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玉露散][옥로산]

凉膈壓乳 下乳汁

桔梗 川芎 白芷8g

赤芍藥6g

人蔘 赤茯苓 甘草4g

當歸2g

剉作 一貼 水煎服(良方).

가슴을 시원하게 하고 젖몸을 자극하여 젖을 나오게 한다.

도라지(길경),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각각 8g,

함박꽃뿌리(적작약) 6g,

인삼, 벌건솔풍령(적복령), 감초 각각 4g,

당귀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양방].

 

[玉露散][옥로산]

治暑月吐瀉身熱或煩渴

石膏 寒水石 各五錢

生甘草一錢

右細末或半錢或一錢

溫水凉水任下[錢乙]

여름철에 토하고 설사하면서 몸에 열이 나거나 번갈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석고, 한수석 각각 20g, 감초(생것) 4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2g 혹은 4g씩 따뜻한 물이나 찬물로 먹인다[전을].

 

[玉露散][옥로산]

治暑渴

寒水石 滑石 石膏 天花粉 各一兩

甘草五錢

右爲細末每三錢 井水調下[丹心]

더위먹고 나는 갈증[暑渴]을 치료한다.

한수석, 곱돌(활석), 석고, 하늘타리뿌리(과루근) 각각 40g,

감초 20g.

위의 약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깨끗한 물에 타 먹는다[단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黃芪飮][당귀황기음]  (0) 2022.05.29
[猪蹄粥][저제죽]  (0) 2022.05.26
[通乳湯][통유탕]  (0) 2022.05.24
[漏蘆散][누로산]  (0) 2022.05.23
[人參當歸散][인삼당귀산]  (0) 2022.05.19

[通乳湯][통유탕]

治氣血不足 乳汁澁少

猪蹄4隻,  通草 川芎 40g

穿山甲14片炮黃,  甘草4g

爲剉 以水5升 煎至半 取汁 分三服 更以溫葱湯 頻洗乳房(醫鑒)

기혈(氣血)부족으로 젖이 적게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돼지발족(猪蹄) 4개, 통초, 궁궁이(천궁) 각각 40g,

천산갑(싸서 노랗게 구운 것) 14g, 감초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5되에 달여 절반쯤 되면 즙을 내어 세번에 나누어 먹고

다시 파를 달인 따뜻한 물로 젖몸을 자주 씻어 준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猪蹄粥][저제죽]  (0) 2022.05.26
[玉露散][옥로산]  (0) 2022.05.25
[漏蘆散][누로산]  (0) 2022.05.23
[人參當歸散][인삼당귀산]  (0) 2022.05.19
[熟地黃湯][숙지황탕]  (0) 2022.05.18

[漏蘆散][누로산]

治乳汁壅塞不行 乳內脹痛 欲作癰腫 服此自消

漏蘆10g 蛇脫一條燒 瓜蔞1,

爲末 酒調8g服 無時孕食 蒸羹湯助之,

若乳多急痛 以溫帛熨之(良方).

젖이 몰리고 막혀서 잘 나오지 않고 젖몸이 붓고 아프면서

옹종(癰腫)이 되려고 할 때에 이 약을 먹으면 저절로 사그라진다.

뻐꾹채(漏蘆) 10g, 뱀허물(사태, 태운 것) 1개, 하늘타리(瓜蔞) 1개.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술에 타서 아무 때나 먹고 나서 더운 국을 먹는다.

만일 젖이 많으면서 몹시 아프면 뜨거운 천으로 찜질한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玉露散][옥로산]  (0) 2022.05.25
[通乳湯][통유탕]  (0) 2022.05.24
[人參當歸散][인삼당귀산]  (0) 2022.05.19
[熟地黃湯][숙지황탕]  (0) 2022.05.18
[竹葉防風湯][죽엽방풍탕]  (0) 2022.05.17

[人參當歸散][인삼당귀산]

治産後亡血 生內熱煩渴

當歸 熟地黃 白芍藥 人參 麥門冬4g 桂皮2g

剉作一貼 先以粳米一合 靑竹葉10

水二盞煎至一盞去米葉 乃入前藥 及薑三棗二 再煎服(入門).

해산 후 망혈(亡血)로 속에 열이 나며 번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인삼, 맥문동 각각 4g, 계피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한다.

먼저 입쌀 1홉과 청죽엽 10잎을 물 2잔에 넣고 달여 1잔이 되면

입쌀과 청죽엽은 버리고 앞의 약과 생강 3쪽, 대추 2알을 넣고 다시 달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乳湯][통유탕]  (0) 2022.05.24
[漏蘆散][누로산]  (0) 2022.05.23
[熟地黃湯][숙지황탕]  (0) 2022.05.18
[竹葉防風湯][죽엽방풍탕]  (0) 2022.05.17
[柴胡防歸湯][시호방귀탕]  (0) 2022.05.16

[熟地黃湯][숙지황탕]

治産後虛渴

天花粉8g 人參 麥門冬6g 熟地黃4g 甘草2g

剉作一貼 入糯米100粒 薑三棗二 水煎服(得效).

