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交感地黃煎元][교감지황전원]

治産後 眼見黑花 發狂如見鬼狀 或中風 角弓反張

或下血 如豚肝狀 臍腹㽱痛 結爲癥瘕

生地黃1.2kg洗搗以布裂汁留滓 生薑1.2kg洗搗以布裂汁留滓

以生薑汁炒地黃滓 以地黃汁炒生薑滓 各至乾燥 爲末 爲度 蒲黃150g

當歸 玄胡索 琥珀40g

爲末 蜜丸彈子大 當歸酒化下 一丸(局方).

해산 후 눈 앞에 검은 꽃이 보이고 미친 것처럼 발광하며

혹 중풍으로 몸이 뒤로 젖혀지거나 돼지 간 같은 것을 하혈하며

배꼽 주위가 몹시 아프고 궂은 피가 몰려서 징가가 된 것을 치료한다.

생지황 1,200g(깨끗한 물로 씻어서 짓찧어 천에 싼 다음 즙을 낸다.

그 찌꺼기는 생강즙으로 축여 볶아 말려 가루낸다),

생강 1,200g(깨끗한 물로 씻어서 짓찧어 즙을 낸다.

그 찌꺼기는 생지황즙으로 축여 볶아 말려 가루낸다), 부들꽃가루(포황, 닦은 것) 160g,

당귀, 현호색, 호박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1알씩 당귀를 넣어 빚은 술에 풀어 먹는다[국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全生活血湯][전생활혈탕]  (0) 2022.05.04
[生地芩連湯][생지금련탕]  (0) 2022.05.03
[八珍湯][팔진탕]  (0) 2022.05.01
[麝香蘇合元][사향소합원]  (0) 2022.04.30
[龍腦蘇合元][용뇌소합원]  (0) 2022.04.30

[八物湯][팔물탕

治虛勞, 氣血兩虛. 能調和陰陽.

人蔘 白朮 白茯苓 當歸 川芎 熟地黃 白芍藥 甘草各4g.

剉作, 一貼, 水煎服, 不拘時服(易老)

一名 [八珍湯] [回春]

허로로 기와 혈이 다 허한 것을 치료하는데 음양을 고르게 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4.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아무때나 먹는다[역로].

일명 팔진탕(八珍湯)이라고도 한다[회춘].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地芩連湯][생지금련탕]  (0) 2022.05.03
[交感地黃煎元][교감지황전원]  (0) 2022.05.02
[麝香蘇合元][사향소합원]  (0) 2022.04.30
[龍腦蘇合元][용뇌소합원]  (0) 2022.04.30
[八物湯][팔물탕]  (0) 2022.04.29

[蘇合香元][소합향원]

治 一切氣疾 及 中氣 上氣 氣逆 氣鬱 氣痛.

白朮 木香 沈香 麝香 丁香 安息香 白丹香 朱砂(水飛 半爲衣)

犀角 訶子皮 香附子 蓽撥 各80g, 蘇合油(入安息香膏內)

乳香 龍腦 各40g.

爲細末 用安息香膏 幷煉蜜搜和千擣 每37.5g 分作40

每 服23丸 井華水 或溫水 溫酒 薑湯 化服(局方).

有龍腦則謂之 (局方).

일체 기병(氣病)과 중기(中氣), 상기(上氣), 기역(氣逆), 기울(氣鬱), 기로 생긴

통증 등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목향, 침향, 사향, 정향, 안식향, 백단향, 주사(수비(水飛)하여

절반은 겉에 입힌다), 서각, 가자피, 향부자, 필발 각각 80g,

소합유(안식향고에 넣는다), 유향, 용뇌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안식향고를 섞은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천여 번

짓찧어서 40g으로 40알을 만든다.

한번에 2-3알씩 깨끗한 물이나 따뜻한 물 또는 데운 술, 생강을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국방].

 

有龍腦則謂之 [龍腦蘇合元], 無龍腦則謂之 [麝香蘇合元].

