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胎飮][안태음]
治胎動不安 五六個月常服數貼 甚妙
白朮8g, 條芩6g
當歸 白芍藥 熟地黃 縮砂硏 陳皮 各4g
川芎 紫蘇葉 各3g, 甘草2g
剉作一貼 水煎服(醫鑒).
一方 有人參 無熟地黃 代生地黃(入門).
胎不安 加阿膠, 胎痛 加縮砂.
黃芩 安胎者 降火也 縮砂 安胎者 行氣也.
若血虛而胎不安 阿膠主之(丹溪).
태동이 되어 불안한 것을 치료하는데
임신 5-6달이 된 때에 몇 첩씩 먹으면 아주 좋다.
흰삽주(백출) 8g, 속썩은풀(황금) 6g,
당귀,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찐지황(숙지황), 사인(간 것), 귤껍질(陳皮) 각각 4g,
궁궁이(천궁),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3.2g, 감초 1.6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어떤 처방에는 인삼이 있고 찐지황이 없으면 생지황을 대신 넣는다고 하였다[입문].
태동이 되어 불안한 데는 갖풀(아교)을 더 넣고
임신 중에 아랫배가 아픈 데는 사인을 더 넣는다.
속썩은풀(황금)로 안태시키는 것은 화를 내리기 위한 것이고
사인으로 안태시키는 것은 기를 잘 돌아가게 하기 위한 것이다.
만일 혈허(血虛)로 태동이 되어 불안하면 갖풀(아교)을 주로 쓴다[단계].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如聖飮][여성음]   (0) 2019.01.07
[凉血飮][양혈음]  (0) 2019.01.07
[十六味流氣飮][십육미유기음]  (0) 2019.01.07
[十味香유飮][십미향유음]   (0) 2019.01.07
[實脾飮][실비음]   (0) 2019.01.07

[十六味流氣飮][십육미유기음]
治巖.
紫蘇葉 一錢半,
人蔘, 黃芪, 當歸 各一錢,
川芎, 肉桂, 厚朴, 白芷, 防風, 烏藥, 檳榔, 白芍藥, 枳殼, 木香, 甘草 各五分,
桔梗 三分.
右剉作一貼, 加靑皮一錢, 水煎服[正傳].
유암을 치료한다.
자소엽 한 돈 반,
인삼, 황기, 당귀 각 한 돈,
천궁, 육계, 후박, 백지, 방풍, 오약, 빈랑, 백작약, 지각, 목향, 감초 각 닷 푼,
길경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청피 한 돈을 더 넣어 물에 달여 먹는다(정전).

[十六味流氣飮][십육미유기음]
治癰疽 無名惡腫等疾 乃表裏氣血藥也.
人參 當歸 黃芪 桔梗 防風 木香 枳殼 川芎 肉桂
白芍藥 檳榔 白芷 厚朴 紫蘇葉 烏藥 甘草 各3g
剉作一貼 水煎服(入門).
옹저와 원인 모를 악종 등을 치료하는데
표(表), 리(裏), 기(氣), 혈(血) 증에 다 쓸 수 있는 약이다.
인삼, 당귀, 단너삼(황기), 도라지(길경), 방풍, 목향, 지각, 궁궁이(천궁), 육계,
집함박꽃뿌리(백작약), 빈랑, 구릿대(백지), 후박, 차조기잎(자소엽), 오약, 감초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凉血飮][양혈음]  (0) 2019.01.07
[安胎飮][안태음]   (0) 2019.01.07
[十味香유飮][십미향유음]   (0) 2019.01.07
[實脾飮][실비음]   (0) 2019.01.07
[神通飮][신통음]   (0) 2019.01.07

[十味香유飮][십미향유음]
消暑 和胃 補氣.
香유6g
厚朴 白扁豆 人蔘 陳皮 白朮 白茯苓 黃芪 木瓜 甘草 各3g
剉作一貼 水煎服 或爲末 每7.5g. 熱湯 或冷水 任調下(丹心).
더위를 없애고 위(胃)를 좋게 하여 기(氣)를 보한다.
노야기(향유) 6g,

