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桃桂當歸丸][도계당귀환]

治産後 惡露方行 忽然斷絶 驟作寒熱 臍腹百脈 皆痛 狀如錐刺

桂心 赤芍藥各20g 當歸 桃仁 沒藥各10g 蝱虫 水蛭並炒各30枚

爲末 醋麪和 丸豌豆大 醋湯下30丸(良方).

해산 후에 오로(惡露)가 흐르다가 갑자기 멎고 추웠다 열이 나면서

배꼽 주위와 모든 경맥이 송곳으로 찌르는 것같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계심, 함박꽃뿌리(적작약) 각각 20g,

당귀, 복숭아씨(도인), 몰약 각각 10g,

등에, 거머리(수질, 둘 다 닦은 것) 각각 30개.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를 두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완두콩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30알씩 식초를 두고 끓인 물로 먹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沒藥散][몰약산]  (0) 2022.06.21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2.06.21
[五香連翹湯][오향연교탕]  (0) 2022.06.19
[桃仁湯][도인탕]  (0) 2022.06.18
[烏金散][오금산]  (0) 2022.06.17

[五香連翹湯][오향연교탕]

治癰疽 瘡癤 瘰癧 結核 一切毒腫

大黃4g

連翹 射干 獨活 升麻 桑寄生

沈香 藿香 木香 丁香 甘草 各3g

麝香1g

剉作一貼 水煎服, 以利爲度(丹心).

옹저, 창절(瘡癤), 나력( ), 멍울이 생기는 것, 여러 가지 독종을 치료한다.

대황 4g,

연교, 범부채(사간), 따두릅(독활), 승마, 뽕나무겨우살이(상기생),

침향, 곽향, 목향, 정향, 감초 각각 2.8g,

사향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설사가 날 때까지 먹는다[단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2.06.21
[桃桂當歸丸][도계당귀환]  (0) 2022.06.20
[桃仁湯][도인탕]  (0) 2022.06.18
[烏金散][오금산]  (0) 2022.06.17
[八味黑神散][팔미흑신산]  (0) 2022.06.17

[桃仁湯][도인탕]

治産後惡露方行 忽然斷絶 腰腹重痛 或流注腿股作痛

桃仁 蘇木 生地黃20g 蝱虫 水蛭並炒各30

粗末 每12g 1盞 煎至六分(60%)去滓溫服 惡血下卽止

如有大痛處 必作癰疽 宜取五香連翹湯 去大黃 水煎 入竹瀝 服之(良方).

해산 후에 오로(惡露)가 흐르다가 갑자기 멎으면서

허리와 배까지 아픈 것과 오로가 흐르면서 허벅다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복숭아씨(도인), 소목, 생지황 각각 20g,

등에, 거머리(수질, 둘 다 닦은 것) 각각 30개.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물 1잔에 넣고 6분이 되게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해서 먹되 궂은 피가 흐르면 약을 끊는다.

만일 몹시 아픈 곳이 있으면 그곳에 옹저(癰疽)가 생긴 것이므로

오향련교탕(五香連翹湯)에서 대황을 빼고 물에 달인 다음 참대기름을 타 먹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桃桂當歸丸][도계당귀환]  (0) 2022.06.20
[五香連翹湯][오향연교탕]  (0) 2022.06.19
[烏金散][오금산]  (0) 2022.06.17
[八味黑神散][팔미흑신산]  (0) 2022.06.17
[血風湯][혈풍탕]  (0) 2022.06.14

[八味黑神散][팔미흑신산]

治産後惡露不盡 心胸臍腹 撮痛 及血迷 血暈

蒲黃 赤芍藥 乾薑 肉桂 當歸 熟地黃 甘草40g 

黑豆160g,

爲末 每8g 童便 溫酒 調下(仲景).

本方 加百草霜20g,

又名[烏金散] (得效).

해산 후 오로(惡露)가 다 나오지 않아 가슴과 배꼽 주위가 쥐어 비트는 것 같이 아픈 것과

혈미(血迷), 혈훈(血暈) 증 등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부들꽃가루(포황), 함박꽃뿌리(적작약), 건강, 육계, 당귀, 찐지황(숙지황), 감초 각각 40g,

검정콩(흑두, 닦은 것) 16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국방].

이 처방에 백초상(百草霜) 20g을 더 넣으면 오금산(烏金散)이라고 한다[득효].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五香連翹湯][오향연교탕]  (0) 2022.06.19
[桃仁湯][도인탕]  (0) 2022.06.18
[八味黑神散][팔미흑신산]  (0) 2022.06.17
[血風湯][혈풍탕]  (0) 2022.06.14
[防風當歸散][방풍당귀산]  (0) 2022.06.13

[八味黑神散][팔미흑신산]

治産後惡露不盡 心胸臍腹 撮痛 及血迷 血暈

蒲黃 赤芍藥 乾薑 肉桂 當歸 熟地黃 甘草40g 黑豆160g,

爲末 每8g 童便 溫酒 調下(仲景).

