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防己湯][방기탕]

治子腫

桑白皮 赤茯苓 紫蘇葉8g

防己6g

木香2g,

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醫鑒).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벌건솔풍령(적복령),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8g,

방기 6g,

목향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강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澤瀉湯][택사탕]  (0) 2022.02.06
[全生白朮散][전생백출산]  (0) 2022.02.03
[茯苓湯][복령탕]  (0) 2022.02.01
[鯉魚湯][이어탕]  (0) 2022.01.31
[竹瀝湯][죽력탕]  (0) 2022.01.29

[茯苓湯][복령탕]

治子腫

當歸 川芎 白芍藥 熟地黃 白朮

赤茯苓 澤瀉 條芩 梔子炒 麥門冬 厚朴 甘草3g

剉作一貼 薑五片 水煎服(醫鑒).

자종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숙지황),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택사, 속썩은풀(황금), 산치자(닦은 것), 맥문동, 후박,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全生白朮散][전생백출산]  (0) 2022.02.03
[防己湯][방기탕]  (0) 2022.02.02
[鯉魚湯][이어탕]  (0) 2022.01.31
[竹瀝湯][죽력탕]  (0) 2022.01.29
[竹葉湯][죽엽탕]  (0) 2022.01.28

[鯉魚湯][이어탕]

治子腫

白朮 赤茯苓8g

白芍藥 當歸6g

橘紅2g,

剉作 一貼 先取鯉魚一箇 修事如食法 水煮

取淸一盞半 入藥及薑七片 煎至一盞 空心 溫服

以水盡腫消爲度(良方).

자종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벌건솔풍령(적복령) 각각 8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당귀 각각 6g,

귤홍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을 만든다.

먼저 잉어 1마리를 보통 먹는 방법대로 물에 삶아 그 물 1잔 반에 생강 7쪽과

위의 약을 함께 넣어 한 잔이 되게 달인 다음 따뜻하게 하여 빈속에 먹는다.

수기(水氣)가 다 빠지고 부은 것이 다 내릴 때까지 쓰는 것이 좋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防己湯][방기탕]  (0) 2022.02.02
[茯苓湯][복령탕]  (0) 2022.02.01
[竹瀝湯][죽력탕]  (0) 2022.01.29
[竹葉湯][죽엽탕]  (0) 2022.01.28
[四物湯][사물탕]  (0) 2022.01.26

[竹瀝湯][죽력탕]

治子煩

赤茯苓40g

剉以水一升半 煎至半 去滓 和竹瀝一合 服.

又 竹瀝細細 飮之 最妙(本草).

벌건솔풍령(적복령) 40g.

위의 약을 썰어서 물 1되 5홉에 달여 절반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참대기름 1홉을 타 먹는다.

또는 참대기름을 조금씩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茯苓湯][복령탕]  (0) 2022.02.01
[鯉魚湯][이어탕]  (0) 2022.01.31
[竹葉湯][죽엽탕]  (0) 2022.01.28
[四物湯][사물탕]  (0) 2022.01.26
[羚羊角湯][영양각탕]  (0) 2022.01.25

[竹葉湯][죽엽탕]

治子煩

白茯苓8g

麥門冬 黃芩6g

防風4g,

剉作一貼 入靑竹葉7片 水煎服 日二(回春).  

흰솔풍령(백복령) 8g,

맥문동, 속썩은풀(황금) 각각 6g,

방풍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청죽엽 7잎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하루 두번 먹는다[회춘].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鯉魚湯][이어탕]  (0) 2022.01.31
[竹瀝湯][죽력탕]  (0) 2022.01.29
[四物湯][사물탕]  (0) 2022.01.26
[羚羊角湯][영양각탕]  (0) 2022.01.25
[一字神散][일자신산]  (0) 2022.01.20

[四物湯][사물탕]

通治 血病

熟地黃, 白芍藥, 川芎, 當歸 各一錢 二分半

右犫作一貼 水煎服[局方]

혈병을 두루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궁궁이(천궁), 당귀 각각 5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一方

 

春倍川芎

夏倍芍藥

秋倍地黃

冬倍當歸

春加防風, 夏加黃芩,

秋加天門, 冬加桂枝[綱目]

어떤 처방은 봄에는 궁궁이(천궁)를 곱으로 넣고

여름에는 집함박꽃뿌리(백작약)를 곱으로 넣으며

가을에는 찐지황(숙지황)을 곱으로 넣고

겨울에는 당귀를 곱으로 넣어 쓰게 되어 있다.

