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合湯][삼합탕]

治婦人虛勞 鍼灸不效者

白朮 當歸 白芍藥 黃芪 白茯苓 熟地黃 川芎 4g

柴胡 人參 3g

黃芩 半夏 甘草 2g

剉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保命).

卽八物湯合小柴胡湯 三方合劑也,

一名[三分散](入門).

부인의 허로증에 침과 뜸으로 효과를 보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단너삼(황기), 흰솔풍령(백복령), 찐지황(숙지황), 궁궁이(천궁) 각각 4g,

시호, 인삼 각각 3g,

속썩은풀(황금), 끼무릇(반하), 감초 각각 2.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보명].

즉 팔물탕에 소시호탕을 합한 것이다.

사물탕, 사군자탕, 소시호탕 등 3개 처방을 합친 것이다.

일명 삼분산(三分散)이라고도 한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橘歸丸][귤귀환]  (0) 2022.08.21
[三分散][삼분산]  (0) 2022.08.20
[茯神湯][복신탕]  (0) 2022.08.19
[滋陰地黃丸][자음지황환]  (0) 2022.08.18
[滋血湯][자혈탕]  (0) 2022.08.17

[茯神湯][복신탕]

治婦人風虛 夢與鬼交 妄有所見 言語譫亂

白茯神6g

白茯苓 人參 石菖蒲4g

赤芍藥2g,

剉作一貼 水煎 空心服(醫鑒).

부인이 허해서 꿈에 헛것과 성교하며 헛것이 보인다고 허튼 소리하는 것을 치료한다.

백복신 6g,

흰솔풍령(백복령), 인삼, 석창포 각각 4g,

함박꽃뿌리(적작약)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分散][삼분산]  (0) 2022.08.20
[三合湯][삼합탕]  (0) 2022.08.20
[滋陰地黃丸][자음지황환]  (0) 2022.08.18
[滋血湯][자혈탕]  (0) 2022.08.17
[加味逍遙散][가미소요산]  (0) 2022.08.16

[滋陰地黃丸][자음지황환]

治虛勞吐衄 咳唾血 發熱痰嗽 盜汗心惴 或經水不調不痛

熟地黃薑汁浸焙160g

山茱萸 山藥 天門冬 麥門冬 生乾地黃酒洗 知母酒炒 貝母當歸酒洗 香附米童便浸炒各80g

白茯苓 牧丹皮 澤瀉60g,

爲末 蜜丸 梧子大 空心 塩湯 呑下100(醫鑒).

허로증으로 코피가 나오고 기침할 때 가래에 피가 섞여 나오며 열이 나고

가래가 끓으면서 기침하며 식은땀이 나고 가슴이 울렁거리며

월경이 고르지 못하거나 중단된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생강즙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160g,

산수유, (산약), 천문동, 맥문동, 생건지황(술로 씻은 것), 지모(술로 축여 볶은 것),

패모(닦은 것), 당귀(술로 씻은 것), 향부자(동변에 담갔다가 볶은 것) 각각 80g,

흰솔풍령(백복령), 모란뿌리껍질(목단피), 택사 각각 6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소금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合湯][삼합탕]  (0) 2022.08.20
[茯神湯][복신탕]  (0) 2022.08.19
[滋血湯][자혈탕]  (0) 2022.08.17
[加味逍遙散][가미소요산]  (0) 2022.08.16
[逍遙散][소요산]  (0) 2022.08.15

[滋血湯][자혈탕]

治婦人心肺俱損 血脈虛弱 皮聚毛落 或月水愆期

當歸 白芍藥 山藥 黃芪 熟地黃 6g

人參 川芎 白茯苓 3g,

剉作一貼 水煎 空心服(丹心).

부인이 심폐(心肺)가 모두 상하고 혈맥이 허약하여 피부에 주름살이 지며

머리털이 빠지며 혹 월경할 날짜를 어기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산약), 단너삼(황기), 찐지황(숙지황) 각각 6g,

인삼, 궁궁이(천궁),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단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茯神湯][복신탕]  (0) 2022.08.19
[滋陰地黃丸][자음지황환]  (0) 2022.08.18
[加味逍遙散][가미소요산]  (0) 2022.08.16
[逍遙散][소요산]  (0) 2022.08.15
[人參荊芥散][인삼형개산]  (0) 2022.08.14

[加味逍遙散][가미소요산]

