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參朮膏][삼출고]

治産後 脬損成淋

人參10g 白朮8g 黃芪6g

陳皮 桃仁 白茯苓4g 甘草2g

剉作一貼 水煎, 猪羊脬後入藥 再煎去滓 溫服空心.

一産婦 因收生者不謹 損破尿脬而 致淋瀝不禁

遂爲廢疾 因思肌肉在外而破 尙可補完,

診其脈虛 甚 試與峻補 服參朮膏至一月而安.

盖血氣驟長 其脬自完 恐稍遲 亦難成功(丹心).

해산 후에 방광이 상하여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10g, 흰삽주(백출) 8g, 단너삼(황기) 6g,

귤껍질(陳皮), 복숭아씨(도인),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한다.

먼저 돼지나 양의 오좀깨[猪羊 ]를 물에 두고 삶다가 약을 넣고

다시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따뜻하게 해서 빈속에 먹는다.

어떤 산모가 해산방조[收生]를 잘못 받는 데로부터 방광이 상하여

오줌이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멎지 않아 병신같이 되었다.

이것을 보고 겉의 기육(肌肉)이 상한 것을 보하면 아물게 할 수 있지 않겠는가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환자의 맥을 짚어 보니 몹시 허하였다.

그래서 시험적으로 세게 보하는 삼출고를 1달쯤 먹였더니 나았다.

이것은 기혈이 왕성해짐으로써 상한 방광이 나은 것이다.

만일 조금이라도 늦었더라면 낫기 어려웠을 것이다[단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桑螵蛸散][상표초산]  (0) 2022.07.01
[茅根湯][모근탕]  (0) 2022.06.30
[香靈丸][향령환]  (0) 2022.06.27
[拒勝湯][거승탕]  (0) 2022.06.26
[抵聖湯][저성탕]  (0) 2022.06.26

[香靈丸][향령환]

治産後嘔不止

丁香 辰砂另硏各3g 五靈脂4g

爲硏勻 用狗膽 或猪膽 和丸芡實大

以生薑陳皮煎湯 磨化一丸 服之(本草).

해산 후에 구역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정향, 주사(따로 간 것) 각각 2.4g, 오령지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구담(狗膽)이나 저담(猪膽)로 반죽한 다음 가시연밥(검인)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생강과 귤껍질(陳皮)을 두고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본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茅根湯][모근탕]  (0) 2022.06.30
[參朮膏][삼출고]  (0) 2022.06.29
[拒勝湯][거승탕]  (0) 2022.06.26
[抵聖湯][저성탕]  (0) 2022.06.26
[産後嘔逆][산후구역]  (0) 2022.06.25

[抵聖湯][저성탕]

治産後 嘔逆惡心 不能飮食

赤芍藥 半夏 澤蘭 人參 陳皮6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七片 水煎服(濟生).

一名, [拒勝湯][거승탕][正傳]

해산 후에 구역이 나고 메슥메슥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함박꽃뿌리(작약), 끼무릇(반하), 쉽싸리잎(택란엽), 인삼, 귤껍질(陳皮) 각각 6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제생].

일명 거승탕(拒勝湯)이라고도 한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參朮膏][삼출고]  (0) 2022.06.29
[香靈丸][향령환]  (0) 2022.06.27
[抵聖湯][저성탕]  (0) 2022.06.26
[産後嘔逆][산후구역]  (0) 2022.06.25
[羊肉湯][양육탕]  (0) 2022.06.24

[抵聖湯][저성탕]

治産後 嘔逆惡心 不能飮食

赤芍藥 半夏 澤蘭 人參 陳皮6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七片 水煎服(濟生).

一名, [拒勝湯][거승탕][正傳]

해산 후에 구역이 나고 메슥메슥하여 음식을 먹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함박꽃뿌리(작약), 끼무릇(반하), 쉽싸리잎(택란엽), 인삼, 귤껍질(陳皮) 각각 6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제생].

일명 거승탕(拒勝湯)이라고도 한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香靈丸][향령환]  (0) 2022.06.27
[拒勝湯][거승탕]  (0) 2022.06.26
[産後嘔逆][산후구역]  (0) 2022.06.25
[羊肉湯][양육탕]  (0) 2022.06.24
[推氣養血丸][추기양혈환]  (0) 2022.06.23

[産後嘔逆][산후구역]

産後 腹脹滿悶 嘔吐不定

此由敗血入脾胃 故不能飮食也,

宜用抵聖湯 香靈丸(正傳).

해산 후에 배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며 답답하면서 구역이 멎지 않는 것은

궂은 피가 비위에 침범하였기 때문인데 음식을 먹지 못한다.

이때에는 저성탕(抵聖湯), 향령환(香靈丸) 등을 쓰는 것이 좋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拒勝湯][거승탕]  (0) 2022.06.26
[抵聖湯][저성탕]  (0) 2022.06.26
[羊肉湯][양육탕]  (0) 2022.06.24
[推氣養血丸][추기양혈환]  (0) 2022.06.23
[養血佐肝丸][양혈좌간환]  (0) 2022.06.22

[羊肉湯][양육탕]

冬月解産 寒氣入産門 臍下脹痛 手不可近 此寒疝也.

