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荊芥散][형개산]

治血暈 如神

荊芥穗 搗爲末 每7.5g童便一盞 調熱服,

口噤 斡開灌之(湯液).

혈훈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형개수를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물 1잔에 타서 따끈하게 하여 먹는다.

이를 악물었으면 입을 억지로 벌리고 떠넣는다[탕액].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氣養血湯][보기양혈탕]  (0) 2022.04.08
[濟危上丹][제위상단]  (0) 2022.04.07
[四味湯][사미탕]  (0) 2022.04.02
[奪命散][탈명산]  (0) 2022.04.01
[淸魂散][청혼산]  (0) 2022.03.31

[四味湯][사미탕]

治産後血暈

當歸 玄胡索 血竭 沒藥4g

爲粗末 童便煎服(丹心).

或細末每7.5g 童便調下

名曰 [四味散](入門).

해산 후의 혈훈을 치료한다.

당귀, 현호색, 혈갈, 몰약 각각 4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단심].

또는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물에 타 먹는다.

일명 사미산(四味散)이라고도 한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濟危上丹][제위상단]  (0) 2022.04.07
[荊芥散][형개산]  (0) 2022.04.03
[奪命散][탈명산]  (0) 2022.04.01
[淸魂散][청혼산]  (0) 2022.03.31
[立效散][입효산]  (0) 2022.03.28

[奪命散][탈명산]

治血暈 譫妄

沒藥 血竭各等分 爲末 每12g 以童便

好酒各半盞 數沸 調服 神效.

一名, [血竭散](丹心).

혈훈으로 헛소리하는 것을 치료한다.

몰약, 혈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12g씩 좋은 술 반 잔을

몇 번 끓어오르게 달인 데다 타 먹으면 곧 효과가 있다.

일명 혈갈산(血竭散)이라고도 한다[단심].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荊芥散][형개산]  (0) 2022.04.03
[四味湯][사미탕]  (0) 2022.04.02
[淸魂散][청혼산]  (0) 2022.03.31
[立效散][입효산]  (0) 2022.03.28
[起枕散][기침산]  (0) 2022.03.27

[淸魂散][청혼산]

治産後血暈

荊芥20g 川芎10g 人參 澤蘭5g 甘草4g,

爲末 以溫酒 熱湯各半盞 調7.5g灌之,下咽卽甦(良方).

해산 후의 혈훈을 치료한다.

형개수 20g, 궁궁이(천궁) 10g, 인삼, 쉽싸리잎(택란엽) 각각 5g, 감초 4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과 뜨거운 물

각각 반잔에 타서 입에 떠넣어 목구멍으로 내려가면 곧 낫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味湯][사미탕]  (0) 2022.04.02
[奪命散][탈명산]  (0) 2022.04.01
[立效散][입효산]  (0) 2022.03.28
[起枕散][기침산]  (0) 2022.03.27
[三聖散][삼성산]  (0) 2022.03.26

[立效散][입효산]

治兒枕痛

五靈脂炒

爲末 每7.5g 溫酒調下(良方).

후배앓이를 치료한다.

오령지(닦은 것).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奪命散][탈명산]  (0) 2022.04.01
[淸魂散][청혼산]  (0) 2022.03.31
[起枕散][기침산]  (0) 2022.03.27
[三聖散][삼성산]  (0) 2022.03.26
[紫金丸][자금환]  (0) 2022.03.25

[起枕散][기침산]

治兒枕痛極苦

當歸 白芍藥8g 川芎6g

白芷 桂心 蒲黃 牧丹皮 玄胡索 五靈脂 沒藥3g

剉作 一貼 水煎 入好醋 空心服(醫鑒).

