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調經散][소조경산]

治産後浮腫

當歸40g

桂心 赤芍藥20g

沒藥 琥珀 甘草8g

細辛 麝香2g

爲末 每4g 溫酒 入薑汁調服(良方).

해산 후의 부종을 치료한다.

당귀 40g,

계심, 함박꽃뿌리(작약) 20g,

몰약, 호박, 감초 각각 8g,

족두리풀(세신), 사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생강즙을 탄 데운 술에 타 먹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君子湯加味][사군자탕가미]  (0) 2022.07.12
[正脾散][정비산]  (0) 2022.07.11
[大調經散][대조경산]  (0) 2022.07.09
[滋腸五仁丸][자장오인환]  (0) 2022.07.07
[蘇麻粥][소마죽]  (0) 2022.07.06

[大調經散][대조경산]

治産後浮腫 喘急 尿澁

黑豆40g`茯神20g 琥珀4g,

爲末 烏頭紫蘇葉煎湯 調下8g(良方).

해산 후의 부종과 창만, 숨이 차고 오줌이 잘 나가지 않는 것 등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닦은 것) 40g, 복신 20g, 호박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검정콩과 차조기잎(자소엽)을 넣고 달인 물에 타 먹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正脾散][정비산]  (0) 2022.07.11
[小調經散][소조경산]  (0) 2022.07.10
[滋腸五仁丸][자장오인환]  (0) 2022.07.07
[蘇麻粥][소마죽]  (0) 2022.07.06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2.07.05

[滋腸五仁丸][자장오인환]

治産後 陰血虛耗 大便閉澁

橘紅160g 杏仁 桃仁40g

栢子仁20g 松子仁10g 郁李4g

爲各另硏爲膏 合橘紅末 蜜丸 梧子大 米飮下5060(正傳).

해산 후에 음혈이 허해지고 줄어들어서 대변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귤홍가루 160g, 살구씨(행인), 복숭아씨(도인) 각각 40g,

측백씨(백자인) 20g, 잣씨(해송자) 10g, 이스라치씨(욱리인) 4g.

위의 약들에서 귤홍가루만 내놓고 나머지 약들을 각각 따로 가루를 내어 고약처럼 만든다.

여기에 귤홍가루를 섞어서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60알씩 미음에 풀어 먹는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調經散][소조경산]  (0) 2022.07.10
[大調經散][대조경산]  (0) 2022.07.09
[蘇麻粥][소마죽]  (0) 2022.07.06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2.07.05
[的奇散][적기산]  (0) 2022.07.04

[蘇麻粥][소마죽]

順氣 滑大便 治老人虛人 風秘 血秘 大便艱澁 婦人産後便秘 皆宜服之

蘇子 麻子不拘多少等分

同擣爛, 和水濾, 取汁,

粳米末, 少許, 同煮, 作粥食之, 久服尤佳.(本事)

기를 잘 돌게 하고 대변을 잘 나가게 하는데

늙은이와 허한 사람이 풍비(風秘)와 혈비(血秘)로 대변 보기 힘든 것과 몸푼 뒤에 생긴 변비를 치료한다.

차조기씨(자소자), 삼씨(마자인)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짓찧어 물에 넣고 걸러서 즙을 짠다. 

여기에 입쌀가루(粳米末)를 좀 넣고 죽을 쑤어 먹는다. 오랫동안 먹으면 더 좋다[본사].

 

一老婦, 忽爾腹痛 頭痛 惡心 不食,

正是老人風秘, 藏府壅滯, 氣聚胸中則腹脹 惡心 不欲食 上至於巓則頭痛 神不淸,

服此粥 兩啜而氣泄下, 結糞十餘枚, 藏府流暢, 諸疾 自去矣(本事).

어떤 늙은 부인이 갑자기 배와 머리가 아프고 메스꺼워서[惡心] 먹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풍으로 대변이 막힌 것[風秘] 때문이었다.

기가 가슴 속에 몰리면 배가 불러 오르면서 메스꺼워 먹으려고 하지 않는다.

그 기가 위[]로 정수리까지 올라가면 머리가 아프고 정신이 깨끗하지 못하다.

이때에 이 죽을 두번 먹으면 기가 빠지면서 굳은 대변 덩어리[結糞] 10여 개가 나온 다음

대변이 시원하게 나오면서[藏府流暢] 여러 가지 병이 저절로 낫는다[본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調經散][대조경산]  (0) 2022.07.09
[滋腸五仁丸][자장오인환]  (0) 2022.07.07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2.07.05
[的奇散][적기산]  (0) 2022.07.04
[産後泄痢][산후설리]  (0) 2022.07.03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産後 月內 痢 宜鴨子煎方見上,

四物湯 桃仁 黃連 木香主之(入門).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滋腸五仁丸][자장오인환]  (0) 2022.07.07
[蘇麻粥][소마죽]  (0) 2022.07.06
[的奇散][적기산]  (0) 2022.07.04
[産後泄痢][산후설리]  (0) 2022.07.03
[黃芪芍藥湯][황기작약탕]  (0) 2022.07.02

[的奇散][적기산]

治産後泄瀉 惡露不行 此餘血滲入大腸爲瀉下靑黑色物 是驗

大荊芥穗於盞內燃火燒存性 不得犯 油火 入麝香少許

硏爲末 每取 4g 沸湯 一二呷 調服 神效(得效).

