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霍亂後轉筋][곽란후전근]

陽明 屬胃與大腸 以養宗筋 暴吐暴瀉 津液驟亡 宗筋失其所養

故輕者 兩脚轉筋而已 重者 遍體轉筋入腹 手足厥冷 危甚 風燭矣 倉卒之際.

以塩塡臍中 灼艾不計壯數 雖已死 而胸中有煖氣者 立甦.

急用木萸散方見上濕霍亂治法 加茴香 甘草 紫蘇葉煎服 再硏大蒜 塗兩脚掌心 則雖昏危入腹者 亦效(入門)

양명경(陽明經)에는 위(胃)와 대장(大腸)이 속하는데 이것은 종근(宗筋)을 영양한다.

갑자기 토하고 설사하던 진액(津液)이 빨리 줄어들어서 종근을 영양하지 못하게 되는데

경하면 양쪽 다리의 힘줄이 뒤틀리고 중하면 온몸의 힘줄이 뒤틀린다.

병이 속으로 들어가면 손발이 싸늘해지면서 바람 앞에 등불처럼 위태롭게 된다.

급할 때에는 소금을 배꼽 위에 놓고 뜸을 장수에 관계없이 뜬다.

그러면 거의 죽게 되었다가도 가슴에 더운 기운이 생기면서 곧 살아난다.

그리고 빨리 목유산(처방은 위에 있다) 약재에 회향, 감초, 차조기잎(자소엽)을 더 넣어

달여 먹은 다음 마늘을 짓찧어 양쪽 발바닥에 붙인다.

이렇게 하면 정신을 잃어서 위급하게 된 것과 병이 속으로 들어간 데도 효과가 있다[입문].

 

霍亂吐瀉過多 遍體轉筋 手足厥冷 氣欲絶者 急灸臍中 又取蓼一把 煎湯泡洗

次投附子理中湯方見寒門 濕霍亂治法 卽效(綱目).

곽란으로 지나치게 토하고 설사를 많이 하여 온몸의 힘줄이 뒤틀리고 

손발이 싸늘하며 숨이 끊어지려고 할 때에는 빨리 배꼽에 뜸을 뜨고 또 여뀌 1줌을 달인 물로 씻는다. 

그 다음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먹으면 곧 낫는다[강목]. 

 

霍亂後轉筋 理中湯方見寒門 方見上 濕霍亂治法 加石膏40g 煎服(海藏).

곽란을 앓은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데는 

이중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약재에 석고 40g을 더 넣어 달여 먹는다[해장]. 

 

一法 理中湯 去白朮 加生附子一箇(活人).

또 한가지 방법은 이중탕 약재에서 흰삽주(백출)를 빼고 부자(생 것) 1개를 더 넣어 쓰는 것이다[활인]. 

 

轉筋屬血熱 四物湯方見血門 加酒芩 酒花 蒼朮 南星 煎服(丹心).

힘줄이 뒤틀리는 것은 혈열(血熱)과 관계되는 것이다. 

이때에는 사물탕(처방은 혈문에 있다) 약재에 술에 축여 볶은 속썩은풀(황금)과 

술에 축여 볶은 잇꽃(홍화), 삽주(창출), 천남성을 더 넣어 물에 달여 먹는다[단심]. 

 

吐瀉 脇痛 轉筋脈弦者 木克土也 平胃散方見內傷 加木瓜20g 煎服(入門).

토하고 설사하며 옆구리가 아프고 힘줄이 뒤틀리며 맥(脈)이 현(弦)한 것은 

간목(肝木)이 비토(脾土)를 억제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때에는 평위산(처방은 내상문에 있다) 약재에 모과 20g을 더 넣어 달여 먹는다[입문]. 

 

吐瀉後 轉筋不止 宜用木瓜湯(直旨)

토하고 설사한 뒤에 힘줄이 뒤틀리는 것이 멎지 않을 때에는 모과탕을 쓰는 것이 좋다[직지].

 

治轉筋不止欲死 男子以手挽 其陰 牽之 女子 則挽其乳 近兩傍牽之 此千金方 妙法也(丹心).

