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異香四神散][이향사신산]

婦人氣盛於血所以無子且變生諸證 頭暈膈滿

香附子16g   陳皮12g   烏藥8g   甘草4g,

剉作一貼 入薑三片 棗二枚 水煎服(濟陰).

향부자 16g, 귤껍질(陳皮) 12g, 오약 8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제음].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製香附丸][사제향부환]  (0) 2022.08.12
[滋陰百補丸][자음백보환]  (0) 2022.08.11
[抑氣散][억기산]  (0) 2022.08.09
[甘麥大棗湯][감맥대조탕]  (0) 2022.08.06
[茯神黃芪湯][복신황기탕]  (0) 2022.08.04

[抑氣散][억기산]

婦人氣盛於血 所以無子 且變生諸證 頭暈膈滿

香附子160g 陳皮80g 茯神 甘草40g,

爲末 每8g 沸湯 點服(入門).

향부자 160g, 귤껍질(陳皮) 80g, 복신, 감초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인 물에 타 먹는다[입문].

[甘麥大棗湯][감맥대조탕]

治藏燥證

甘草40g 小麥3大棗7,

剉作一貼 水2升 煎至一升 溫服. 産前産後 皆可用(仲景).

감초 40g, 3, 대추 7.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 2되에 달여

1되가 되면 따뜻하게 하여 먹되 산전 산후에 다 쓸 수 있다[중경].

 

鄕里 有一婦人 數欠無故悲泣不止 或謂之有祟 祈?請禱 皆不應,

予急治 甘麥大棗湯 服三貼而愈(本事).

고향에 있는 한 부인이 자주 하품을 하며 특별한 원인이 없이 계속 울고 있었다.

사람들은 헛것에 들린 병이라고 하면서 빌라고 하여 빌었으나 다 낫지 않았다.

내가 급히 그에게 감맥대조탕 3첩을 먹였더니 병이 나았다[본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異香四神散][이향사신산]  (0) 2022.08.10
[抑氣散][억기산]  (0) 2022.08.09
[茯神黃芪湯][복신황기탕]  (0) 2022.08.04
[加味麥戈 麴丸][가미익국환]  (0) 2022.08.03
[麥戈 麴保和丸][익국보화환]  (0) 2022.08.02

[茯神黃芪湯][복신황기탕]

治寡婦師尼病

茯神 羗活 蔓荊子 防風 薏苡仁 黃芪 五味子 麥門冬 石菖蒲 黃芩4g

甘草2g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복신, 강호리(강활), 순비기열매(만형자), 방풍, 율무쌀(의이인),

단너삼(황기), 오미자, 맥문동, 석창포,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抑氣散][억기산]  (0) 2022.08.09
[甘麥大棗湯][감맥대조탕]  (0) 2022.08.06
[加味麥戈 麴丸][가미익국환]  (0) 2022.08.03
[麥戈 麴保和丸][익국보화환]  (0) 2022.08.02
[芎朮丸][궁출환]  (0) 2022.08.01

[加味麥戈 麴丸][가미익국환]

解諸鬱 開胸膈 進飮食,

蒼朮泔浸薑汁炒 蕪芎 便香附 神麴梔子炒 各160g

陳皮去白 白朮黃芩炒 各60g

山査肉80g

爲末 稀糊和 丸梧子大, 白湯下5060(醫鑒).

여러 가지 울증을 풀어 주고 가슴을 시원하게 하며 음식을 잘 먹게 한다.

삽주(창출, 쌀 씻은 물에 담갔다가 생강즙에 축여 볶은 것), 궁궁이(천궁), 향부자(동변에 법제한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산치자(치자, 닦은 것) 각각 160g,

귤껍질(귤피, 흰속을 버린 것), 흰삽주(백출, 닦은 것), 속썩은풀(황금, 닦은 것) 각각 60g,

찔광이(山 肉, 찐 것) 8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묽은 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60알씩 끓인 물로 먹는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甘麥大棗湯][감맥대조탕]  (0) 2022.08.06
[茯神黃芪湯][복신황기탕]  (0) 2022.08.04
[麥戈 麴保和丸][익국보화환]  (0) 2022.08.02
[芎朮丸][궁출환]  (0) 2022.08.01
[六鬱湯][육울탕]  (0) 2022.07.31

[麥戈 麴保和丸][익국보화환]

開鬱 行氣 消積 散熱

白朮120g 山査肉80g

蒼朮 川芎 神麴炒 便香附 陳皮 半夏 白茯苓 枳實 黃連酒炒 當歸酒洗各40g

梔子炒 連翹 蘿葍子炒 木香各20g.

爲末 薑汁泡蒸餠和 丸梧子大 薑湯下50(醫鑒).

울증을 풀어 주고 기를 돌게 하며 적()을 삭이고 열을 내린다.

