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露薑飮][노강음]

治痰瘧

生薑150g

連皮搗爛 止取自然汁約

明日 當發隔夜 安排將紗片 盖露一宿

五更初 澄者一上飮之 或有痰吐任之卽安(得效).

담학을 치료한다.

생강 160g.

위의 약을 껍질째로 잘 짓찧어 즙을 내어 발작하기 전날 밤에

얇은 생명주를 덮어 밖에 내놓아 하룻밤 이슬을 맞힌다.

날샐 무렵에 그 윗물을 마신다.

그러면 혹 담을 토할 수도 있는데 그대로 두어도 곧 안정된다[득효].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濟生石膏湯][제생석고탕]  (0) 2022.03.04
[驅邪湯][구사탕]  (0) 2022.03.03
[醒脾飮子][성비음자]  (0) 2022.03.01
[大寧散][대녕산]  (0) 2022.02.27
[訶朮散][가출산]  (0) 2022.02.26

[醒脾飮子][성비음자]

治子瘧 寒瘧

厚朴 草豆蔲硏各20g

乾薑 甘草1g,

剉作一貼 入薑五棗二 同煎 空心服(入門).

자학과 한학(寒 )을 치료한다.

후박, 초두구(간 것) 각각 20g,

건강 1.2g, 감초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驅邪湯][구사탕]  (0) 2022.03.03
[露薑飮][노강음]  (0) 2022.03.02
[大寧散][대녕산]  (0) 2022.02.27
[訶朮散][가출산]  (0) 2022.02.26
[鴨子煎][압자전]  (0) 2022.02.25

[大寧散][대녕산]

治姙娠下痢赤白 或泄瀉腹痛垂死者

黑豆35罌粟殼100g半生半炒 甘草100g半生半炒,

爲粗末 都作一貼 入薑三片 同煎 空心服 神效(綱目).

임신 때 적백이질(赤白痢疾)과 설사로 배가 아파서 죽을 듯한 것을 치료한다.

검정콩 35알, 앵속각 80g(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은 것),

감초 80g(절반은 생것, 절반은 닦은 것).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모두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빈속에 먹으면 잘 낫는다[강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露薑飮][노강음]  (0) 2022.03.02
[醒脾飮子][성비음자]  (0) 2022.03.01
[訶朮散][가출산]  (0) 2022.02.26
[鴨子煎][압자전]  (0) 2022.02.25
[雞黃散][계황산]  (0) 2022.02.24

[訶朮散][가출산]

治姙娠泄瀉 由食坐冷當風凉所致

訶子皮 白朮6g

陳皮 良薑 木香 白芍藥酒炒 肉荳蔲甘草灸4g

剉作 一貼 薑五水煎服(正傳).

임신 때 날것과 찬 것을 먹거나 풍랭에 상하여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가자피, 흰삽주(백출) 각각 6g,

귤껍질(陳皮), 양강, 목향,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醒脾飮子][성비음자]  (0) 2022.03.01
[大寧散][대녕산]  (0) 2022.02.27
[鴨子煎][압자전]  (0) 2022.02.25
[雞黃散][계황산]  (0) 2022.02.24
[白朮湯][백출탕]  (0) 2022.02.23

[鴨子煎][압자전]

治子嗽

生薑年少者375g,年老者750g搗取自然汁

鴨子一箇 打破 入薑汁內 攪勻

同煎至八分 入蒲黃12g再煎五七沸 空心 溫服 立效(本事).

위와 같은 증상을 치료한다.

생강(젊은이는 380g, 늙은이는 760g을 쓰되 짓찧어 낸 즙에

오리알 1알을 깨어 넣고 고루 저으면서 달인다.

약물이 8분쯤 되면 부들꽃가루 12g을 넣고 다시 다섯에서 일곱번 끓어오르게 달인다).