용뇌를 넣으면 용뇌소합원이라 하고 용뇌를 빼면 사향소합원이라 한다.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交感地黃煎元][교감지황전원]  (0) 2022.05.02
[八珍湯][팔진탕]  (0) 2022.05.01
[龍腦蘇合元][용뇌소합원]  (0) 2022.04.30
[八物湯][팔물탕]  (0) 2022.04.29
[蘇合香元][소합향원]  (0) 2022.04.28

[蘇合香元][소합향원]

治 一切氣疾 及 中氣 上氣 氣逆 氣鬱 氣痛.

白朮 木香 沈香 麝香 丁香 安息香 白丹香 朱砂(水飛 半爲衣)

犀角 訶子皮 香附子 蓽撥 各80g, 蘇合油(入安息香膏內)

乳香 龍腦 各40g.

爲細末 用安息香膏 幷煉蜜搜和千擣 每37.5g 分作40

每 服23丸 井華水 或溫水 溫酒 薑湯 化服(局方).

有龍腦則謂之 (局方).

일체 기병(氣病)과 중기(中氣), 상기(上氣), 기역(氣逆), 기울(氣鬱), 기로 생긴

통증 등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목향, 침향, 사향, 정향, 안식향, 백단향, 주사(수비(水飛)하여

절반은 겉에 입힌다), 서각, 가자피, 향부자, 필발 각각 80g,

소합유(안식향고에 넣는다), 유향, 용뇌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안식향고를 섞은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천여 번

짓찧어서 40g으로 40알을 만든다.

한번에 2-3알씩 깨끗한 물이나 따뜻한 물 또는 데운 술, 생강을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국방].

 

有龍腦則謂之 [龍腦蘇合元], 無龍腦則謂之 [麝香蘇合元].

용뇌를 넣으면 용뇌소합원이라 하고 용뇌를 빼면 사향소합원이라 한다.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八珍湯][팔진탕]  (0) 2022.05.01
[麝香蘇合元][사향소합원]  (0) 2022.04.30
[八物湯][팔물탕]  (0) 2022.04.29
[蘇合香元][소합향원]  (0) 2022.04.28
[茯苓補心湯][복령보심탕]  (0) 2022.04.26

[八物湯][팔물탕

治虛勞, 氣血兩虛. 能調和陰陽.

人蔘 白朮 白茯苓 當歸 川芎 熟地黃 白芍藥 甘草各4g.

剉作, 一貼, 水煎服, 不拘時服(易老)

허로로 기와 혈이 다 허한 것을 치료하는데 음양을 고르게 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감초,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4.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아무때나 먹는다[역로].  

 

 

[八物湯][팔물탕]

治氣血俱虛

人蔘 白朮 白茯苓 當歸 川芎 熟地黃 白芍藥 甘草各4g 水煎服(易老) 血門轉載

瘀血迷心 言語譫妄 昏暈 宜八物湯 去芍藥 加琥珀 栢子仁 遠志 朱砂 金銀煎服(入門).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麝香蘇合元][사향소합원]  (0) 2022.04.30
[龍腦蘇合元][용뇌소합원]  (0) 2022.04.30
[蘇合香元][소합향원]  (0) 2022.04.28
[茯苓補心湯][복령보심탕]  (0) 2022.04.26
[孤鳳散][고봉산]  (0) 2022.04.25

[蘇合香元][소합향원]

治 一切氣疾 及 中氣 上氣 氣逆 氣鬱 氣痛.

白朮 木香 沈香 麝香 丁香 安息香 白丹香 朱砂(水飛 半爲衣)

犀角 訶子皮 香附子 蓽撥 各80g, 蘇合油(入安息香膏內)

乳香 龍腦 各40g.

爲細末 用安息香膏 幷煉蜜搜和千擣 每37.5g 分作40

每 服23丸 井華水 或溫水 溫酒 薑湯 化服(局方).

有龍腦則謂之 (局方).

일체 기병(氣病)과 중기(中氣), 상기(上氣), 기역(氣逆), 기울(氣鬱), 기로 생긴

통증 등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목향, 침향, 사향, 정향, 안식향, 백단향, 주사(수비(水飛)하여

절반은 겉에 입힌다), 서각, 가자피, 향부자, 필발 각각 80g,

소합유(안식향고에 넣는다), 유향, 용뇌 각각 40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안식향고를 섞은 졸인 꿀로 반죽한 다음 천여 번

짓찧어서 40g으로 40알을 만든다.