힘줄이 뒤틀리는 것이 멎지 않아 죽을 것 같이 되었는데

남자이면 손으로 음낭을 잡아당겨 주고 여자이면 젖을 양쪽 옆으로 당겨주어야 한다.

이것은 천금방(千金方)에 있는 묘한 방법이다㈜[단심].

[濕霍亂治法][습곽란치법]

上吐下瀉 謂之濕霍亂

凡霍亂吐瀉 渴爲熱 不渴爲寒(海藏)

습곽란이라는 것은 위로는 토하고 아래로는 설사하는 것이다.

곽란 때에 토하고 설사하는데 갈증이 있으면 열증이고 갈증이 없으면 한증이다[해장].

 

熱多 欲飮水 宜五苓散 寒多 不飮水 宜理中湯二方並見寒門 見乾霍亂(仲景).

열증이 심하여 물을 마시려고 할 때에는 오령산을 쓴다. 

한증이 심하여 물을 마시지 않을 때에는 이중탕(이 2가지 처방은 모두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중경]. 

 

霍亂 乃濕熱 兼風木爲害 治宜散風寒 利濕降火

四時通用 藿香正氣散方見寒門 見乾霍亂

寒月虛冷 用理中湯方見寒門 暑月煩渴 宜黃連香薷散方見暑門

俱宜合五苓散方見寒門 以分消上下 更合益元散方見暑門 降火尤妙(入門).

곽란은 습열(濕熱)에 풍(風)이 겹쳐서 생긴 것이기 때문에

풍한(風寒)을 헤치고 습이 빠지게 하며 화(火)를 내려야 한다.

이때에는 사철 곽향정기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

추울 때에 허랭하면 이중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쓰고

더울 때 번갈(煩渴)이 나면 황련향유산(처방은 서문에 있다)을 쓴다.

위의 약들을 다 오령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과 합하여 위와 아래가 갈라지게 치료하고

다시 익원산(처방은 서문에 있다)을 합하여 써서 화를 내리면 더욱 좋다[입문].

 

霍亂 吐瀉 宜用木萸散 二香黃連散 加味薑附湯 回生散 加減正氣散.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할 때에는 목유산, 이향황련산, 가미강부탕, 회생산, 가감정기산 등을 쓴다. 

 

中暑霍亂 宜香薷散方見暑門 桂苓白朮散方見下 方見下 霍亂後煩渴

더위를 먹어 생긴 곽란( 亂) 때에는 

향유산(처방은 서문에 있다)이나 계령백출산(처방은 아래에 있다)을 쓴다[단심]. 

 

吐瀉過多 四肢逆冷 不省人事 南星末12g 棗3枚 薑5片 煎 極熱服 一服 可效

或半夏末 薑汁 點服或白礬末一大盞 沸湯 點服 亦效(得效).

지나치게 토하고 설사하여 팔다리가 싸늘하고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데는

천남성가루 12g, 대추 3알, 생강 5쪽을 달여 몹시 뜨겁게 하여 먹는데 한번만 먹어도 효과가 있다.

혹은 끼무릇가루를 생강즙에 타서 먹거나 백반가루 4g을 끓는 물에 타 먹어도 효과가 있다[득효].  

 

 

'[雜病篇] > [霍亂]' 카테고리의 다른 글

[霍亂後煩渴][곽란후번갈]  (0) 2020.08.09
[霍亂後轉筋][곽란후전근]  (0) 2020.08.09
[乾霍亂治法][건곽란치법]  (0) 2020.08.06
[霍亂有乾有濕][곽란유건유습]  (0) 2020.08.06
[脈法][맥법]  (0) 2020.08.06

[乾霍亂治法][건곽란치법]

吐利不得 謂之 乾霍亂.

乾霍亂者 忽然 心腹脹滿 刺痛 狀若神靈所附 吐利不得 頃刻之間 便致悶絶

急用 塩湯吐之 續以理中湯方見寒門 倍加橘紅 與之

或藿香正氣散方見寒門 加官桂 赤茯苓 枳殼 木瓜 煎服

或呑下蘇合香元方見氣門 尤妙(得效).

