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人參截瘧飮][인삼절학음]
虛人截瘧 宜用一切瘧並可截
人蔘 白朮 白茯苓 當歸 靑皮 厚朴
柴胡 黃芩 知母 常山酒浸 草果 鱉甲灸 各3g
桂枝 甘草 各1g
剉作一貼 入薑三棗二梅一桃仁7箇 水煎 露一宿 臨發日 五更 空心服
渣再煎朝時服 糖拌烏梅 下藥切忌 皺魚頭腐 麪食熱物(回春).
허약한 사람이 학질을 앓을 때 세게 치려면 반드시 이것을 써야 한다.
여러 가지 학질도 다 세게 치는 약이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당귀, 선귤껍질(靑皮),
후박, 시호, 속썩은풀(황금), 지모, 상산(술에 담갔던 것), 초과,
자라등딱지(별갑, 식초를 발라 구운 것) 각각 3.2g, 계지,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고 여기에 생강 3쪽, 대추 2알, 오매 1개,
복숭아씨 7알을 넣어서 물에 달인다.
다음 하룻밤 이슬을 맞혀서 발작할 날 이른 새벽 빈속에 먹는다.
다음 찌꺼기를 다시 달여 아침에 먹는다.
그 다음 사탕에 오매를 버무려 먹어서 약 기운을 내리워야 한다.
닭고기, 물고기, 두부, 밀가루음식 등 열이 나게 하는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회춘].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一淸飮][일청음]   (0) 2019.01.07
[人蔘淸肺飮][인삼청폐음]   (0) 2019.01.07
[人參飮][인삼음]  (0) 2019.01.07
[梨漿飮][이장음]   (0) 2019.01.07
[二角飮][이각음]   (0) 2019.01.07

[人參飮][인삼음]
人遇勞倦辛苦 用力過多 卽服一~二貼 免生內傷發熱之病
黃芪6g

人參 白朮 陳皮 麥門冬 各4g

茯神 甘草 各3g

五味子20粒.
剉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必用).
一名 [補氣湯] (醫鑑).
노권상(勞倦傷)으로 몹시 괴롭거나 힘을 너무 썼을 때에
이 약을 1-2첩 먹으면 내상(內傷)으로 열이 나는 병을 피할 수 있다.
단너삼(황기) 6g,
인삼, 흰삽주(백출), 귤껍질(陳皮), 맥문동 각각 4g,
복신 3.2g, 감초 2.8g, 오미자 20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필용].
일명 보기탕(補氣湯)이라고도 한다[의감].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蔘淸肺飮][인삼청폐음]   (0) 2019.01.07
[人參截瘧飮][인삼절학음]   (0) 2019.01.07
[梨漿飮][이장음]   (0) 2019.01.07
[二角飮][이각음]   (0) 2019.01.07
[潤肺除嗽飮][윤폐제수음]   (0) 2019.01.07

[梨漿飮][이장음]
治潮熱
菁蒿童便浸一宿晒乾

柴胡 人參 黃芩 前胡 秦芃 甘草 各1g
生梨一片 薄荷二葉 生地黃一寸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제비쑥(청호, 동변에 하룻밤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 것),
시호, 인삼, 속썩은풀(황금), 전호, 진교, 감초 각각 0.8g,
생배(生梨) 한 쪽, 박하 2잎, 생지황 1치.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인다[입문].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參截瘧飮][인삼절학음]   (0) 2019.01.07
[人參飮][인삼음]  (0) 2019.01.07
[二角飮][이각음]   (0) 2019.01.07
[潤肺除嗽飮][윤폐제수음]   (0) 2019.01.07
[溫淸飮][온청음]  (0) 2019.01.07

[二角飮][이각음]
治痘焦乾黑陷 身熱如火
犀角 羚羊角各分 井水濃磨取汁服 有回生之功(入門).
구슬이 몹시 건조하고 거멓게 꺼져 들어가며 몸이 불덩이처럼 더운 것을 치료한다.
서각, 영양각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우물물로 걸게 갈아서 먹이면 회복되는 힘이 생긴다[종행].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人參飮][인삼음]  (0) 2019.01.07
[梨漿飮][이장음]   (0) 2019.01.07
[潤肺除嗽飮][윤폐제수음]   (0) 2019.01.07
[溫淸飮][온청음]  (0) 2019.01.07
[靈仙除痛飮][영선제통음]  (0) 2019.01.07

[潤肺除嗽飮][윤폐제수음]
治遠年咳嗽 如神
款冬花 紫菀茸 麻黃 陳皮 石膏粉 桔梗
半夏 桑白皮 枳殼 烏梅肉 鶯粟殼 各3g
人參 杏仁 薄荷 生甘草各2g 五味子9粒
剉作一貼 入薑三片 細茶一撮 同煎服(正傳).
여러 해 된 기침을 치료하는 데 신기한 효과가 있다.
관동화, 자원용, 마황, 귤껍질(陳皮), 석고가루, 도라지(길경),
끼무릇(반하),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지각, 오매살, 앵속각 각각 2.8g,
인삼, 살구씨(행인), 박하, 감초(생것) 각각 2g, 오미자 9알.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좋은 차 1자밤과 함께 달여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梨漿飮][이장음]   (0) 2019.01.07
[二角飮][이각음]   (0) 2019.01.07
[溫淸飮][온청음]  (0) 2019.01.07
[靈仙除痛飮][영선제통음]  (0) 2019.01.07
[連翹飮][연교음]   (0) 2019.01.07