本方 加百草霜20g,

又名[烏金散] (得效).

해산 후 오로(惡露)가 다 나오지 않아 가슴과 배꼽 주위가 쥐어 비트는 것 같이 아픈 것과

혈미(血迷), 혈훈(血暈) 증 등이 있는 것을 치료한다.

부들꽃가루(포황), 함박꽃뿌리(적작약), 건강, 육계, 당귀, 찐지황(숙지황), 감초 각각 40g,

검정콩(흑두, 닦은 것) 16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국방].

이 처방에 백초상(百草霜) 20g을 더 넣으면 오금산(烏金散)이라고 한다[득효].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桃仁湯][도인탕]  (0) 2022.06.18
[烏金散][오금산]  (0) 2022.06.17
[血風湯][혈풍탕]  (0) 2022.06.14
[防風當歸散][방풍당귀산]  (0) 2022.06.13
[紫湯][자탕]  (0) 2022.06.12

[血風湯][혈풍탕]

治産後諸風 攣急 或痿弱

川芎 當歸 熟地黃 白朮 白茯苓40g

白芍藥 秦芃 羗活 白芷28g 防風20g

以一半 爲細末 溫酒 調下8g.

以一半 爲末 蜜丸梧子大 溫酒呑下 5070(丹心).

해산 후에 여러 가지 풍증으로 손발이 가드라들거나 힘이 없어지는 증을 치료한다.

궁궁이(천궁), 당귀, 찐지황(숙지황),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0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진교, 강호리(강활), 구릿대(백지) 각각 28g, 방풍 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절반은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고

절반은 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로 먹는다[단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烏金散][오금산]  (0) 2022.06.17
[八味黑神散][팔미흑신산]  (0) 2022.06.17
[防風當歸散][방풍당귀산]  (0) 2022.06.13
[紫湯][자탕]  (0) 2022.06.12
[豆淋酒][두림주]  (0) 2022.06.11

[防風當歸散][방풍당귀산]

治産後痓

防風 當歸 川芎 熟地黃10g

爲剉作一貼 水煎服(海藏).

해산후의 치병을 치료한다.

방풍, 당귀, 궁궁이(천궁), 찐지황(숙지황) 각각 1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해장].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八味黑神散][팔미흑신산]  (0) 2022.06.17
[血風湯][혈풍탕]  (0) 2022.06.14
[紫湯][자탕]  (0) 2022.06.12
[豆淋酒][두림주]  (0) 2022.06.11
[交加散][교가산]  (0) 2022.06.10

[紫湯][자탕]

治産後風

黑豆2合炒香熟

以酒一盞煮取7分 去豆 空心 頓服(良方).

해산후풍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2홉을 고소한 냄새가 나게 닦아서

1잔에 달여 7분이 되면 콩을 버리고 빈속에 단번에 먹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血風湯][혈풍탕]  (0) 2022.06.14
[防風當歸散][방풍당귀산]  (0) 2022.06.13
[豆淋酒][두림주]  (0) 2022.06.11
[交加散][교가산]  (0) 2022.06.10
[擧鄕古拜散][거경고배산]  (0) 2022.06.09

[豆淋酒][두림주]

治産後風

黑豆1升 炒熟乘熱 投3升淸酒中 密封 隨量飮之(本草).

해산 후의 풍증을 치료한다.

검정콩(흑두) 1되를 닦아 익혀서 뜨거운 것을

청주 3되에 넣어 꼭 봉해 두었다가 주량에 맞게 먹는다[본초].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防風當歸散][방풍당귀산]  (0) 2022.06.13
[紫湯][자탕]  (0) 2022.06.12
[交加散][교가산]  (0) 2022.06.10
[擧鄕古拜散][거경고배산]  (0) 2022.06.09
[愈風散][유풍산]  (0) 2022.06.09

[交加散][교가산]

治産後痓

生地黃600g 生薑450g,

各搗 自然汁,

以生地黃汁 炒生薑滓,

以生薑汁 炒生地黃滓 合焙乾

爲末 每12g 溫酒調服(入門).

해산 후의 치병을 치료한다.

생지황 600g, 생강 460g.

위의 약들을 각각 따로 짓찧어 즙을 낸다.

생지황즙으로는 생강 찌꺼기를 축여 볶고

생강즙으로는 생지황 찌꺼기를 축여 볶아서

한데 섞은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리어 가루낸다.

한번에 12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湯][자탕]  (0) 2022.06.12
[豆淋酒][두림주]  (0) 2022.06.11
[擧鄕古拜散][거경고배산]  (0) 2022.06.09
[愈風散][유풍산]  (0) 2022.06.09
[獨活酒][독활주]  (0) 2022.06.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