羊肉160g 當歸 陳皮80g 生薑40g,

剉水三椀 酒一盞 煎至一椀 去滓分 二次 溫服(正傳).

겨울철 해산한 뒤에 찬 기운이 산문(産門)으로 들어가서 배꼽 아래가 불러 오르고

아파서 손을 대지 못하는 것을 한산(寒疝)이라고 하는데 이것을 치료한다.

양고기 160g, 당귀, 귤껍질(陳皮) 각각 80g, 생강 4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 3사발, 1잔과 함께 달여 1사발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두번에 갈라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抵聖湯][저성탕]  (0) 2022.06.26
[産後嘔逆][산후구역]  (0) 2022.06.25
[推氣養血丸][추기양혈환]  (0) 2022.06.23
[養血佐肝丸][양혈좌간환]  (0) 2022.06.22
[沒藥散][몰약산]  (0) 2022.06.21

[推氣養血丸][추기양혈환]

治産後 右脇膨脹 有塊如堅弦一條 着冷便瘀

便香附80g

當歸 川芎 白芍藥酒炒 白朮土炒 靑皮油炒

陳皮 枳實 烏藥 厚朴 神麴 乾薑炒黑 白芥子炒各40g

三菱 蓬朮並醋炒各32g 麥芽肉桂24g 木香12g

爲末 醋糊和 丸梧子大 空心 以米飮呑下 100(醫鑒).

해산 후에 오른쪽 옆구리가 몹시 불러 오르면서 덩어리가 있어 힘줄같이 뻗치는데

이것을 차게 하면 더 아파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80g,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흰삽주(백출, 흙과 함께 닦은 것), 선귤껍질(기름으로 축여 볶은 것),

귤껍질(陳皮), 지실, 오약, 후박, 약누룩(신국), 건강(검눋도록 닦은 것),

흰겨자(닦은 것) 각각 40g,

삼릉, 봉출(둘 다 식초로 축여 볶은 것) 각각 32g,

보리길금(맥아, 닦은 것), 육계 각각 24g, 목향1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식초를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産後嘔逆][산후구역]  (0) 2022.06.25
[羊肉湯][양육탕]  (0) 2022.06.24
[養血佐肝丸][양혈좌간환]  (0) 2022.06.22
[沒藥散][몰약산]  (0) 2022.06.21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2.06.21

[養血佐肝丸][양혈좌간환]

治産後左脇脹悶 一塊痛 臥不着席

香附醋炒80g

當歸 川芎 白芍藥酒炒 陳皮 半夏油炒 白朮靑皮油炒 神麴蘿葍子牧丹皮 紅花 白茯苓40g

柴胡酒炒 桃仁炒各32g

草龍膽酒洗24g 三菱 蓬朮並醋炒各20g

爲末 酒糊和 丸梧子大 空心 白湯下100(醫鑒).

해산 후에 왼쪽 옆구리가 뻐근하고 답답하며 덩어리가 생겨서 아파 자리에 눕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식초로 축여 볶은 것) 80g,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기름으로 축여 볶은 것), 흰삽주(백출, 닦은 것),

선귤껍질(靑皮, 기름으로 축여 볶은 것), 약누룩(신국, 닦은 것),

무씨(나복자, 닦은 것), 모란뿌리껍질(목단피), 잇꽃(홍화),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0g,

시호(술로 축여 볶은 것), 복숭아씨(도인, 닦은 것) 각각 32g,

용담초(술로 씻은 것) 24g,

삼릉, 봉출(둘 다 식초로 축여 볶은 것)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술로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00알씩 끓인 물로 빈속에 먹는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羊肉湯][양육탕]  (0) 2022.06.24
[推氣養血丸][추기양혈환]  (0) 2022.06.23
[沒藥散][몰약산]  (0) 2022.06.21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2.06.21
[桃桂當歸丸][도계당귀환]  (0) 2022.06.20

[沒藥散][몰약산]

治産後血瘀作痛

沒藥12g 蝱虫8g 水蛭4g 麝香一字,

爲末 每取8g 服之(保命).

해산 후에 어혈로 아픈 것을 치료한다.

몰약 12g, 등에(닦은 것) 8g, 거머리(수질, 닦은 것) 4g, 사향 1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먹는다[보명].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産後 胸腹脇腰痛 此惡血爲患 四物湯.

産後陰脫 倍芎歸 加鬼箭羽 紅花 玄胡索各4g

煎水調 沒藥散服之 卽效(保命)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養血佐肝丸][양혈좌간환]  (0) 2022.06.22
[沒藥散][몰약산]  (0) 2022.06.21
[桃桂當歸丸][도계당귀환]  (0) 2022.06.20
[五香連翹湯][오향연교탕]  (0) 2022.06.19
[桃仁湯][도인탕]  (0) 2022.06.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