[溫淸飮][온청음]
治崩漏不止, 五色相雜, 面黃腹痛, 寒熱往來.
一名 [解毒四物湯] 方見上.
붕루가 그치지 않는데 다섯 가지 색이 섞여 있고,
얼굴이 누렇게 뜨고 배가 아프며 추웠다 더웠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일명 해독사물탕(처방은 앞에 있다)이라고도 한다.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二角飮][이각음]   (0) 2019.01.07
[潤肺除嗽飮][윤폐제수음]   (0) 2019.01.07
[靈仙除痛飮][영선제통음]  (0) 2019.01.07
[連翹飮][연교음]   (0) 2019.01.07
[如聖飮][여성음]   (0) 2019.01.07

[靈仙除痛飮][영선제통음]
治肢節腫痛 痛屬火 腫屬濕 兼受風寒 而發動於經絡之中
濕熱流走 於肢節之間
麻黃 赤芍藥 各4g,
當歸梢 升麻 甘草各1g,
防風 荊芥 羗活 獨活 威靈仙 白芷 蒼朮 片芩酒炒 枳實 桔梗 葛根 川芎 各2g
剉作一貼 水煎服(醫鑒).
一名 [麻黃芍藥湯]
팔다리의 뼈마디가 부어오르고 아픈 것을 치료하는데
아픈 것은 화(火)에 속하고 부어오르는 것은 습(濕)에 속한다.
겸하여 풍한(風寒)이 경락(經絡)에까지 들어가 작용하므로
습열(濕熱)이 팔다리의 뼈마디 사이에 돌아다니는 것도 치료한다.
마황, 함박꽃뿌리(적작약) 각각 4g,
당귀(잔뿌리), 승마, 감초 각각 1.2g.
방풍, 형개, 강호리(강활), 따두릅(독활), 으아리(위령선), 구릿대(백지),
삽주(창출),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지실, 도라지(길경),
칡뿌리(갈근), 궁궁이(천궁)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일명 마황작약탕(麻黃芍藥湯)이라고도 한다.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潤肺除嗽飮][윤폐제수음]   (0) 2019.01.07
[溫淸飮][온청음]  (0) 2019.01.07
[連翹飮][연교음]   (0) 2019.01.07
[如聖飮][여성음]   (0) 2019.01.07
[凉血飮][양혈음]  (0) 2019.01.07

[連翹飮][연교음]
治惡瘡 遍身痛痒及血風瘡
連翹 赤芍藥 當歸 荊芥 防風 惡實 川芎 梔子
黃芩 瞿麥 木通 生乾地黃 瓜蔞根 麥門冬 甘草 各3g,
剉作一貼 入燈心 一塊 水煎服(得效).
온몸에 악창이 퍼져서 아프고 가려운 것과 혈풍창을 치료한다.
연교, 함박꽃뿌리(적작약), 당귀, 형개, 방풍, 우엉씨(악실), 궁궁이(천궁),
산치자, 속썩은풀(황금), 패랭이꽃(구맥), 으름덩굴(목통), 생건지황,
하늘타리뿌리(과루근), 맥문동,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 2g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溫淸飮][온청음]  (0) 2019.01.07
[靈仙除痛飮][영선제통음]  (0) 2019.01.07
[如聖飮][여성음]   (0) 2019.01.07
[凉血飮][양혈음]  (0) 2019.01.07
[安胎飮][안태음]   (0) 2019.01.07

[如聖飮][여성음]
咽乾澁痛 口爛齦腫 乃心胃熱也. 宜如聖飮
麥門冬 桔梗 各4g
鼠粘子 甘草 各2g
爲剉 入竹葉3片 同水煎服(得效).
맥문동, 도라지(길경) 각각 4g, 우엉씨(서점자),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참대잎(죽엽) 3장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인다[득효].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靈仙除痛飮][영선제통음]  (0) 2019.01.07
[連翹飮][연교음]   (0) 2019.01.07
[凉血飮][양혈음]  (0) 2019.01.07
[安胎飮][안태음]   (0) 2019.01.07
[十六味流氣飮][십육미유기음]  (0) 2019.01.07

[凉血飮][양혈음]
治痔漏, 因風熱燥歸于大腸, 故凉血爲主.
人蔘, 黃芪, 黃連, 生地黃, 當歸, 川芎, 槐角, 條芩, 枳殼, 升麻 各一錢.
右剉作一貼, 水煎, 空心服, 或丸服[丹心].
치루를 치료한다.
치루는 풍(風), 열(熱), 조(燥)가 대장에 몰려 생기므로 피를 서늘하게 하는 것을 위주로 한다.
인삼, 황기, 황련, 생지황, 당귀, 천궁, 괴각, 황금, 지각, 승마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連翹飮][연교음]   (0) 2019.01.07
[如聖飮][여성음]   (0) 2019.01.07
[安胎飮][안태음]   (0) 2019.01.07
[十六味流氣飮][십육미유기음]  (0) 2019.01.07
[十味香유飮][십미향유음]   (0) 2019.0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