治血虛 煩熱潮熱 盜汗 痰嗽似勞

白芍藥 白朮5g

知母 地骨皮 當歸4g

白茯苓 麥門冬 生地黃3g

梔子 黃栢2g

桔梗 甘草1g.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혈허(血虛)로 번열이 나며 조열이 있고 식은땀이 나며

가래가 끓으면서 기침하는 것이 허로증 같은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삽주(백출) 각각 4.8g,

지모, 지골피, 당귀 각각 4g,

흰솔풍령(백복령), 맥문동, 생지황 각각 3.2g,

산치자, 황백 각각 2g,

도라지(길경),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滋陰地黃丸][자음지황환]  (0) 2022.08.18
[滋血湯][자혈탕]  (0) 2022.08.17
[逍遙散][소요산]  (0) 2022.08.15
[人參荊芥散][인삼형개산]  (0) 2022.08.14
[七製香附丸][칠제향부환]  (0) 2022.08.13

[逍遙散][소요산]

治月經不調 及血虛 五心煩熱 寒熱如瘧

白芍藥 白茯苓 柴胡 當歸 麥門冬4g

甘草 薄荷2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入門).

월경이 고르지 않은 것과 혈허(血虛)로 손발바닥과 가슴에 번열이 나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이 학질과 같은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솔풍령(백복령), 시호, 당귀, 맥문동 각각 4g,

감초, 박하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滋血湯][자혈탕]  (0) 2022.08.17
[加味逍遙散][가미소요산]  (0) 2022.08.16
[人參荊芥散][인삼형개산]  (0) 2022.08.14
[七製香附丸][칠제향부환]  (0) 2022.08.13
[四製香附丸][사제향부환]  (0) 2022.08.12

[人參荊芥散][인삼형개산]

治血風體痛 寒熱盜汗 頰赤口乾 痰嗽胸滿

或月水不調 臍腹㽱痛 痃癖成塊

人參 荊芥 生乾地黃 柴胡 鱉甲 酸棗仁枳殼 羚羊角 白朮3g

桂心 川芎 當歸 防風 牧丹皮 赤芍藥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三片 煎服(入門).

혈풍(血風)으로 몸이 아프며 추웠다 열이 나고 식은땀이 나며

볼이 붉고 입이 마르며 가래가 끓으면서 기침하고 가슴이 그득한 증상과

혹 월경이 고르지 못하며 배꼽 주위가 몹시 아프고

현벽( )으로 덩어리가 생긴 것을 치료한다.

인삼, 형개, 생건지황, 시호, 자라등딱지(별갑), 메대추씨(산조인, 닦은 것), 지각, 영양각, 흰삽주(백출) 각각 3g,

계심, 궁궁이(천궁), 당귀, 방풍, 모란뿌리껍질(목단피), 함박꽃뿌리(적작약),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加味逍遙散][가미소요산]  (0) 2022.08.16
[逍遙散][소요산]  (0) 2022.08.15
[七製香附丸][칠제향부환]  (0) 2022.08.13
[四製香附丸][사제향부환]  (0) 2022.08.12
[滋陰百補丸][자음백보환]  (0) 2022.08.11

[七製香附丸][칠제향부환]

治月候不調 結成癥瘕 或骨蒸發熱

香附米525g. 7

1包 同當歸75g酒浸.

2包 同蓬朮75g,童便浸.

3包 同牧丹皮 艾葉各37.5g 米泔浸,

4包 同烏藥75g 米泔浸

5包 同川芎 玄胡索各37.5g 水浸,

6包 同三稜 柴胡各37.5g 醋浸,

7包 同紅花 烏梅 各37.5g塩水浸,

各浸 春5 3 7 10日 晒乾

只取香附 爲末 以浸藥水 打糊和 丸梧子大 臨臥 酒下80(入門).

월경이 고르롭지 못하고[不調] 징가가 생겨 혹 뼈가 찌는 것[蒸發]같이 다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썰은 것) 560g7몫으로 나눈다.

첫번째 몫은 당귀 80g과 같이 술에 담근다.

두번째 몫은 봉출 80g과 같이 동변(童便)에 담근다.

세번째 몫은 모란껍질(목단피), 약쑥잎(애엽) 각각 40g과 같이 쌀 씻은 물에 담근다.

네번째 몫은 오약 80g과 같이 쌀 씻은 물에 담근다.

