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藏氣法時論][장기법시론]

 

黃帝問曰

合人形以法四時五行而治

何如而從何如而逆

得失之意願聞其事

황제께서 물으셨다.

인체의 구조와 기능을 4시나 5행 등의

천지의 운행과 비교 합치시켜서 치법을 실시하는데,

어떻게 하면 천지의 이치에 따르고, 어떻게 하면

천지의 이치에 거슬리는지?

그 치료 효과의 양부의 이치는 어떠한지?

이에 대하여 듣고 싶소.

 

岐伯對曰

五行者金木水火土也更貴更賤

以知死生以決成敗而定五藏之氣

間甚之時死生之期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5행은 물론 목 화 토 금 수를 말하는데,

이것이 모든 것을 맡고 있으며,

각기의 기가 서로 왕성하게 되거나 쇠퇴하거나 하는 것입니다.

이를 인체에 적용시키면 환자의 사생 거흉을 예지하고,

5장의 기의 소장의 시기나 사생의 시기를 알 수 있습니다.

 

帝曰

願卒聞之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그에 대하여 부디 소상하게 설명해 주기 바라오.

 

岐伯曰

肝主春足厥陰少陽主治其日甲乙

肝苦急急食甘以緩之

心主夏手少陰太陽主治其日丙丁

心苦緩急食酸以收之

脾主長夏足太陰陽明主治其日戊己

脾苦濕急食苦以燥之

肺主秋手太陰陽明主治其日庚辛

肺苦氣上逆急食苦以泄之

腎主冬足少陰太陽主治其日壬癸

腎苦燥急食辛以潤之

開腠理致津液通氣也

기백이 대답하였다.

간은 봄철에 그 기가 왕성하게 되어 모든 것을 주재합니다.

이 시기에 사를 받아서 간이 손상되면 족궐음 간경과 족소양 담경으로써

주치하는 경맥으로 삼습니다.

간기가 왕성하는 날은 갑과 을일입니다.

간을 앓으면 경련되는 급이라는 증상에 괴로움을 당합니다.

그 경우는 빨리 감미의 것을 주어 급을 완화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심장은 여름철에 그 기가 왕성하게 되어 모든 것을 주재합니다.

이 때에 사를 받아서 심장을 앓게 되면 수소음 심경과 수태양 소장경으로써

주치하는 경맥으로 삼습니다.

심기가 왕성한 날은 병과 정일입니다.

심장을 앓게 되면 느슨해지는 완이라는 증상에 괴로움을 당합니다.

이 경우는 빨리 산미의 것을 주어서 완을 수검시켜 줄 필요가 있습니다.

비는 여름철의 중앙인 장하에 그 기가 왕성해져서 모든 것을 주재합니다.

이 때에 사를 받아서 비가 손상되면 족태음 비경과 족양명 위경으로써

주치하는 경맥으로 삼습니다.

비기가 왕성한 날은 무와 기일입니다.

비를 앓게 되면 습증상 으로 괴로워합니다.

그 경우는 빨리 고미의 것을 주어 습을 조하여 줄 필요가 있습니다.

폐는 가을에 그 기가 왕성하게 되어 모든 것을 주재합니다.

이 때 사를 받아서 폐를 앓게 되면 수태음 폐경과 수양명 대장경으로써

주치하는 경맥으로 삼습니다.

폐기가 왕성한 날은 경과 신일입니다.

폐를 앓게 되면 기가 상역하여 괴로움을 당합니다.

그 경우는 빨리 고미의 것을 주어 상역된 기를 설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신은 겨울에 그 기가 왕성하게 되어 모든 것을 주재합니다.

이 때에 사를 받아서 신을 앓게 되면 족소음 신경과 족태양 방광경으로써

주치하는 경맥으로 삼습니다.

신기가 왕성한 날은 임과 계일입니다.

신을 앓게 되면 조라는 증상으로 괴로움을 당합니다.

그 경우는 빨리 신미의 것을 주어 조를 습윤케 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이들의 치법은 모두 피부의 한선인 주리를 열거나, 체액인 진액이 정체된

것을 순환케 하거나 해서 영위의 기를 부드럽게 유통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病在肝愈於夏夏不愈甚於秋秋不死

持於冬起於春禁當風

肝病者愈在丙丁丙丁不愈加於庚辛庚辛不死

持於壬癸起於甲乙

肝病者平旦慧下晡甚夜半靜

肝欲散急食辛以散之用辛補之酸寫之

병이 간에 있으면 여름이 되어 낫게 됩니다.

만약 여름에 낫지 않으면 가을에는 심해집니다.

가을에 죽지 않으면 겨울 동안 유지 되다가 봄철이 되면 재발됩니다.

이 병은 바람을 쐬는 것이 금물입니다.

