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香桂散][향계산]

下死胎

桂心12g,  麝香2g,

爲末 作一貼 溫酒調下 須臾卽下(正傳).

죽은 태아를 나오게 한다.

계심 12g, 사향 2g.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1첩으로 한 다음 데운 술에 타 먹으면 잠시 뒤에 곧 나온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平胃散][평위산]  (0) 2022.01.06
[桂香丸][계향환]  (0) 2022.01.05
[佛手散][불수산]  (0) 2022.01.03
[八物湯加味][팔물탕가미]  (0) 2022.01.01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1.12.31

[佛手散][불수산]

治胎傷 心腹痛 口噤欲絶

用此探之 胎不損則痛止 子母俱安

若胎死則 立便逐下 神效(方見上)

태아가 상해서 명치 밑이 아프고 이를 악물며 숨이 끊어질 듯한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을 먹으면 태아가 상하지 않을 뿐 아니라 아픔이 멎고 임신부와 태아가 다 편안해진다.

만일 태아가 죽었으면 곧 나오는데 매우 효과가 좋다(처방은 위에 있다).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桂香丸][계향환]  (0) 2022.01.05
[香桂散][향계산]  (0) 2022.01.04
[八物湯加味][팔물탕가미]  (0) 2022.01.01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1.12.31
[遇仙丹][우선단]  (0) 2021.12.29

[八物湯加味][팔물탕가미]

治氣血俱虛

人蔘 白朮 白茯苓 當歸 川芎 熟地黃 白芍藥 甘草 各4g 水煎服

過月不産 用八物湯 方見虛勞

加黃芪 鹿角膠珠 煎服 峻補之(正傳).

虛勞轉載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香桂散][향계산]  (0) 2022.01.04
[佛手散][불수산]  (0) 2022.01.03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1.12.31
[遇仙丹][우선단]  (0) 2021.12.29
[立聖丹][입성단]  (0) 2021.12.28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小便出血 而不痛者 爲尿血 非淋也

是血從精竅中來 乃心移熱於小腸

當歸 川芎 白芍藥 熟地黃6g

梔子 滑石 牛膝 黃芩 黃蓮4g

水煎服(入門).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通治血病

熟地黃 白芍藥 川芎 當歸各5g.

剉作一貼, 水煎服(局方)血門轉載

過月不産

四物湯 方見血門

加香附 桃仁 枳殼 縮砂 紫蘇葉 水煎服 卽産(良方).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佛手散][불수산]  (0) 2022.01.03
[八物湯加味][팔물탕가미]  (0) 2022.01.01
[遇仙丹][우선단]  (0) 2021.12.29
[立聖丹][입성단]  (0) 2021.12.28
[如聖膏][여성고]  (0) 2021.12.27

[遇仙丹][우선단]

治橫逆産 惡候及死胎不下

萆麻子14粒去殼

朱砂 雄黃6g

蛇脫一條燒枯

爲末 漿水飯和丸 彈子大 臨用 先以椒湯淋渫臍下

次安藥一丸於臍中 以蠟紙覆上以帛繫定 須臾生下 急取去藥(易老).

횡산과 역산과 좋지 못한 증상과 죽은 태아가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아주까리씨(피마자, 껍질을 버린 것) 14알,

주사, 석웅황(웅황) 각각 6g,

뱀허물(선퇴) 1개(태운다).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신좁쌀죽웃물과 밥으로 반죽한 다음 달걀 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쓸 때에는 먼저 조피열매 달인 물로 산모의 배꼽을 씻고 이 약 1알을 배꼽에 놓은 다음

밀랍 먹인 종이[蠟紙]로 덮고 붕대를 감아 두면 잠시 뒤에 해산한다.

몸푼 뒤에는 빨리 약을 떼버려야 한다[역로].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八物湯加味][팔물탕가미]  (0) 2022.01.01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1.12.31
[立聖丹][입성단]  (0) 2021.12.28
[如聖膏][여성고]  (0) 2021.12.27
[如神丹][여신단]  (0) 2021.12.26

[立聖丹][입성단]

治橫逆産 惡候及死胎不下 神驗

寒水石160g80g生用 80g煆赤 硏爲細末 入朱砂末 如深桃花色

每用1g 井水調 如薄糊 用紙花剪 如杏葉大 攤貼臍心 候乾再易 不過三上 便産(綱目).

횡산과 역산과 좋지 못한 증상과 죽은 태아가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 데 효과가 좋다.

한수석 160g(절반은 생것, 절반은 벌겋게 달군 것)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주사가루를 넣어 진한 복숭아꽃빛처럼 되게 한 다음

한번에 1.2g씩 우물물에 넣고 묽은 풀처럼 탄다.

살구잎만하게 오려낸 종이에 이 약을 발라 배꼽에 붙이되 마르면 갈아 붙인다.