해산 후에 허하여 갈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하늘타리뿌리(과루근) 8g, 인삼, 맥문동 각각 6g, 찐지황(숙지황)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찹쌀 100,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漏蘆散][누로산]  (0) 2022.05.23
[人參當歸散][인삼당귀산]  (0) 2022.05.19
[竹葉防風湯][죽엽방풍탕]  (0) 2022.05.17
[柴胡防歸湯][시호방귀탕]  (0) 2022.05.16
[柴胡地黃湯][시호지황탕]  (0) 2022.05.15

[竹葉防風湯][죽엽방풍탕]

治産後 傷風頭痛發熱

靑竹葉24

防風 人參 桂枝 桔梗 前胡 陳皮 赤茯苓4g

剉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入門).

해산 후 풍에 상하여 머리가 아프고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청죽엽 24잎,

방풍, 인삼, 계지, 도라지(길경), 전호, 귤껍질(陳皮),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參當歸散][인삼당귀산]  (0) 2022.05.19
[熟地黃湯][숙지황탕]  (0) 2022.05.18
[柴胡防歸湯][시호방귀탕]  (0) 2022.05.16
[柴胡地黃湯][시호지황탕]  (0) 2022.05.15
[柴胡破瘀湯][시호파어탕]  (0) 2022.05.14

[柴胡防歸湯][시호방귀탕]

治産後發熱 不因亡血 蓄血 傷食 蒸乳四證 外果係風寒 表證則用此

當歸12g 川芎6g 柴胡 人參4g

半夏 陳皮 防風3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 水煎服(入門).

해산 후에 열이 나는 데는 망혈(亡血), 축혈(蓄血), 식상[傷食], 증유(蒸乳) 등 4가지 증이 있다.

이외에 풍한에 감촉되어 열이 나는 표증(表證)도 있는데 이 약을 쓴다.

당귀 12g, 궁궁이(천궁) 6g, 시호, 인삼 각각 4g,

끼무릇(반하), 귤껍질(陳皮), 방풍 각각 3.2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熟地黃湯][숙지황탕]  (0) 2022.05.18
[竹葉防風湯][죽엽방풍탕]  (0) 2022.05.17
[柴胡地黃湯][시호지황탕]  (0) 2022.05.15
[柴胡破瘀湯][시호파어탕]  (0) 2022.05.14
[黑神散][흑신산]  (0) 2022.05.13

[柴胡地黃湯][시호지황탕]

治産後 熱入血室 寒熱譫妄 如見鬼

柴胡 生地黃 8g, 人參 半夏 黃芩 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得效).

해산 후 혈이 혈실에 들어가서 추웠다 열이 나면 헛것이 보인다고 허튼 말을 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생지황 각각 8g, 인삼, 끼무릇(반하),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竹葉防風湯][죽엽방풍탕]  (0) 2022.05.17
[柴胡防歸湯][시호방귀탕]  (0) 2022.05.16
[柴胡破瘀湯][시호파어탕]  (0) 2022.05.14
[黑神散][흑신산]  (0) 2022.05.13
[芎歸調血飮][궁귀조혈음]  (0) 2022.05.12

[柴胡破瘀湯][시호파어탕]

治産後 因傷寒熱病 熱入血室 或惡露不下者

柴胡 黃芩 半夏 甘草 赤芍藥 當歸 生地黃4g

桃仁 五靈脂2g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해산 후 열이 혈실에 들어가서 추웠다 열이 나면

헛것이 보인다고 허튼 말을 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속썩은풀(황금), 끼무릇(반하), 감초, 함박꽃뿌리(작약), 당귀, 생지황 각각 4g,

복숭아씨(도인), 오령지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柴胡防歸湯][시호방귀탕]  (0) 2022.05.16
[柴胡地黃湯][시호지황탕]  (0) 2022.05.15
[黑神散][흑신산]  (0) 2022.05.13
[芎歸調血飮][궁귀조혈음]  (0) 2022.05.12
[牛黃膏][우황고]  (0) 2022.05.11

[黑神散][흑신산]

治産母 惡露不下 以致發熱 煩躁

當歸 熟地黃 白芍藥酒炒 肉桂 甘草灸20g

沈香 棕櫚灰 蒲黃 沒藥10g

乳香6g 赤芍藥4g 血竭2g

爲末 每7.5g 好溫酒調下(醫鑒).

산모에게서 오로(惡露)가 나오지 않아 열이 나고 번조증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육계, 감초(닦은 것) 각각 20g,

침향, 종려(불에 태워 가루낸 것), 부들꽃가루(포황), 몰약 각각 10g,

유향 6g, 함박꽃뿌리(적작약) 4g, 혈갈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柴胡地黃湯][시호지황탕]  (0) 2022.05.15
[柴胡破瘀湯][시호파어탕]  (0) 2022.05.14
[芎歸調血飮][궁귀조혈음]  (0) 2022.05.12
[牛黃膏][우황고]  (0) 2022.05.11
[凉血地黃湯][양혈지황탕]  (0) 2022.05.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