또한 급성인 간의 병은 병정일에 낫습니다.

만약 병정일에 낫지 않으면 경신일에 심해집니다.

다행히도 경신일에 죽지 않으면 임계일은 유지 되다가

갑을일에 이르러 재발합니다.

또 간의 병은 조조에 증상이 뚜렷이 나타나서 저녁 때에 심하고,

밤중은 조용해집니다.

간이 손상되어 지나치게 긴장된 기를 흐트리게 할 필요가 있을 때는

빨리 신미의 것을 섭취시켜서 이를 흐트리게 해줍니다.

즉 신미의 것은 산의 작용을 보하고, 산미의 것은 산의 작용을 사하는 것입니다.

 

病在心愈在長夏長夏不愈甚於冬冬不死

持於春起於夏禁溫食熱衣

心病者愈在戊己戊己不愈

加於壬癸壬癸不死持於甲乙起於丙丁

心病者日中慧夜半甚平旦靜

心欲耎急食鹹以耎之用鹹補之甘寫之

병이 심장에 있으면 장하에 낫는 것입니다.

만약 장하에 낫지 않으면 겨울에는 심해집니다.

겨울에 죽지 않으면 봄 동안은 유지 되다가 여름이 되면 재발합니다.

이 병에는 너무 뜨거운 음식물이나, 너무 더운 의복은 금물입니다.

또한 급성의 심장병은 무기일에 낫습니다.

만약 무기일에 낫지 않으면 임계일에 심해집니다.

다행히도 임계일에 죽지 않으면 갑을일에 유지 되다가

병정일에 또 재발하게 됩니다.

또한 심장의 병은 주간에 병이 뚜렷이 나타나서 밤중에는 심하고,

조조에는 조용해집니다.

심장의 기를 연하게 할 필요가 있을 때는 빨리 함미의 것을 섭취케 하여

이를 연하게 해 줍니다.

즉 함미의 것은 연하게 하는 작용을 보하고, 감미의 것은 연하게 하는

작용을 사해 줍니다.

 

病在脾愈在秋秋不愈甚於春春不死

持於夏起於長夏禁溫食飽食濕地濡衣

脾病者愈在庚辛庚辛不愈加於甲乙甲乙不死

持於丙丁起於戊己

脾病者日中慧日出甚下晡靜

脾欲緩急食甘以緩之用苦寫之甘補之

병이 비에 있으면 가을에 낫게 됩니다.

만약 가을에 낫지 않으면 봄에는 심하게 됩니다.

봄에 죽지 않으면 여름 동안 지속하여 장하에 재발합니다.

이 병에는 너무 뜨거운 음식물, 과식, 습한 장소, 젖은 의복은 금물입니다.

또한 급성의 비병은 경신일에 낫습니다.

만약 경신일에 낫지 않으면 갑을일에 심해집니다.

다행히 갑을일에 죽지 않게 되면 병정일은 유지 되다가 무기일에

또 재발하는 것입니다.

또한 비의 병은 오후 2시쯤에 병상이 뚜렷이 나타나서 일출시에 심하고,

저녁때에 조용하게 됩니다.

비의 기를 완화할 필요가 있을 때는 빨리 감미의 것을 섭취케 하여

이를 완화시켜 줍니다.

즉 감미의 것은 완화하는 작용을 보하고, 고미의 것은 완화하는 작용을

사해 줍니다.

 

病在肺愈這冬不愈甚於夏夏不死

持於長夏起於秋禁寒飮食寒衣

肺病者愈在壬癸壬癸不愈加於丙丁丙丁不死

持於戊己起於庚辛

肺病者下晡慧日中甚夜半靜

肺欲收急食酸以收之用酸補之辛寫之

병이 폐에 있으면 겨울에 낫게 됩니다.

만약 겨울에 낫지 않으면 여름에는 심해집니다.

여름에 죽지 않으면 장하에는 유지 되다가 가을에 재발합니다.

이 병에는 찬 음식물과 춥게 박의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또한 급성인 폐의 병은 임계일에 낫습니다.

만약 임계일에 낫지 않을 때는 병정일에 심해집니다.

다행히 병정일에 죽지 않으면 무사일에 유지되다가 경신일에 재발됩니다.

또한 폐의 병은 저녁에 병상이 뚜렷이 나타나서 주간에 심하고,

밤중에는 조용해집니다.

기를 수검할 필요가 있을 때는 빨리 산미의 것을 섭취케 하여

이를 거두게 합니다.

즉 산미의 것은 수검의 작용을 보하고,

신미의 것은 수검의 작용을 사합니다.

 

病在腎愈在春春不愈甚於長夏長夏不死

持於秋起於冬禁犯焠 熱食溫炙衣

腎病者愈在甲乙甲乙不愈甚於戊己戊己不死

持於庚辛起於壬癸

병이 신에 있으면 봄에 낫게 됩니다.