흰삽주(백출) 120g, 찔광이(山 肉) 80g,

삽주(창출), 궁궁이(천궁), 약누룩(신국, 닦은 것), 향부자(동변에 법제한 것),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지실, 황련(술에 축여 볶은 것),

당귀(술에 씻은 것) 각각 40g,

산치자(치자, 닦은 것), 연교, 무씨(나복자, 닦은 것), 목향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생강즙에 불린 증병(蒸餠)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알씩 생강을 달인 물로 먹는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茯神黃芪湯][복신황기탕]  (0) 2022.08.04
[加味麥戈 麴丸][가미익국환]  (0) 2022.08.03
[芎朮丸][궁출환]  (0) 2022.08.01
[六鬱湯][육울탕]  (0) 2022.07.31
[六鬱湯][육울탕]  (0) 2022.07.31

[麥戈 麴丸][익국환]

解諸鬱

蒼朮 便香附 川芎 神麴炒 梔子炒各等分

爲末,水和丸, 如菉豆大, 溫水下, 710(丹心).

여러 가지 울증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향부자(동변에 법제한 것), 궁궁이(천궁),

약누룩(신국, 닦은 것), 산치자(치자, 닦은 것)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서 물에 반죽하여 녹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70-90알씩 따뜻한 물로 먹는다[단심].

麥戈 音戈, 細麪也. 麥戈 ,

[一名] [芎朮丸] 凡願欲不遂,如寡婦僧道之類,名利不遂,

或先富後貧,或久病不愈者 皆宜服此(入門).

익국환이란 보드라운 밀가루()라는 말이다)을 일명 궁출환(芎朮丸)이라고도 한다.

대체로 과부나 중들이 소원을 풀지 못하였거나 명예나 출세욕을 실현하지 못하였거나

부자가 가난해진 것으로 하여 생긴 병일 때와 병이 오랫동안 끌면서 낫지 않을 때에는

다 이 약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麥戈 麴丸][가미익국환]  (0) 2022.08.03
[麥戈 麴保和丸][익국보화환]  (0) 2022.08.02
[六鬱湯][육울탕]  (0) 2022.07.31
[六鬱湯][육울탕]  (0) 2022.07.31
[抑陰地黃丸][억음지황환]  (0) 2022.07.30

[六鬱湯][육울탕]

通治六鬱

香附子 二錢

川芎 蒼朮 各一錢半

陳皮 半夏製 各一錢

赤茯巔 梔子仁 各七分

縮砂 甘草 各五分

右犫作一貼 薑三 水煎服[丹心]

6가지 울증을 두루 치료한다.

향부자 8g,

궁궁이(천궁), 삽주(창출) 각각 6g,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각각 4g,

벌건솔풍령(적복령), 산치자(치자) 각각 2.8g,

사인,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먹는다[단심].

 

氣鬱加 木香 檳峹 烏藥 紫蘇葉

濕鬱加 白朮 羌活 防己

熱鬱加 黃連 連翹

痰鬱加 南星 瓜蔞仁 海粉

血鬱加 桃仁 牡丹皮 堛汁

食鬱加 山擀子 神塂 麥芽[入門]

기울(氣鬱)에는 목향, 빈랑, 오약, 차조기잎(자소엽)을 더 넣는다.

습울(濕鬱)에는 흰삽주(백출), 강호리(강활), 방기를 더 넣는다.

열울(熱鬱)에는 황련, 연교를 더 넣는다.

담울(痰鬱)에는 천남성(南星), 하늘타리씨(과루인), 조가비가루(海粉)를 더 넣는다.

혈울(血鬱)에는 복숭아씨(도인), 모란뿌리껍질(목단피), 부추즙( )을 더 넣는다.

식울(食鬱)에는 찔광이(산사자),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을 더 넣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麥戈 麴保和丸][익국보화환]  (0) 2022.08.02
[芎朮丸][궁출환]  (0) 2022.08.01
[六鬱湯][육울탕]  (0) 2022.07.31
[抑陰地黃丸][억음지황환]  (0) 2022.07.30
[芙蓉散][부용산]  (0) 2022.07.29

[六鬱湯][육울탕]

開諸鬱火

便香附 蒼朮 神麴 梔子 連翹 陳皮 川芎 赤茯苓 貝母 枳殼 紫蘇葉各4g

甘草2g.

剉作一貼,入薑三,水煎服(醫鑒)

여러 가지 울화(鬱火)를 치료한다.

향부자(동변에 법제한 것), 삽주(창출), 약누룩(신국), 산치자(치자), 연교, 귤껍질(陳皮),

궁궁이(천궁), 벌건솔풍령(적복령), 패모, 지각,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먹는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朮丸][궁출환]  (0) 2022.08.01
[六鬱湯][육울탕]  (0) 2022.07.31
[抑陰地黃丸][억음지황환]  (0) 2022.07.30
[芙蓉散][부용산]  (0) 2022.07.29
[柴胡抑肝湯][시호억간탕]  (0) 2022.07.28

[抑陰地黃丸][억음지황환]

治寡婦勞證

生乾地黃80g 赤芍藥40g 柴胡 黃芩 秦芃20g

爲末 蜜丸 梧子大 梅湯下 3050(入門).

과부의 허로증을 치료한다.

생건지황 80g, 함박꽃뿌리(적작약) 40g, 시호, 속썩은풀(황금), 진교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50알씩 오매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鬱湯][육울탕]  (0) 2022.07.31
[六鬱湯][육울탕]  (0) 2022.07.31
[芙蓉散][부용산]  (0) 2022.07.29
[柴胡抑肝湯][시호억간탕]  (0) 2022.07.28
[熟乾地黃散][숙건지황산]  (0) 2022.07.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