건곽란이라는 것은 토하지도 않고 설사도 하지 않는 것이다.

건곽란 때에는 갑자기 명치와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며 찌르는 듯이 아프며

토하지도 설사도 하지 않으면서 잠깐 사이에 답답해져 기절하게 된다.

이런 때에는 빨리 소금 끓인 물을 먹어 토하게 하고 곧 이중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약재에 귤홍을 곱으로 넣어 쓰거나 곽향정기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약재에 육계, 벌건솔풍령(적복령), 지각, 모과를 더 넣어 달여 먹는다.

그리고 소합향원을 먹으면 더욱 좋다[득효].

 

乾霍亂 最難治 邪在須臾 升降不通 故也.

當先吐 以提其氣之橫格 不可用 凉藥 宜二陳湯方見痰飮

加解散藥 川芎 蒼朮 防風 白芷之類 兼用薑塩湯(丹心).

건곽란은 치료하기 어렵고 잠깐 사이에 죽는 일이 있는데 그것은 기가 오르내리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런 때에는 먼저 토하게 하여 막힌 기를 통하게 해야 한다.

이때에는 성질이 찬약을 쓰지 말고 이진탕(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약재에

궁궁이(천궁), 삽주(창출), 방풍, 구릿대(백지) 등 해표시키는 약을 더 넣어 쓰고 강염탕도 겸해 쓴다[단심].

 

絞腸沙者 乃乾霍亂 一名 也 腹痛不可忍

或手足厥冷 乃腸胃絞縮 在腹也 急用塩湯 吐之(入門)

교장사(絞腸沙)라는 것은 건곽란을 달리 부르는 이름인데 

이때에는 참을 수 없이 배가 아프거나 손발이 싸늘하다. 

그것은 뱃속의 장위(腸胃)가 비틀려서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때에는 빨리 소금 끓인 물을 먹어 토하게 해야 한다[입문]. 

 

乾霍亂者 氣痞於中 吐利不得 所傷之物 壅閉正氣 關格陰陽 煩躁喘脹者 必死

急用 吐法 鍼委中出血 兼服治中湯方見寒門 藿香正氣散 必效(入門).

건곽란 때에는 기가 속에 막혀서 토하지도 설사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변질된 음식물은 정기를 막고 음기와 양기가 아래위로 막히게 한다.

그래서 번조증(煩躁證)이 나고 숨이 차며 배가 불러 올라 죽게 되는데

이때에는 빨리 토하게 하는 방법을 쓰고 위중혈(委中穴)에 침을 놓아 피를 빼야 한다.

그리고 치중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나 곽향정기산을 겸하여 먹어야 한다.

그러면 반드시 낫는다[입문].

 

'[雜病篇] > [霍亂]' 카테고리의 다른 글

[霍亂後轉筋][곽란후전근]  (0) 2020.08.09
[濕霍亂治法][습곽란치법]  (0) 2020.08.07
[霍亂有乾有濕][곽란유건유습]  (0) 2020.08.06
[脈法][맥법]  (0) 2020.08.06
[霍亂形證][곽란형증]  (0) 2020.08.06

[霍亂有乾有濕][곽란유건유습]

此病 有乾霍亂 濕霍亂.

乾霍亂 死者 多, 濕霍亂 死者 少.

盖吐利 則所傷之物 得以泄出 雖甚重胃中 水穀泄盡 則止矣, 所以死者 少也.

乾霍亂 死者 多者 以其上不得吐 下不得利 則所傷之物

不得出泄 壅閉正氣 膈絶陰陽 煩擾悶躁 喘脹而死矣(明理).

곽란에는 건곽란과 습곽란이 있다.

건곽란(乾 亂) 때에는 죽는 경우가 많고 습곽란(濕 亂) 때에는 죽는 경우가 적다.

대체로 토하고 설사하면 변질된 음식물이 나가기 때문에

병이 몹시 중하다가도 장위 속의 음식물이 다 나가면 낫는다.

그러므로 죽는 경우가 적다.

