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蔘膏][인삼고]
治元氣虛乏 精神短少 言語不接 能回元氣於無何有之鄕 王道也.
人蔘600g 切片入砂鍋內 水浮藥一指 文武火煎 乾一半,傾在別處,
又將渣如前煎 三次 嚼參無味 乃止,却將前汁 入鍋內熬成膏 日服5~6匙.
有肺火與天門冬對用甚妙(入門).
원기가 허약하고 정신이 부족하며 말을 연달아 하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이것은 원기를 완전히 회복시키는 데 좋은 처방이다.
인삼 600g.
위의 약을 썰어서 사기냄비에 넣고 물은 약보다 한 손가락 길이만큼 더 올라오게 두고 세지도 약하지도 않은 불에 달여 절반쯤 줄면 물을 다른 그릇에 따라 둔다. 그리고 약 찌꺼기는 먼저와 같이 세번 달인다. 인삼을 씹어 보아 아무 맛도 없으면 더 달이지 않고 앞의 달인 물을 남비에 넣고 졸여 고약처럼 만든다. 하루에 5-6숟가락씩 먹는다. 폐에 열이 있을 때에는 천문동과 같이 쓰면 효과가 매우 좋다[입문].
人參 治脾肺陽氣不足 能補氣促 短氣 少氣,非升麻爲引用 不能補上升之氣.
升麻一分 人參三分爲相得也.
若補下焦元氣 瀉腎中火邪 茯苓爲之使(東垣).
인삼은 비(脾)와 폐(肺)의 양기부족을 치료하고 기촉(氣促), 단기(短氣), 소기(少氣) 등을 보하는 작용을 한다.
승마를 인경약으로 쓰지 않으면 올라가는 기를 보하지 못한다.
승마 1, 인삼 3의 비례로 합해서 쓰는 것이 좋다.
만약 하초의 원기를 보하고 신(腎)의 화사(火邪)를 사(瀉)하려면 솔풍령(복령)을 사약(使藥)으로 써야 한다[동원].
人參膏 獨蔘湯 須以長流水煎服 乃有奇效(醫說).
인삼고와 독삼탕은 반드시 흐르는 물로 달여 먹어야 아주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의설].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七珍散][칠진산] (0) | 2022.04.24 |
---|---|
[旋覆花湯][선복화탕] (0) | 2022.04.21 |
[獨蔘湯][독삼탕] (0) | 2022.04.19 |
[小參蘇飮][소삼소음] (0) | 2022.04.18 |
[二母散][이모산] (0) | 2022.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