후박, 까치콩(白扁豆), 인삼, 귤껍질(陳皮), 백출, 백복령, 황기, 모과,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거나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는 물(熱湯)이나 찬물에 타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安胎飮][안태음]   (0) 2019.01.07
[十六味流氣飮][십육미유기음]  (0) 2019.01.07
[實脾飮][실비음]   (0) 2019.01.07
[神通飮][신통음]   (0) 2019.01.07
[升麻和氣飮][승마화기음]   (0) 2019.01.07

[實脾飮][실비음]
治水腫 膨脹
蒼朮 白朮 厚朴 赤茯苓 猪苓 澤瀉 縮砂
香附子 枳殼 陳皮 大卜皮 木香(別磨水取汁) 各3g
剉作一貼 入燈心一塊 煎去滓 調木香水 服之(回春).
수종으로 배가 팽팽하게 불러 오른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흰삽주(백출), 후박, 벌건솔풍령(적복령), 저령, 택사, 사인,
향부자, 지각, 귤껍질(陳皮), 빈랑껍질, 목향(따로 물에 갈아 즙을 낸 것)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골풀속살(등심) 2g과 함께 달여
찌꺼기를 버린 다음 목향즙을 타서 먹는다[회춘].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六味流氣飮][십육미유기음]  (0) 2019.01.07
[十味香유飮][십미향유음]   (0) 2019.01.07
[神通飮][신통음]   (0) 2019.01.07
[升麻和氣飮][승마화기음]   (0) 2019.01.07
[順氣散][순기음]   (0) 2019.01.07

[神通飮][신통음]
治歷節風
木通80g
剉細 長流水 煎湯 頓服 空心(正傳).
一人 因風濕 得白虎歷節風 遍身疼痛 足不履地者 三年
百方不效 一日 夢與木通湯 愈遂 服此藥 服後 遍身痒甚
上體發紅丹 如小豆大 隨手沒去出汗 至腰而止 上體不痛矣
次日 又如前煎服 下體 又 發紅丹 汗出至足而無痛 後治數人 皆驗.
一名 [木通湯] (正傳).
역절풍(歷節風)을 치료한다.
으름덩굴(목통) 80g.
위의 약을 잘게 썰어서 강물에 달여 빈속에 단번에 먹는다[정전].
어떤 사람이 풍습(風濕)이 침범하여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이 생겼다.
그리하여 여러가지 처방으로 치료하였으나 효과가 없었다.
어느 날 누가 목통탕을 주는 것을 먹고 병이 낫는 꿈을 꾸었다.
그 후에 이 약을 먹으니 온몸이 몹시 가렵고 몸 웃도리에 벌건 반진이 돋았다가
곧 없어지고 땀이 허리까지 나다가 멎었고 몸웃도리가 아프지 않았다.
다음날 다시 먼저 쓰던 방법대로 달여 먹었더니 몸아랫도리에
또 벌건 반진이 내돋고 땀이 발에까지 나고는 아프지 않았다.
후에 몇 사람을 치료하였는데 다 효과가 있었다.
일명 목통탕(木通湯)이라고도 한다[정전].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十味香유飮][십미향유음]   (0) 2019.01.07
[實脾飮][실비음]   (0) 2019.01.07
[升麻和氣飮][승마화기음]   (0) 2019.01.07
[順氣散][순기음]   (0) 2019.01.07
[水火分淸飮][수화분청음]  (0) 2019.01.07