건곽란 때에 죽는 경우가 많은 것은 위로 토하지도 못하고

아래로 설사도 하지 못하여 변질된 음식물이 나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정기(正氣)가 막혀서 음기와 양기가 끊어지고 답답하여

안절부절 못하며 안타까워 날치고 숨이 차며 배가 불러 오른다[명리].

'[雜病篇] > [霍亂]'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濕霍亂治法][습곽란치법]  (0) 2020.08.07
[乾霍亂治法][건곽란치법]  (0) 2020.08.06
[脈法][맥법]  (0) 2020.08.06
[霍亂形證][곽란형증]  (0) 2020.08.06
[霍亂之因][곽란지인]  (0) 2017.07.15

[脈法][맥법]

霍亂 脈浮洪 可救, 脈微遲 而不語 氣少 則難瘥(得效).

곽란( 亂) 때에 맥이 부홍(浮洪)하면 나을 수 있고

미지(微遲)하면서 말을 하지 못하고 기운이 적으면 치료하기 어렵다[득효].

 

脈多伏 或絶(丹心).

곽란의 맥(脈)은 대체로 복(伏)한데 끊어지기도 한다[단심].

 

脈代者 霍亂代而亂者 亦霍亂

又關脈滑 爲霍亂吐瀉 又滑而不勻 必是霍亂吐瀉之候 脈代勿訝(醫鑑).

맥이 대(大)하면 곽란이고 대하면서 산만한 것도 또한 곽란이다.

또 관맥(關脈)이 활하면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며

또 활(滑)하면서 고르지 않아도 역시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할 증상이다.

맥이 대하면 더 의심하지 않아도 된다[의감].

 

滑數 爲嘔, 代者 霍亂, 微滑者 生, 澁數 凶斷(脈訣).

맥이 활삭(滑數)하면 구역이 나고 대하면 곽란이 생기며 미활(微滑)해지면 낫는다.

그리고 맥이 삽삭(澁數)하면 나쁘다[맥결].

 

脈微而澁 或代而散 或隱而伏 或大而虛 或結或促 或代 皆不可斷以死 脈亂故也(正傳).

맥이 미하면서 삽하거나 대하면서 산(散)하거나

혹 은(隱)하면서 복(伏)하거나 대하면서 허하거나

결맥(結脈), 촉맥(促脈), 대맥(代脈)이 나타나는 것은 다 죽을 수 있다.

그것은 맥이 다 산만하기 때문이다[정전].

 

脈浮大而洪 可救, 微弱而遲 難救(正傳).

맥이 부대(浮大)하면서 홍(洪)하면 나을 수 있고 미약하면서 지(遲)하면 낫기 어렵다[정전].

'[雜病篇] > [霍亂]'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濕霍亂治法][습곽란치법]  (0) 2020.08.07
[乾霍亂治法][건곽란치법]  (0) 2020.08.06
[霍亂有乾有濕][곽란유건유습]  (0) 2020.08.06
[霍亂形證][곽란형증]  (0) 2020.08.06
[霍亂之因][곽란지인]  (0) 2017.07.15

[霍亂形證][곽란형증]

霍亂證 心腹卒痛 嘔吐 下利 憎寒 壯熱 頭痛 眩暈.

先心痛 則先吐, 先腹痛 則先利, 心腹俱痛 吐利竝作, 甚則轉筋入腹 卽死(正傳).

곽란의 증상은 명치와 배가 갑자기 아프고 토하며 설사하고 오한이 나며

열이 계속 나고 머리가 아프며 어지러운 것이다.

먼저 명치가 아프면 먼저 토하게 되고 먼저 배가 아프면 먼저 설사하게 되며

명치와 배가 동시에 아프면 토하고 설사하게 된다.

심하면 힘줄이 뒤틀리게 되는데 이것이 뱃속으로 들어가면 곧 죽는다[정전].

 

三焦 爲水穀之道路.

邪在上焦 則吐而不利, 邪在下焦 則利而不吐, 邪在中焦 則吐利竝作 因飮食不絶 淸濁相干

陰陽乖膈 輕者 只曰吐利 重者 揮霍變亂 乃曰 霍亂 因邪入脾胃 故發爲吐利(入門).