한번에 2-3알씩 깨끗한 물이나 따뜻한 물 또는 데운 술, 생강을 달인 물에

풀어 먹는다[국방].

 

有龍腦則謂之 [龍腦蘇合元], 無龍腦則謂之 [麝香蘇合元].

용뇌를 넣으면 용뇌소합원이라 하고 용뇌를 빼면 사향소합원이라 한다.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龍腦蘇合元][용뇌소합원]  (0) 2022.04.30
[八物湯][팔물탕]  (0) 2022.04.29
[茯苓補心湯][복령보심탕]  (0) 2022.04.26
[孤鳳散][고봉산]  (0) 2022.04.25
[七珍散][칠진산]  (0) 2022.04.24

[茯苓補心湯][복령보심탕]

治勞心吐血

白芍藥8g 熟地黃6g 當歸5.2g

川芎 白茯苓 人參 前胡 半夏2.8g

陳皮 枳殼 桔梗 乾葛 紫蘇葉 甘草2g

剉作一貼 薑五片 棗二枚 煎服(三因).

지나치게 속을 써서 피를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집함박꽃부리(백작약) 8g, 찐지황(숙지황) 6g, 당귀 5.2g,

궁궁이(천궁), 흰솔풍령(백복령), 인삼, 전호, 끼무릇(반하) 각각 2.8g,

귤껍질(귤피), 지각, 도라지(길경), 칡뿌리(갈근), 차조기잎(자소엽),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달여 먹는다[삼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八物湯][팔물탕]  (0) 2022.04.29
[蘇合香元][소합향원]  (0) 2022.04.28
[孤鳳散][고봉산]  (0) 2022.04.25
[七珍散][칠진산]  (0) 2022.04.24
[旋覆花湯][선복화탕]  (0) 2022.04.21

[孤鳳散][고봉산]

治産後閉目不語

白礬 爲細末 每取4g 熱水調下 不以時(産寶).

해산 후에 눈을 감고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백반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아무 때나 뜨거운 물에 타 먹는다[산보].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蘇合香元][소합향원]  (0) 2022.04.28
[茯苓補心湯][복령보심탕]  (0) 2022.04.26
[七珍散][칠진산]  (0) 2022.04.24
[旋覆花湯][선복화탕]  (0) 2022.04.21
[人蔘膏][인삼고]  (0) 2022.04.20

[七珍散][칠진산]

治産後不語

人參 生地黃 石菖蒲 川芎 8g

細辛 防風 辰砂 4g

爲末 每4g 薄荷湯調服.

加甘草4g 名曰 [八珍散](産寶).

해산 후에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생지황, 석창포, 궁궁이(천궁) 각각 8g,

족두리풀(세신), 방풍, 주사 각각 4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4g씩 박하 달인 물에 타 먹는다.

감초 4g을 더 넣으면 팔진산(八珍散)이라고 한다[산보].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茯苓補心湯][복령보심탕]  (0) 2022.04.26
[孤鳳散][고봉산]  (0) 2022.04.25
[旋覆花湯][선복화탕]  (0) 2022.04.21
[人蔘膏][인삼고]  (0) 2022.04.20
[獨蔘湯][독삼탕]  (0) 2022.04.19

[旋覆花湯][선복화탕]

治産母 感冒風寒 咳嗽痰盛

旋覆花 赤芍藥 荊芥半夏五味子 麻黃 赤茯苓 杏仁 前胡 甘草4g

剉作 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三因).

해산 후 풍한에 감촉되어 기침이 나고 숨이 차며 담이 성하는 것을 치료한다.

선복화, 함박꽃뿌리(작약), 형개수, 반하국, 오미자, 마황, 벌건솔풍령(적복령), 살구씨(행인), 전호,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삼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孤鳳散][고봉산]  (0) 2022.04.25
[七珍散][칠진산]  (0) 2022.04.24
[人蔘膏][인삼고]  (0) 2022.04.20
[獨蔘湯][독삼탕]  (0) 2022.04.19
[小參蘇飮][소삼소음]  (0) 2022.04.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