다섯번째 몫은 궁궁이(천궁), 현호색 각각 40g과 같이 물에 담근다.

여섯번째 몫은 삼릉, 시호 각각 40g과 같이 식초에 담근다.

일곱번째 몫은 잇꽃(홍화), 오매 각각 40g과 같이 소금물에 담근다.

위의 약들을 각각 봄에는 5일 동안, 여름에는 3일 동안, 가을에는 7일 동안, 겨울에는 10일 동안씩 담가 두었다가 햇볕에 말려서 향부자만 가루를 내어 약을 담가 두었던 물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0알씩 잠잘 무렵에 술로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逍遙散][소요산]  (0) 2022.08.15
[人參荊芥散][인삼형개산]  (0) 2022.08.14
[四製香附丸][사제향부환]  (0) 2022.08.12
[滋陰百補丸][자음백보환]  (0) 2022.08.11
[異香四神散][이향사신산]  (0) 2022.08.10

[四製香附丸][사제향부환]

治月候不調 能調和經脈

香附米600g, 分作四製.

一用塩水 加薑汁浸煮略炒 主降痰.

一用米醋 浸煮略炒 主補血.

一用山梔仁150g 同炒去梔 主散鬱.

一用童便 洗過不炒 主降火 爲末 入川芎,當歸各75g.

同爲末 酒麪糊和 丸梧子大 每50~70.

隨證作湯 使呑下(種杏)

월경이 고르지 못한[不調] 것을 치료하는데 월경을 고르롭게[] 하도록 한다.

향부자(썰은 것) 600g4몫으로 나누어 법제한다.

한몫은 소금물을 섞은 생강즙에 담갔다가 달여서 약간 볶아 쓰는데 주로 담()을 내린다.

한몫은 쌀초[米醋]에 담갔다가 달여서 약간 볶아 쓰는데 주로 혈을 보한다.

한몫은 산치자 160g과 함께 닦아서 산치자는 버리고 쓰는데 주로 몰리고 맺힌 것[]을 헤친다[].

한몫은 볶지 않고 동변(童便)에 씻어서 쓰는데 주로 화()를 내린다.

위의 약을 가루를 내어 궁궁이(천궁)와 당귀가루 각각 80g씩과 함께 술에 쑨 밀가루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g씩 증상에 따라 쓰는 달임 약물(作湯)로 먹는다[종행].

香附米600g,分四包 用酒,,童便,塩水 各浸7

焙乾 擣末 醋糊和 丸梧子大 塩酒 呑下(入門).

입문에는 향부자(썰은 것) 600g4몫으로 나누어

, 식초, 동변, 소금물에 각각 7일 동안씩 담가 두었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려 가루를 낸 다음 식초에 쑨 풀에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소금물이나 술로 먹는다고 씌어 있다.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參荊芥散][인삼형개산]  (0) 2022.08.14
[七製香附丸][칠제향부환]  (0) 2022.08.13
[滋陰百補丸][자음백보환]  (0) 2022.08.11
[異香四神散][이향사신산]  (0) 2022.08.10
[抑氣散][억기산]  (0) 2022.08.09

[滋陰百補丸][자음백보환]

治氣血不足 乍寒乍熱 不思飮食 几王羸無力

四製香附320g

益母草末160g 當歸120g 川芎 熟地黃 白朮80g

白芍藥60g 白茯 人參 玄胡索40g 甘草20g,

爲末 蜜丸 梧子大 或酒 或醋湯 或白湯下5070(入門).

기혈이 부족하여 잠깐 추웠다 잠깐 열이 났다 하며

입맛이 없고 몹시 여위며 힘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가루(4가지로 법제한 것, 법제하는 방법은 포문에 있다) 300g,

익모초가루 160g,    당귀 120g,

궁궁이(천궁), 찐지황(숙지황), 흰삽주(백출) 각각 80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60g,

흰솔풍령(백복령), 인삼, 현호색 각각 40g,

감초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술이나 식초를 두고 끓인 물이나 다만 끓인 물에 타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製香附丸][칠제향부환]  (0) 2022.08.13
[四製香附丸][사제향부환]  (0) 2022.08.12
[異香四神散][이향사신산]  (0) 2022.08.10
[抑氣散][억기산]  (0) 2022.08.09
[甘麥大棗湯][감맥대조탕]  (0) 2022.08.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