3초(三焦)는 음식물이 통하는 길이기 때문에 병이 상초(上焦)에 있으면 토하기만 하고 설사는 하지 않는다.

병이 하초(下焦)에 있으면 설사만 하고 토하지는 않으며 병이 중초에 있으면 동시에 토하고 설사하게 된다.

곽란( 亂)이라는 것은 음식을 조절하지 못해서 맑은 기운과 흐린 기운이 서로 뒤섞여져

음기와 양기가 가로 막혀서 생긴 병이다.

그러므로 경(輕)할 때에는 토하고 설사하며 중(重)할 때에는

온몸을 휘두르고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곽란이라고 한다.

곽란이라는 것은 사기가 비위(脾胃)에 들어가서 생긴 것이므로 토하고 설사하게 되는 것이다[입문].

 

霍亂一證 夏秋爲多 寒月亦有之 盖有伏暑而作(入門).

곽란 한증[ 亂一證]은 여름과 가을에 많고 추운 때에도 있으나 대체로 복서(伏暑)로 말미암아 생긴다[입문].

 

人之藏府 冷熱不調 或飮食不絶 生冷過多 或起居失宜 露臥當風 使風冷之氣

歸於三焦 傳於脾胃脾胃得冷 不能消化水穀 致令眞邪相干 飮食變亂 於腸胃之間,

心腹疼痛 發作吐利. 有心痛 而先吐者, 有腹痛 而先利者, 有吐利俱發者, 有發熱 頭痛 體疼而復吐利 虛煩者,

或但吐利 心腹刺痛者, 或轉筋拘急 疼痛者, 或但嘔而無物出者, 或四肢逆冷 煩悶昏塞 而欲死者 隨證治之(得效).

5장 6부에 냉과 열이 고르지 못하고 음식을 조절하여 먹지 못하거나 생것과 찬 것을 지나치게 먹거나

혹 일상생활을 잘 하지 못하고 한지에서 자면서 이슬과 찬바람을 맞으면 바람과 찬 기운이 3초(三焦)에 들어가게 된다.

이것이 비위에 전해지면 비위(脾胃)가 차져서 음식물을 소화시키지 못하게 된다.

진기(眞氣)와 사기(邪氣)가 서로 뒤섞이면 장위(腸胃)에서

음식물이 변질되어 명치와 배가 아프고 토하며 설사하게 된다.

명치가 아프면 먼저 토하고 배가 아프면 먼저 설사하는데 동시에 토하고 설사할 때도 있다.

그리고 열이 나고 머리와 몸이 아프며 토하고 설사하며 허번(虛煩)이 생기기도 한다.

혹 토하고 설사하면서 명치와 배가 찌르는 듯이 아프거나 힘줄이 뒤틀리고 가드라들면서 아프거나 구역을 하나

아무 것도 나오지 않거나 혹 팔다리가 싸늘하고 안타깝게 답답하며 정신이 혼미하여 죽을 것같이 되는 때도 있는데

이때에는 다 증상에 따라 치료해야 한다[득효].

'[雜病篇] > [霍亂]'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濕霍亂治法][습곽란치법]  (0) 2020.08.07
[乾霍亂治法][건곽란치법]  (0) 2020.08.06
[霍亂有乾有濕][곽란유건유습]  (0) 2020.08.06
[脈法][맥법]  (0) 2020.08.06
[霍亂之因][곽란지인]  (0) 2017.07.15

[霍亂之因][곽란지인] 