세번 넘지 않아 해산한다[강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物湯加味][사물탕가미]  (0) 2021.12.31
[遇仙丹][우선단]  (0) 2021.12.29
[如聖膏][여성고]  (0) 2021.12.27
[如神丹][여신단]  (0) 2021.12.26
[楡白皮湯][유백피탕]  (0) 2021.12.23

[如聖膏][여성고]

治難産及死胎不下 十分危急者

巴豆16箇去殼

萆麻子49粒去殼

麝香8g,

同搗如泥 攤絹帛上貼臍上一時 産下卽洗去(入門).

난산과 죽은 태아가 잘 나오지 않아서 아주 위급하게 된 것을 치료한다.

파두(껍질을 버린 것) 16개,

아주까리씨(피마자, 껍질을 버린 것) 49알,

사향 8g.

위의 약들을 한데 짓찧어 헝겊에 발라서 배꼽에 붙이면 2시간쯤 지나서 해산한다.

해산한 뒤에는 바로 씻어 버려야 한다[입문].

 

一方 摕麻子去皮一兩

雄黃二錢

同硏成膏塗母右脚心瀮産速洗去

否則腸出用此膏塗頂上腸自入

亦名 如聖膏[得效]

또 한 가지 방법은

아주까리씨(껍질을 버린 것) 40g,

석웅황 8g 등을 함께 갈아서 고약을 만들어 임신부의 오른쪽 발바닥에 붙인다.

해산이 되면 바로 씻어 버려야 한다.

만일 씻어 버리지 않고 오래 두면 자궁탈출까지 될 수 있다.

이런 때에는 산모의 정수리에 이 약을 붙이면 자궁이 저절로 들어간다.

이것도 역시 여성고라고 한다[득효].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遇仙丹][우선단]  (0) 2021.12.29
[立聖丹][입성단]  (0) 2021.12.28
[如神丹][여신단]  (0) 2021.12.26
[楡白皮湯][유백피탕]  (0) 2021.12.23
[來甦散][내소산]  (0) 2021.12.20

[如神丹][여신단]

外貼 難産催生

巴豆三枚 萆麻子七粒並去殼 入麝香少許 捏作餠子 貼臍中 分産卽以溫湯洗去.

歌曰 巴三萆七脫衣裳 細硏如泥入麝香 捏作彈丸臍下貼 須臾字母便分張(正傳).

파두 3, 아주까리씨 7(피마자, 모두 껍질을 버린 것)

사향을 조금 넣고 짓찧어서 떡을 만들어 배꼽에 붙인다.

해산이 되면 곧 더운물로 씻어버려야 한다.

노래에는:

파두 세 개 피마 일곱 껍질 벗겨 곱게 갈아

진흙처럼 반죽해서 사향 넣고 고루 섞어

탄자만큼 알약 지어 배꼽 아래 붙이면

잠깐 뒤에 고운 아기 으악 소리 지른다네[정전].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立聖丹][입성단]  (0) 2021.12.28
[如聖膏][여성고]  (0) 2021.12.27
[楡白皮湯][유백피탕]  (0) 2021.12.23
[來甦散][내소산]  (0) 2021.12.20
[龜殼散][구각산]  (0) 2021.12.19

[楡白皮湯][유백피탕]

治産難 胞乾不下

楡白皮 冬葵子 瞿麥 10g

牛膝 麻仁去殼 各6g

木通4g,

爲剉作一貼 水煎服(局方).

난산과 자궁이 말라서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느릅나무껍질(유근피), 돌아욱씨(규자), 패랭이꽃(구맥) 각각 8g,

쇠무릎(우슬), 삼씨(마자인, 껍질을 버린 것) 각각 6g,

으름덩굴(목통)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如聖膏][여성고]  (0) 2021.12.27
[如神丹][여신단]  (0) 2021.12.26
[來甦散][내소산]  (0) 2021.12.20
[龜殼散][구각산]  (0) 2021.12.19
[勝金散][승금산]  (0) 2021.12.17

[來甦散][내소산]

治臨産用力太過 氣衰脈微 精神昏暈 口噤面靑 不省人事

木香 神麴 陳皮 麥芽 黃芪 阿膠 白芍藥4g

苧根 甘草12g

糯米一合

加生薑三片 煎服 連用爲妙 或斡開口灌下(入門)

 

해산할 무렵에 힘을 너무 써서 기운이 약해지고 맥이 미(微)하며

정신이 혼미하고 이를 악물며 낯빛이 푸르러지고 사람을 알아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한다.

목향, 약누룩(신국), 귤껍질(陳皮), 보리길금(맥아), 단너삼(황기), 갖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각각 4g,

모시풀뿌리(야저근), 감초 각각 12g,

찹쌀 1홉.

위의 약들을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연거푸 먹으면 더욱 좋다.

혹 이를 악물었으면 입을 억지로 벌리고 떠 넣어야 한다[입문].

'[雜病篇] > [婦人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如神丹][여신단]  (0) 2021.12.26
[楡白皮湯][유백피탕]  (0) 2021.12.23
[龜殼散][구각산]  (0) 2021.12.19
[勝金散][승금산]  (0) 2021.12.17
[寤生丸][오생환]  (0) 2021.12.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