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梔子大靑湯][치자대청탕]

治姙婦熱病 發癍

黃芩 升麻 梔子8g

大靑 杏仁2g,

剉作一貼 葱白三莖 同煎服(醫鑒).

임신부가 열병으로 반진( 疹)이 생긴 것을 치료한다.

속썩은풀(황금), 승마, 산치자 각각 8g,

대청, 살구씨(행인)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正氣補虛湯][정기보허탕]  (0) 2022.03.21
[補虛湯][보허탕]  (0) 2022.03.20
[葱白湯][총백탕]  (0) 2022.03.13
[保安白朮散][보안백출산]  (0) 2022.03.12
[黃龍湯][황룡탕]  (0) 2022.03.11

[葱白湯][총백탕]

姙娠傷寒 當發散, 宜用此

葱白十莖 生薑切75g,

爲剉 水煎 連服 取汁(活人).

임신부의 감기에는 땀을 내야 하는데 이 약을 쓰는 것이 좋다.

파밑(총백) 10대, 생강 80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연거푸 먹고 땀을 낸다[활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虛湯][보허탕]  (0) 2022.03.20
[梔子大靑湯][치자대청탕]  (0) 2022.03.14
[保安白朮散][보안백출산]  (0) 2022.03.12
[黃龍湯][황룡탕]  (0) 2022.03.11
[芎蘇散][궁소산]  (0) 2022.03.10

[保安白朮散][보안백출산]

治 孕婦傷寒 安胎

白朮 黃芩各等分 剉新瓦上同炒香

爲末 每12g 薑三棗一煎水 調下, 或 同煎服 亦可 最妙(寶鑒).

임신부의 감기를 치료하며 안태시킨다.

흰삽주(백출), 속썩은풀(황금) 각각 같은 양(위의 약들을 썰어서 새 기와 위에 놓고 향기로운 냄새가 나도록 닦는다).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생강 3, 대추 1알과 함께 달인 물에 타 먹거나 달여 먹어도 좋다[보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梔子大靑湯][치자대청탕]  (0) 2022.03.14
[葱白湯][총백탕]  (0) 2022.03.13
[黃龍湯][황룡탕]  (0) 2022.03.11
[芎蘇散][궁소산]  (0) 2022.03.10
[小柴胡湯][소시호탕]  (0) 2022.03.09

[黃龍湯][황룡탕]

治孕婦感寒 寒熱如瘧

柴胡16g

黃芩 人參 甘草4g,

剉作一貼 水煎 溫服(得效).

임신 때 찬 기운에 감촉되어 추웠다 열이 나는 것이 마치 학질 같은 것을 치료한다.

시호 16g, 속썩은풀(황금), 인삼,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葱白湯][총백탕]  (0) 2022.03.13
[保安白朮散][보안백출산]  (0) 2022.03.12
[芎蘇散][궁소산]  (0) 2022.03.10
[小柴胡湯][소시호탕]  (0) 2022.03.09
[葱白湯][총백탕]  (0) 2022.03.07

[芎蘇散][궁소산]

治姙婦感寒

川芎 紫蘇葉 白芍藥 白朮 麥門冬 陳皮 乾葛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五葱白三莖 水煎服(濟生).

궁궁이(천궁), 차조기잎(자소엽),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삽주(백출), 맥문동, 귤껍질(陳皮), 칡뿌리(갈근)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제생].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保安白朮散][보안백출산]  (0) 2022.03.12
[黃龍湯][황룡탕]  (0) 2022.03.11
[小柴胡湯][소시호탕]  (0) 2022.03.09
[葱白湯][총백탕]  (0) 2022.03.07
[紫蘇飮][자소음]  (0) 2022.03.06

[小柴胡湯][소시호탕]

治少陽病 半表半裏

往來寒熱 能和其內熱,

解其外邪, 傷寒方之王道也.

柴胡12g

黃芩8g

人蔘 半夏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入門).