해산 후의 설사는 오로(惡露)가 다 나가지 못하고 남아 있으면서

대장(大腸)으로 들어가서 생기는데 이때 검푸른 빛의 설사가 나간다.

이것을 치료하여 효과를 보았다.

형개수(약성이 남게 태우되 기름불을 쓰지 않는다), 사향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4g씩 끓는 물에 타서 한두번 마시면 잘 낫는다[득효].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蘇麻粥][소마죽]  (0) 2022.07.06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2.07.05
[産後泄痢][산후설리]  (0) 2022.07.03
[黃芪芍藥湯][황기작약탕]  (0) 2022.07.02
[桑螵蛸散][상표초산]  (0) 2022.07.01

[産後泄痢][산후설리]

해산 후의 설사와 이질

産後泄瀉 宜的奇散.

産後 月內 痢 宜鴨子煎 方見上 子痢,

四物湯 方見上 産後陰脫 加桃仁 黃連 木香主之(入門).

當歸芍藥散 方見下 姙娠通治 亦可

해산 후의 설사에는 적기산(的奇散)을 쓰는 것이 좋다.

해산 후 한 달이 되기 전에 생긴 이질에는 압자전(鴨子煎, 처방은 위에 있다)

또는 사물탕에 복숭아씨(도인)와 황련, 목향을 더 넣어 쓴다[입문].

당귀작약산(當歸芍藥散, 처방은 두루 치료하는 문에 있다)도 쓸 수 있다.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2.07.05
[的奇散][적기산]  (0) 2022.07.04
[黃芪芍藥湯][황기작약탕]  (0) 2022.07.02
[桑螵蛸散][상표초산]  (0) 2022.07.01
[茅根湯][모근탕]  (0) 2022.06.30

[黃芪芍藥湯][황기작약탕]

治 産後遺尿不禁

黃芪 當歸尾 白芍藥6g

白朮4g 人參 陳皮2g 甘草1g

剉作一貼 水煎 空心服(三因).

해산 후 유뇨증과 오줌을 참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당귀(잔뿌리),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6g,

흰삽주(백출) 4g, 인삼, 귤껍질(陳皮) 각각 2g, 감초(닦은 것)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삼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的奇散][적기산]  (0) 2022.07.04
[産後泄痢][산후설리]  (0) 2022.07.03
[桑螵蛸散][상표초산]  (0) 2022.07.01
[茅根湯][모근탕]  (0) 2022.06.30
[參朮膏][삼출고]  (0) 2022.06.29

[桑螵蛸散][상표초산]

治産後淋數及遺尿

桑螵蛸15箇炒 鹿茸酥灸 黃芪60g

牡蠣粉 人參 赤石脂 厚朴40g

爲末 空心 以米飮調下 8g(雲岐).

又 桑螵蛸酒炒 爲末 薑湯調下 8g 亦效(綱目).

해산 후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과 유뇨증을 치료한다.

사마귀알집(상표초, 닦은 것) 15개,

녹용(연유를 발라 구운 것), 단너삼(황기) 각각 60g,

굴조개껍질(모려), 인삼, 적석지, 후박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운기].

또는 사마귀알집(상표초, 술로 축여 볶은 것)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생강 달인 물에 타 먹어도 효과가 있다[강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産後泄痢][산후설리]  (0) 2022.07.03
[黃芪芍藥湯][황기작약탕]  (0) 2022.07.02
[茅根湯][모근탕]  (0) 2022.06.30
[參朮膏][삼출고]  (0) 2022.06.29
[香靈丸][향령환]  (0) 2022.06.27

[茅根湯][모근탕]

治産後淋

白茅根160g 白茯苓80g

瞿麥 葵子 人參40g

蒲黃 桃膠 滑石 甘草20g

紫貝5箇 石首魚頭中石16,

爲末 每8g 木通蕩調下 或爲粗末12g 燈心同煎服 亦可(三因).

해산 후에 오줌이 잘 나오지 않으면서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띠뿌리(모근) 160g, 흰솔풍령(백복령) 80g,

패랭이꽃(구맥), 돌아욱씨(규자), 인삼 각각 40g,

부들꽃가루(포황), 복숭아나무진(도교), 곱돌(활석), 감초 각각 20g,

자패 5개, 조기대가리 속의 흰뼈(石水魚頭中石) 16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으름덩굴 달인 물에 타 먹거나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골풀속살(등심초)과 함께 달여 먹어도 좋다[삼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芪芍藥湯][황기작약탕]  (0) 2022.07.02
[桑螵蛸散][상표초산]  (0) 2022.07.01
[參朮膏][삼출고]  (0) 2022.06.29
[香靈丸][향령환]  (0) 2022.06.27
[拒勝湯][거승탕]  (0) 2022.06.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