봄에는 방풍을 넣고 여름에는 속썩은풀(황금)을 넣으며

가을에는 천문동을 넣고 겨울에는 계지를 넣어서 쓴다[강목].

 

當歸和血歸經

芍藥凉血補腎

生地黃生血寧心

熟地黃補血滋腎

川芎則行血通肝[丹心]

당귀는 피를 고르게 하여 본경으로 돌아가게 하며

집함박꽃뿌리(백작약)는 피를 서늘하게 하고 신()을 보하며

생지황은 피를 생기게 하고 마음을 편안하게 하며

찐지황(숙지황)은 피를 보하고 신음을 불쿼주며

궁궁이(천궁)는 피를 잘 돌게 하고 간기(肝氣)를 통하게 한다[단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竹瀝湯][죽력탕]  (0) 2022.01.29
[竹葉湯][죽엽탕]  (0) 2022.01.28
[羚羊角湯][영양각탕]  (0) 2022.01.25
[一字神散][일자신산]  (0) 2022.01.20
[三退飮][삼퇴음]  (0) 2022.01.19

[羚羊角湯][영양각탕]

治子癎

羚羊角獨活 酸棗仁 五加皮 5g

防風 薏苡仁 當歸 川芎 茯神 杏仁 3g

木香 甘草 2g

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服(正傳).

영양각(가루를 낸 것), 따두릅(독활), 메대추씨(산조인), 오갈피(오가피) 각각 4.8g,

방풍, 율무쌀(의이인), 당귀, 궁궁이(천궁), 복신, 살구씨(행인) 각각 2.8g,

목향,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竹葉湯][죽엽탕]  (0) 2022.01.28
[四物湯][사물탕]  (0) 2022.01.26
[一字神散][일자신산]  (0) 2022.01.20
[三退飮][삼퇴음]  (0) 2022.01.19
[牛膝湯][우슬탕]  (0) 2022.01.18

[一字神散][일자신산]

治胞衣不下

鬼臼黃色者 硏如粉 不用羅 過以手指 撚之

每服8g 溫酒一盞 同煎至八分 服之 立生如神 此方 救人 幾萬數(得效).

태반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누런 귀구(鬼臼)를 갈아서 채로 치지 말고 손가락으로 비벼서 한번에 8g씩

데운 술 1잔과 함께 끓이다가 8분쯤 되었을 때 먹으면 태반이 곧 나온다.

이 약으로 치료한 사람이 매우 많다[득효].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物湯][사물탕]  (0) 2022.01.26
[羚羊角湯][영양각탕]  (0) 2022.01.25
[三退飮][삼퇴음]  (0) 2022.01.19
[牛膝湯][우슬탕]  (0) 2022.01.18
[奪命丹][탈명단]  (0) 2022.01.16

[三退飮][삼퇴음]

治胞衣不下 神效

蛇退一條全者 蠶退紙一方, 蟬退49

並燒存性 爲末 順流水 調下 立出(正傳).

태반으로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뱀허물(사퇴, 온전한 것) 1개, 누에알 깐 종이 1장, 매미허물(선퇴) 49개.

위의 약들을 약성이 남게 태워 가루낸 것을 강물에 타 먹으면 태반이 곧 나온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羚羊角湯][영양각탕]  (0) 2022.01.25
[一字神散][일자신산]  (0) 2022.01.20
[牛膝湯][우슬탕]  (0) 2022.01.18
[奪命丹][탈명단]  (0) 2022.01.16
[催生散][최생산]  (0) 2022.01.13

[牛膝湯][우슬탕]

治産後胞衣不下 腹滿卽殺人 服此卽爛下

滑石末8g 木通 當歸 牛膝 瞿麥6g 冬葵子8g,

爲剉作一貼 水煎服(局方).

해산 후에 태반이 나오지 않고 배가 그득하면 죽을 수 있다.

이때 이 약을 먹으면 태반이 곧 문드러져 나온다.

곱돌가루(활석) 8g,

으름덩굴(목통), 당귀, 쇠무릎(우슬), 패랭이꽃(구맥) 각각 6g,

돌아욱씨(규자) 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一字神散][일자신산]  (0) 2022.01.20
[三退飮][삼퇴음]  (0) 2022.01.19
[奪命丹][탈명단]  (0) 2022.01.16
[催生散][최생산]  (0) 2022.01.13
[神應黑散][신응흑산]  (0) 2022.01.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