만약 봄에 낫지 않으면 장하에 심해집니다.

장하에 죽지 않으면 가을 동안 유지 되다가 겨울에 재발합니다.

이 병에는 몸에 불을 쬐거나, 뜨거운 것을 먹거나,

불로 가온한 의복을 입거나 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또한 급성인 신의 병은 갑을일에 낫게 됩니다.

만약 갑을일에 낫지 않으면 무기일에 심해집니다.

무기일에 죽지 않으면 경신일은 유지 되다가 임계일에 재발됩니다.

 

腎病者夜半慧四季甚下晡靜

腎欲堅急食苦以堅之用苦補之鹹寫之

夫邪氣之客於身也

以勝相加至其所生而愈至其所不勝而甚

至於所生而持自得其位而起必先定五藏之脈.

乃可言間甚之時死生之期也

또한 신의 병은 밤중에 그 병상이 뚜렷이 나타나서

밤중, 일출, 주간, 일몰의 각기 중간에 해당하는 시각에 심해지고,

저녁에는 조용해집니다.

신의 기를 굳게 할 필요가 있을 때는 빨리 고미의 것을 섭취시켜서

이를 굳게 해 줍니다.

즉 고미의 것은 굳게 하는 작용을 보하며, 함미의 것은

굳게 하는 작용을 사합니다.

대저 사기가 인체로 들어가서 병으로 되는 것은 4시에 있어서

그 왕성한 장을 이기는 56기의 운기가 주관할 때에 그 장이 져서

앓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예컨대 봄에 간을 앓게 되는 것은 사천의 기가 양명이라든지,

금운태과 목운불급의 해라든지, 혹은 객기가 우연히 양명이라든지,

또 객운이 금이라든지 하는 경우입니다.

이어서 상생의 법칙에서 말하는 자의 계절이 되면

그 이기는 운기가 져서 사기가 패퇴하므로 병은 낫게 됩니다.

그런데 이 때에 낫지 않고 그대로이면 다음에 그 이기는 사기가 지배하는

계절이 되므로 사기는 도리어 강대해져서 그 결과 병이 심해집니다.

여기서 죽지 않게 되면 다음은 상생의 법칙에서 말하는 모의 계절이 되므로

병은 지게 됩니다.

그리고 또 그 장 자체가 지배하는 계절이 되므로 재발합니다.

그러므로 어느 장기가 손상되었는지를 진맥에 의해 잘 확인하면

이들 관계로부터 병이 경해지거나 중해지는 시기를,

혹은 생사 길흉의 시기를 예지할 수 있습니다.

 

肝病者兩脇下痛引少腹令人善怒

虛則目 無所見耳無所聞善恐如人將捕之

取其經厥陰與少陽

氣逆則頭痛耳聾不聰頰腫取血者

간의 병은 양협하가 아파서 하복부까지 미치고,

정신적으로 노하기 쉬운 상태로 됩니다.

간의 기가 허해지면 멍청해져서 눈이 보이지 않게 되거나,

귀가 들리지 않게 됩니다.

또한 타인에게 붙잡힐 듯한 피해망상을 일으킵니다.

이러한 때는 족궐음 간경과 족소양 담경 에서 취혈 합니다.

간의 기가 역상되면 두통이 나거나, 귀가 잘 들리지 않게 되거나,

머리가 둔해지거나, 볼이 붓거나 합니다.

이러할 때는 울혈된 혈락 에서 사혈하는 것입니다.

 

 

心病者胸中痛脇支滿脇下痛

膺背肩甲間痛兩臂內痛

虛則胸腹大脇下與腰相引而痛

取其經少陰太陽舌下血者

其變病刺郤中血者

심장의 병은 가슴 속이 아프고, 양협이 아래서 받치듯이 아프고, 협하가

아프며, 가슴이나 등이나 견갑골 사이가 아프고, 양완의 안쪽이 아픕니다.

심장의 기가 허하게 되면 가슴이나 배가 커져서 협하와 허리 사이가

땅기고 아픕니다.

이와 같은 때는 수소음 심경과 수태양 소장경 에서 취혈 합니다.

다시 설하의 울혈된 곳에서 사혈합니다.

만약 병이 급변했을 때는 음극, 양노 부근의 울혈된 혈락에서 사혈합니다.

 

脾病者身重善肌肉痿足不收行善瘛

脚下痛虛則腹滿腸鳴飧泄食不化

取其經太陰陽明少陰血者

비의 병은 몸이 무겁고, 비육이 흔히 위축되며, 발에 힘이 들지 않고,

걷게 되면 자주 경련을 일으켜서 다리의 하부가 아픕니다.