[升麻和氣飮][승마화기음]
治疥瘡痛痒
乾葛8g
陳皮 甘草 各6g
升麻 蒼朮 桔梗 各4g
赤芍藥3g
大黃2g
半夏 當歸 茯苓 白芷 乾薑 枳殼 各1g,
剉作一貼 入薑五片 燈心15莖 水煎服(入門).
옴으로 헐어서 아프며 가려운 것을 치료한다.
칡뿌리(乾葛) 8g, 귤껍질(陳皮), 감초 각각 6g,
승마, 삽주(창출), 도라지(길경) 각각 4g,
함박꽃뿌리(작약) 3g, 대황 2g,
끼무릇(반하), 당귀, 흰솔풍령(백복령), 구릿대(백지) 각각 1.2g,
건강, 지각 각각 0.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골풀속살(등심) 15오리와 함께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實脾飮][실비음]   (0) 2019.01.07
[神通飮][신통음]   (0) 2019.01.07
[順氣散][순기음]   (0) 2019.01.07
[水火分淸飮][수화분청음]  (0) 2019.01.07
[消瘀飮][소어음]  (0) 2019.01.07

[三生飮][삼생음]
治卒中風 痰塞 昏仆 不省 脈沈無熱者 可服
南星生8g
川烏生 白附子生 各4g, 木香2g
入薑15片 水煎服(局方).
一名 [順氣散] 烏附 皆炮(得效).
졸중풍(卒中風)으로 담이 막혀서 정신을 잃고 넘어져
정신을 차리지 못하며 맥이 침(沈)하고 열이 없는 것을 치료한다.
천남성(생것) 8g, 오두(생것), 노랑돌쩌귀(백부자, 생것) 각각 4g, 목향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1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神通飮][신통음]   (0) 2019.01.07
[升麻和氣飮][승마화기음]   (0) 2019.01.07
[水火分淸飮][수화분청음]  (0) 2019.01.07
[消瘀飮][소어음]  (0) 2019.01.07
[消暑十全飮][소서십전음]   (0) 2019.01.07

[水火分淸飮][수화분청음]
治赤白濁.
赤茯苓 一錢,
益智仁, 萆薢, 石菖蒲, 猪苓, 車前子, 澤瀉, 白朮, 陳皮, 枳殼, 升麻 各七分,
甘草 五分.
右剉作一貼, 酒水相半煎, 空心服[醫鑑].
적탁과 백탁을 치료한다.
적복령 한 돈,
익지인, 비해, 석창포, 저령, 차전자, 택사, 백출, 진피, 지각, 승마 각 일곱 푼,
감초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반씩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升麻和氣飮][승마화기음]   (0) 2019.01.07
[順氣散][순기음]   (0) 2019.01.07
[消瘀飮][소어음]  (0) 2019.01.07
[消暑十全飮][소서십전음]   (0) 2019.01.07
[小參蘇飮][소삼소음]   (0) 2019.01.07

[消瘀飮][소어음]
治瘀血腹痛.
當歸, 赤芍藥, 生乾地黃, 桃仁, 紅花, 蘇木, 大黃 各一錢, 甘草 五分.
右剉作一貼, 水煎去滓, 入芒硝一錢, 溫服[醫鑑].
어혈로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당귀, 적작약, 건지황, 도인, 홍화, 소목, 대황 각 한 돈,
감초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찌꺼기는 버리고 망초 한 돈을 넣어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順氣散][순기음]   (0) 2019.01.07
[水火分淸飮][수화분청음]  (0) 2019.01.07
[消暑十全飮][소서십전음]   (0) 2019.01.07
[小參蘇飮][소삼소음]   (0) 2019.01.07
[消癍靑黛飮][소반청대음]  (0) 2019.01.07

[消暑十全飮][소서십전음]
治傷暑 吐瀉. 暑病吐瀉條轉載.
香薷6g, 甘草2g.
白扁豆 厚朴 紫蘇葉 白朮 赤茯苓 藿香 木瓜 白檀香 各4g
剉作一貼 水煎服(局方).
더위먹어[傷暑]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노야기(향유) 6g, 감초 2g.
까치콩(백편두), 후박, 차조기잎(자소엽), 백출, 적복령, 곽향, 모과, 백단향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국방].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火分淸飮][수화분청음]  (0) 2019.01.07
[消瘀飮][소어음]  (0) 2019.01.07
[小參蘇飮][소삼소음]   (0) 2019.01.07
[消癍靑黛飮][소반청대음]  (0) 2019.01.07
[消毒飮][소독음]  (0) 2019.01.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