內經(六元正紀大論篇 第七十一)曰 土鬱之發 民病 嘔吐 霍亂 注下.
又 (六元正紀大論篇 第七十一)曰 太陰所至 爲中滿 霍亂 吐下.
又(氣交變大論篇 第六十九)曰
歲土不及 風乃大行 民病飱泄 霍亂 體重 腹痛筋骨 搖倂.
내경에는 “비기(脾氣)가 울체되면 토하고 곽란이 생겨 설사한다”고 씌어 있다.
그리고 또한 태음(太陰)이 주관하는 해가 되면 속이 그득하고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한다고 하였고
또한 토(土)가 불급(不及)되는 해에는 바람이 몹시 불고 삭지 않은 설사를 하며
곽란이 생기고 몸이 무거우며 배가 아프고 힘줄과 뼈가 가드라든다고 씌어 있다.
霍亂之病 皆因飮食 非關鬼邪(千金).
곽란이라는 것은 다 음식으로 생기는 것이지 귀사로 생기는 것은 아니다[천금].
內有所積 外有所感 陽不升 陰不降 乖膈而成 非因鬼邪 

皆飮食所致 此先哲確論也(丹心).
곽란이라는 것은 속에 뭉친 것이 있을 때 겉으로 감촉되면
양기는 오르지 못하고 음기는 내리지 못하게 되어 위아래가 막혀서 생기는
병이지 귀사(鬼邪)로 생기는 병이 아니다.
그리고 그 원인은 다 음식에 상한 데 있다고 옛사람들은 말하였다.
이것은 옳은 말이다[단심].
霍亂者 揮霍變亂也.
凡人 內素有鬱熱 外又感寒 一時 陰陽錯亂 然病本 飮食失節 生冷過度
以致濕熱內甚 中焦失運 不能升降 是以上吐下瀉(入門).
곽란이라는 것은 온몸이 휘둘려서 정상생리가 파탄되어 생긴 것이다.
이것은 속에 열이 몰려 있을 때 겉으로 찬 기운에 감촉되어 일시에
음(陰)과 陽이 뒤섞인 것이다.
그러나 병은 본래 음식을 절도없이 먹거나 생것,
찬 것을 지나치게 먹어서 습열이 속에 몹시 성해져
중초의 작용이 장애되어 기가 잘 오르내리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그러므로 위로는 토하고 아래로는 설사하게 되는 것이다[입문].
霍亂 或因飮食 或冒寒或失飢 

或大怒或乘舟車 傷動胃氣 令人吐瀉倂作 用藥遲緩 須臾不救(華佗).
곽란이라는 것은 찬 음식을 먹었거나 추위를 억지로 견디어 냈거나
지나치게 배고팠거나 몹시 성냈거나 배나 차를 타고 멀미를 하여
위기(胃氣)가 상하면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토하고 설사하게 된다.
이때에는 빨리 약을 쓰지 않으면 살리기 어렵다[화타].
霍亂 多責於熱 故夏秋爲盛(入門).
곽란이라는 것은 대체로 열에 의해서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여름과 가을철에 많다[입문].
霍亂之病 由風 濕 暍 三氣之合成也.
風者 肝木也, 濕者 脾土也. 暍者 心火也.
肝主筋 故風急 甚則轉筋也, 吐者 暍也,
心火炎上 故嘔吐也, 泄者 脾土也, 脾濕下流 故泄瀉也.
[啓玄子]曰 皆脾熱所生也. 斯言爲正(子和).
곽란이라는 것은 풍(風)과 습(濕), 더위 이 3가지 기가 뒤섞여져서 생기는 것이다.
풍이라는 것은 간목(肝木)과 연관되는 것이고 습이라는 것은
비토(脾土)와 연관되는 것이며 더위는 심화(心火)와 연관되는 것이다.
간은 힘줄을 주관하기 때문에 풍증이 심해지면 힘줄이 뒤틀리게 된다.
토하는 것은 더위 때문이다.
심화가 타오르면 토하게 된다.
설사하는 것은 비토 때문이다.
비습이 아래로 내려가면 설사하게 된다.
계현자(啓玄子)가 곽란이라는 것은 다 비(脾)에 열이 있으면 생긴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옳은 말이다[자화].

'[雜病篇] > [霍亂]'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濕霍亂治法][습곽란치법]  (0) 2020.08.07
[乾霍亂治法][건곽란치법]  (0) 2020.08.06
[霍亂有乾有濕][곽란유건유습]  (0) 2020.08.06
[脈法][맥법]  (0) 2020.08.06
[霍亂形證][곽란형증]  (0) 2020.08.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