비의 기가 허해지면 복장증이 생겨서 복명이 나고,

소화 불량으로 설사를 하며, 죽과 같은 변을 봅니다.

이러할 때는 족태음 비경과 족양명 위경에서 취혈 합니다.

다시 족소음 신경의 울혈된 혈락에서 사혈합니다.

 

肺病者喘咳逆氣肩背痛

汗出尻陰股膝脾腨胻足皆痛

虛則少氣不能報息耳聾嗌乾

取其經太陰足太陽之外厥陰內 血者

폐의 병은 호흡이 거칠고 기침이 나며,

기가 목으로 상충되어 견배부가 아프며,

땀이 잘 나고, 둔부 음부 대퇴부 종아리 발 등이 모두 아픕니다.

폐의 기가 허해지면 호흡이 천박해져서 숨을 내쉬기 어렵게 됩니다.

또 귀가 들리지 않게 되며, 목이 마릅니다.

이러할 때는 수태음 폐경에서 취혈 합니다.

다시 족소음 신경 부근의 울혈된 낙맥에서 사혈합니다.

 

腎病者腹大脛腫

喘咳身重寢汗出憎風

虛則胸中痛大腹小腹痛淸厥意不樂

取其經少陰太陽血者

신의 병은 복장이 되며, 경이 붓고 기침이 나며,

몸이 무겁고 도한(자신도 모르게 땀이 나는 것)이 나며,

바람을 쐬는 것을 싫어합니다.

신의 기가 허해지면 가슴 속이 아프고, 배의 상하 부분이 모두 아프며,

몸과 수족이 냉하고, 언제나 기분이 나빠서 불쾌해집니다.

이러한 때는 족소음 신경과 족태양 방광경에서 취혈합니다.

다시 울혈된 낙맥에서 사혈합니다.

 

肝色靑宜食甘粳米牛肉皆甘

心色赤宜食酸小豆犬肉. 皆酸

肺色白宜食苦羊肉. 皆苦

脾色黃宜食鹹大豆豕肉栗藿皆鹹

腎色黑宜食辛黃黍雞肉皆辛

간의 색은 청입니다.

병적인 청을 발색한 사람에게는 감미의 것을 먹게 합니다.

감미의 것이란, 맵쌀 우육(쇠고기) 대추 미나리 등입니다.

심장의 색은 적입니다.

병적인 적을 발색한 사람에게는 산미의 것을 먹게 합니다.

산미(신맛)의 것이란, 팥 견육 자두 부추 등입니다.

폐의 색은 백색입니다.

병적인 백을 발색한 사람에게는 고미의 것을 먹게 합니다.

고미의 것이란, 보리 양육 살구 염교 등입니다.

비의 색은 황입니다.

병적인 황을 발색한 자에게는 함미의 것을 먹게 합니다.

함미의 것이란, , 돈육, 밤 콩의 떡잎 등입니다.

신의 색은 흑입니다.

병적인 흑을 발색한 사람에게는 신미의 것을 먹게 합니다.

신미(매운맛)의 것이란, 기장 학육 복숭아 파 등입니다.

 

辛散酸收甘緩苦堅鹹耎

毒藥攻邪五穀爲養五果爲助

五畜爲益五菜爲充

氣味合而服之以補精益氣

此五者有辛酸甘苦鹹各有所利

或散或收或緩或急

或堅或耎四時五藏病隨五味所宜也

신미의 것에는 산 즉 발산 작용이 있습니다.

산미의 것에는 수 즉 수검 작용이 있습니다.

감미의 것에는 완 즉 완화 작용이 있습니다.

고미의 것에는 견 즉 건견 작용이 있습니다.

함미의 것에는 연 즉 연화 작용이 있습니다.

또한 약물로써 병사를 공격하며, 5곡으로써 56부를 영양하고,

5과로써 이를 돕고, 5축으로써 그 힘을 더하고, 5채로써 그 작용을 보합니다.

다시 이들의 한온의 성질인 기나 산고감신함의 미를 조화시켜서

음식으로 5장의 정기를 보익하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즉 이 약물, 곡물, 과실, , , 야채에는 각기 산 고 감 신 함의 5미가

있어서 발산, 수검, 완화, 긴장, 건견, 연화하거나 해서 각각 5장의

작용에 유리하게 작용합니다.

이와 같이 춘하추동의 4시의 기가 원인이 되어 생긴 5장의 병에는

각각 5미의 작용을 발휘시키도록 고려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血氣形志][혈기형지]  (2) 2024.07.07
[宣明五氣篇][선명오기편]  (3) 2024.07.05
[經脈別論][경맥별론]  (0) 2024.06.23
[三部九候論][삼부구후론]  (4) 2024.06.13
[玉機眞藏論][옥기진장론]  (0) 2024.06.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