후배앓이로 몹시 괴로워하는 것을 치료한다.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8g, 궁궁이(천궁) 6g,

구릿대(백지), 계심, 부들꽃가루(포황), 모란뿌리껍질(목단피), 현호색, 오령지, 몰약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인 다음 좋은 식초를 넣어 빈속에 먹는다[의감].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淸魂散][청혼산]  (0) 2022.03.31
[立效散][입효산]  (0) 2022.03.28
[三聖散][삼성산]  (0) 2022.03.26
[紫金丸][자금환]  (0) 2022.03.25
[正氣補虛湯][정기보허탕]  (0) 2022.03.21

[三聖散][삼성산]

治産後 兒枕痛不可忍

當歸40g 玄胡索 桂心20g,

爲末 每7.5g 童便或 熱酒調下(正傳).

一名 [玄胡索散][현호색산] (得效).

해산 후 후배앓이로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40g, 현호색, 계심 각각 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데운 술에 타 먹는다[정전].

일명 현호색산(玄胡索散)이라고도 한다[득효].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立效散][입효산]  (0) 2022.03.28
[起枕散][기침산]  (0) 2022.03.27
[紫金丸][자금환]  (0) 2022.03.25
[正氣補虛湯][정기보허탕]  (0) 2022.03.21
[補虛湯][보허탕]  (0) 2022.03.20

[紫金丸][자금환]

治産後 兒枕臍腹痛

失笑散(五靈脂 蒲黃等分 爲末)末 和醋熬膏 丸如櫻桃大

2丸 童便 溫酒各半盞 調服(良方).

치산후 아침제복통

실소산가루에 식초를 두고 달여 고약처럼 졸인 다음 앵두알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2알씩 데운 술 반잔에 풀어 먹는다[양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起枕散][기침산]  (0) 2022.03.27
[三聖散][삼성산]  (0) 2022.03.26
[正氣補虛湯][정기보허탕]  (0) 2022.03.21
[補虛湯][보허탕]  (0) 2022.03.20
[梔子大靑湯][치자대청탕]  (0) 2022.03.14

[正氣補虛湯][정기보허탕]

諸虛 冷氣 宜服

人參 藿香 厚朴 黃芪 白芷 當歸 熟地黃 川窮 茯神 各3g

肉桂 五味子 白朮 半夏 附子 丁香 木香 乾薑 甘草 各2g

剉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得效).

여러 가지 허랭(虛冷)한 기운을 치료한다.

인삼, 곽향, 후박, 단너삼(황기), 구릿대(백지), 당귀,

찐지황(숙지황), 궁궁이(천궁), 복신 각각 2.8g,

육계, 오미자, 흰삽주(백출), 끼무릇(반하),

부자, 정향, 목향, 건강, 감초 각각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聖散][삼성산]  (0) 2022.03.26
[紫金丸][자금환]  (0) 2022.03.25
[補虛湯][보허탕]  (0) 2022.03.20
[梔子大靑湯][치자대청탕]  (0) 2022.03.14
[葱白湯][총백탕]  (0) 2022.03.13

[補虛湯][보허탕]

産後通治

人參 白朮 各6g

當歸 川芎 黃芪 陳皮 各4g, 甘草3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服.

熱輕 倍加茯苓, 熱重 加酒芩,

熱甚 加乾薑炒黑 引諸藥 入肝經 生血(入門).

인삼, 흰삽주(백출) 각각 6g,

당귀, 궁궁이(천궁), 단너삼(황기), 귤껍질(陳皮) 각각 4g, 감초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열이 경(輕)하면 솔풍령을 곱절 넣고 열이 심하면

속썩은풀(황금, 술로 법제한 것)을 더 넣는다.

열이 더욱더 심하면 건강(검눋도록 닦은 것)을 더 넣어

모든 약 기운을 간경(肝經)으로 이끌어서 혈을 생기게 한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紫金丸][자금환]  (0) 2022.03.25
[正氣補虛湯][정기보허탕]  (0) 2022.03.21
[梔子大靑湯][치자대청탕]  (0) 2022.03.14
[葱白湯][총백탕]  (0) 2022.03.13
[保安白朮散][보안백출산]  (0) 2022.03.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