소양병의 반표반리증으로 추웠다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잘 화해시킨다.

그리고 속의 열을 내고 겉에 있는 사기[外邪]를 풀어 주므로

상한을 치료하는 처방들 가운데서는 첫째 가는 것이다.

시호 12g,

속썩은풀(황금) 8g,

인삼, 끼무릇(반하)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黃龍湯][황룡탕]  (0) 2022.03.11
[芎蘇散][궁소산]  (0) 2022.03.10
[葱白湯][총백탕]  (0) 2022.03.07
[紫蘇飮][자소음]  (0) 2022.03.06
[濟生石膏湯][제생석고탕]  (0) 2022.03.04

[葱白湯][총백탕]

治 子懸

葱白20莖 卽二握 以水一升半

於銀石器內煮至半 取汁 頓服 食葱盡 卽愈(良方).

자현을 치료한다.

파밑(총백) (즉 두 줌이다) 20대.

위의 약을 물 1되 5홉과 함께 은이나 돌 그릇에 넣고 달여

절반이 되면 단번에 먹되 파까지 다 먹으면 낫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蘇散][궁소산]  (0) 2022.03.10
[小柴胡湯][소시호탕]  (0) 2022.03.09
[紫蘇飮][자소음]  (0) 2022.03.06
[濟生石膏湯][제생석고탕]  (0) 2022.03.04
[驅邪湯][구사탕]  (0) 2022.03.03

[紫蘇飮][자소음]

治子懸 及臨産驚惶 氣結難産 最妙

紫蘇葉10g 人參 大腹皮 川芎 陳皮 川芎 陳皮 白芍藥 當歸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四片 葱白三莖 水煎服(良方).

자현과 해산할 무렵에 놀라거나 겁이 나서

기가 뭉쳐 해산하기 어려운 것을 치료하는 데 아주 좋다.

차조기잎(자소엽) 10g,

인삼, 빈랑껍질, 궁궁이(천궁), 귤껍질(陳皮),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당귀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4쪽, 파밑(총백) 3대와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柴胡湯][소시호탕]  (0) 2022.03.09
[葱白湯][총백탕]  (0) 2022.03.07
[濟生石膏湯][제생석고탕]  (0) 2022.03.04
[驅邪湯][구사탕]  (0) 2022.03.03
[露薑飮][노강음]  (0) 2022.03.02

[濟生石膏湯][제생석고탕]

治姙娠 熱瘧 渴飮無度

石膏8g 生地黃6g 黃芩 麥門冬 人參 知母 乾葛4g 甘草2g,

剉作一貼 入烏梅一箇 同煎服(丹心).

임신 때 열학(熱 )으로 갈증이 나서 찬물을 한정없이 마시는 것을 치료한다.

석고 8g, 생지황 6g,

속썩은풀(황금), 맥문동, 인삼, 지모, 칡뿌리(갈근)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오매(烏梅) 1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葱白湯][총백탕]  (0) 2022.03.07
[紫蘇飮][자소음]  (0) 2022.03.06
[驅邪湯][구사탕]  (0) 2022.03.03
[露薑飮][노강음]  (0) 2022.03.02
[醒脾飮子][성비음자]  (0) 2022.03.01

[驅邪湯][구사탕]

治姙娠感冷發瘧

良薑 白朮 草果 橘紅 藿香 縮砂 白茯苓4g

甘草2g,

剉作一貼 入薑五片棗二枚 水煎服(丹心).

임신 때 찬 기운에 감촉되어 생긴 학질을 치료한다.

양강, 흰삽주(백출), 초과, 귤홍, 곽향, 사인,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4g,

감초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蘇飮][자소음]  (0) 2022.03.06
[濟生石膏湯][제생석고탕]  (0) 2022.03.04
[露薑飮][노강음]  (0) 2022.03.02
[醒脾飮子][성비음자]  (0) 2022.03.01
[大寧散][대녕산]  (0) 2022.02.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