위의 약을 따뜻하게 하여 빈속에 먹으면 곧 낫는다[본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寧散][대녕산]  (0) 2022.02.27
[訶朮散][가출산]  (0) 2022.02.26
[雞黃散][계황산]  (0) 2022.02.24
[白朮湯][백출탕]  (0) 2022.02.23
[當歸芍藥湯][당귀작약탕]  (0) 2022.02.22

[雞黃散][계황산]

治子痢

烏鷄卵一箇傾出 淸留黃

黃丹4g入雞子殼內攪勻厚紙 糊口塩泥固濟火煆

硏爲末 每取8g 米飮調下,

一服愈者 是男,

二服愈者是女(本事).

자리를 치료한다.

오계의 알 1개(한쪽 끝에 구멍을 뚫고 흰자위는 찌워 버린다[傾出].

노른자위를 남겨 놓은 다음 황단 4g을 넣어 섞어서 두터운 종이에

풀을 발라 구멍을 막고 소금을 두고 이긴 진흙으로 잘 싸발라서 불에 굽는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미음에 타 먹인다.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訶朮散][가출산]  (0) 2022.02.26
[鴨子煎][압자전]  (0) 2022.02.25
[白朮湯][백출탕]  (0) 2022.02.23
[當歸芍藥湯][당귀작약탕]  (0) 2022.02.22
[天門冬飮][천문동음]  (0) 2022.02.19

[白朮湯][백출탕]

治孕婦下痢膿血

白朮 當歸 黃芩 12g,

剉作一貼 水煎服(正傳).

임신부가 이질로 대변에 피고름이 섞여 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흰삽주(백출), 당귀, 속썩은풀(황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鴨子煎][압자전]  (0) 2022.02.25
[雞黃散][계황산]  (0) 2022.02.24
[當歸芍藥湯][당귀작약탕]  (0) 2022.02.22
[天門冬飮][천문동음]  (0) 2022.02.19
[馬兜鈴散][마두령산]  (0) 2022.02.18

[當歸芍藥湯][당귀작약탕]

治子痢

白芍藥 白朮6g

當歸 白茯苓 澤瀉 條芩4g

木香 檳榔 黃連 甘草3g

剉作一貼 水煎服. 白痢腹痛 去芩連 加乾薑(正傳).

자리를 치료한다.

집함박꽃뿌리(백작약), 흰삽주(백출) 각각 6g,

당귀, 흰솔풍령(백복령), 택사, 속썩은풀(황금) 각각 4g,

목향, 빈랑, 황련,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

이질로 곱똥을 누면서 배가 아픈 데는 속썩은풀(황금)과 황련을 빼고 건강을 더 넣는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雞黃散][계황산]  (0) 2022.02.24
[白朮湯][백출탕]  (0) 2022.02.23
[天門冬飮][천문동음]  (0) 2022.02.19
[馬兜鈴散][마두령산]  (0) 2022.02.18
[百合散][백합산]  (0) 2022.02.17

[天門冬飮][천문동음]

治子嗽

天門冬 紫菀茸 知母 桑白皮 6g

五味子 桔梗 4g,

剉作一貼 水煎服(正傳).

자수를 치료한다.

천문동, 자원용, 지모,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각각 6g,

오미자, 도라지(길경)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湯][백출탕]  (0) 2022.02.23
[當歸芍藥湯][당귀작약탕]  (0) 2022.02.22
[馬兜鈴散][마두령산]  (0) 2022.02.18
[百合散][백합산]  (0) 2022.02.17
[紫菀湯][자원탕]  (0) 2022.02.16

[馬兜鈴散][마두령산]

治子嗽 氣壅喘急

陳皮 大腹皮 桑白皮 紫蘇葉 5g

馬兜鈴 桔梗 人參 貝母 五味子 甘草 3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良方).

자수와 기가 막혀 숨차 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陳皮), 빈랑껍질,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4.8g,

마두령, 도라지(길경), 인삼, 패모, 오미자, 감초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芍藥湯][당귀작약탕]  (0) 2022.02.22
[天門冬飮][천문동음]  (0) 2022.02.19
[百合散][백합산]  (0) 2022.02.17
[紫菀湯][자원탕]  (0) 2022.02.16
[腎氣丸][신기환]  (0) 2022.0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