와 같이 팽팽하면서 실처럼 가늠)와 같으면, 이는 胞精함이 不足함이니,

病者가 말을 잘하면 서리 내릴 때 하나,

말을 못하면 治療할 수 있으며;

함이 交漆과 같으면, 交漆左右으로 함인데,

徵見한 지 三十日만에 하며;

함이 湧泉과 같아서 肌肉中浮鼓하면,

太陽氣함이 不足함이니,

少氣하면 구()을 먹을() [少氣味하면 구가 꽃필() ] 하며;

함이 頹土과 같아서 이를 하면 얻지 못하면,

이는 肌氣함이 不足함이니,

(얼굴에) 五色中()이 먼저 나타나면 유가 필 때 하며;

함이 懸離((原作'懸雍', 新校正))한 듯하면,

懸雍(脈搏浮動有力)하고 이를 하면 더욱 커지는 것이니,

이는 十二兪함이 不足함이니, 물이 얼어서 ()할 때 하며;

함이 偃刀와 같으면,

偃刀浮取하면 小急하고 하면 堅 大急한 것인데,

五藏鬱熱((''原作'', 甲乙))하여 寒熱이 오직 함이니,

이와 같고 그 사람이 앉지 못하면, 立春하며;

함이 같고(하고 ) 하며 直當하지 않으면,

하지 않는다는 것은 하면 하지 못한다는 것인데,

이는 大腸氣함이 不足함이니, 대추잎이 생길 때 하며;

함이 와 같은 는 사람으로 하여금 잘 하고 坐臥하려 하지 않고 하거나 하거나 항상 엿듣게 하는데(恐懼多疑故也),

이는 小腸氣함이 不足함이니, 季秋합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刺要][자요]  (2) 2025.01.13
[脈解][맥해]  (4) 2025.01.05
[奇病][기병]  (8) 2024.12.27
[病態][병태]  (2) 2024.12.22
[厥][궐]  (2) 2024.1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