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順淸凉飮][사순청량음]
治 血熱
大黃蒸, 當歸, 赤芍藥, 甘草.灸 各5g,
爲 剉 作一貼 入薄荷10葉 水煎服(入門)
淸凉飮子 (局方)
혈열(血熱)을 치료한다.
대황(찐 것), 당귀, 함박꽃뿌리(적작약), 감초(닦은 것) 각각 5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박하 10잎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입문].
일명 청량음자(淸凉飮子)라고도 한다[국방].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根飮][삼근음]  (0) 2019.01.07
[四皮飮][사피음]   (0) 2019.01.06
[四獸飮][사수음]   (0) 2019.01.06
[瀉白安胃飮][사백안위음]  (0) 2019.01.06
[比和飮][비화음]   (0) 2019.01.06

[四獸飮][사수음]
治七情聚痰 五藏氣虛 瘧久不已
人參 白朮 白茯苓 半夏 草果 甘草 烏梅 生薑 大棗 各4g
剉作 一貼 拌塩少許 淹食頃 以皮紙包裹水浸 慢火香熟 取出 水煎服.
未發前 連進數貼 卽效(得效).
7정(七情)으로 담(痰)이 몰리고 5장(五藏)의 기가 허해서
학질이 오랫동안 낫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초과, 감초, 오매, 생강, 대추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소금 조금과 함께 버무린다.
다음 한참 있다가 피지에 싸서 물에 담갔다가 잿불에 묻어
고소한 냄새가 나도록 구워 꺼낸다.
이것을 물에 달여서 먹는데 발작하기 전에 연이어 몇 첩 쓰면 곧 효과를 본다[득효].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皮飮][사피음]   (0) 2019.01.06
[四順淸凉飮][사순청량음]   (0) 2019.01.06
[瀉白安胃飮][사백안위음]  (0) 2019.01.06
[比和飮][비화음]   (0) 2019.01.06
[萆薢分淸飮][비해분청음]  (0) 2019.01.06

[瀉白安胃飮][사백안위음]
治白痢.
蒼朮 炒, 白芍藥 酒炒, 蓮肉 各一錢,
白朮 七分半,
人蔘, 陳皮, 白茯苓, 黃芪 蜜炒, 當歸 酒洗 各五分,
木香, 乾薑 炮, 甘草 灸 各三分.
右剉作一貼, 空心水煎服[集畧].
백리를 치료한다.
창출(볶은 것), 백작약(술에 축여 볶은 것), 연육 각 한 돈,
백출 일곱 푼 반,
인삼, 진피, 백복령, 황기(꿀물에 축여 볶은 것), 당귀(술에 씻은 것) 각 다섯 푼,
목향, 건강(싸서 구운 것), 감초(구운 것)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집략).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順淸凉飮][사순청량음]   (0) 2019.01.06
[四獸飮][사수음]   (0) 2019.01.06
[比和飮][비화음]   (0) 2019.01.06
[萆薢分淸飮][비해분청음]  (0) 2019.01.06
[不二飮][불이음]  (0) 2019.01.06

[比和飮][비화음]
治胃虛嘔吐 月餘 不納水穀 聞食氣卽嘔 聞藥亦嘔
人參 白朮 白茯苓 神麯炒 各4g
藿香 陳皮 縮砂 甘草 各2g, 

陳倉米1合
剉作一貼 先以順流水3升 泡伏龍肝末 澄淸
取一升半 入藥 及薑三棗二同煎
至70%去滓 稍冷服 日2~3遂納而不吐
別以陳倉米煎湯 時時啜之 全愈(醫鑑).
위가 허약하여 토한지 1달이 지나서도 음식을 먹지 못하면서
음식냄새나 약냄새만 맡아도 구역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약누룩(신국, 닦은 것) 각각 4g,
곽향, 귤껍질(陳皮), 사인, 감초 각각 2g,

묵은 쌀(陳倉米) 1홉.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한다.
그리고 먼저 물 3되에 복룡간(伏龍肝)을 풀어서 가라앉혀 웃물 1되 반을 받는다.
여기에 위의 약을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넣고 7분이 되게 달인다.
다음 찌꺼기를 버리고 좀 식혀서 하루 두세번 먹는데 토하는 것이 멎으면
따로 묵은 쌀을 달여서 수시로 먹어야 완전히 낫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獸飮][사수음]   (0) 2019.01.06
[瀉白安胃飮][사백안위음]  (0) 2019.01.06
[萆薢分淸飮][비해분청음]  (0) 2019.01.06
[不二飮][불이음]  (0) 2019.01.06
[分心氣飮][분심기음]  (0) 2019.01.06

[萆薢分淸飮][비해분청음]
治小便白濁, 凝脚如糊.
石菖蒲, 烏藥, 益智仁, 萆薢, 白茯苓 各一錢,

甘草 五分.
右剉作一貼, 空心入鹽一捻, 水煎服[正傳].
소변백탁으로 오줌에 쌀가루 같은 것이 엉겨 있는 것을 치료한다.
석창포, 오약, 익지인, 비해, 백복령 각 한 돈,
감초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소금 한 줌을 넣고 달여 빈속에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白安胃飮][사백안위음]  (0) 2019.01.06
[比和飮][비화음]   (0) 2019.01.06
[不二飮][불이음]  (0) 2019.01.06
[分心氣飮][분심기음]  (0) 2019.01.06
[分氣飮][분기음]   (0) 2019.01.06

[不二飮][불이음]
治 諸瘧疾 一劑截住 神效.
雞心檳榔 要一雌一雄 若重8g 則 餘藥 各8g
常山 知母 貝母 各等分
剉作一貼 酒一鍾 煎至3g 不過熟 熟則不效 露一宿 臨發日 五更 溫服.
勿令婦人煎藥(醫鑒).
一名, [止瘧散] (十三方).
여러 가지 학질에 1첩만 먹어도 신기한 효과가 있다.
빈랑(암컷 1개, 수컷 1개, 만일 무게가 8g이면
다른 약도 각각 8g씩 넣어서 써야 한다), 상산, 지모, 패모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 1종지에 넣고
8분이 되게(지나치게 익히지 말아야 한다.
지나치게 익히면 효과가 없다) 달인다.
다음 하룻밤 이슬을 맞혀 발작할 날 새벽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의감].
일명 지학산(止 散)이라고도 한다[십삼방].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比和飮][비화음]   (0) 2019.01.06
[萆薢分淸飮][비해분청음]  (0) 2019.01.06
[分心氣飮][분심기음]  (0) 2019.01.06
[分氣飮][분기음]   (0) 2019.01.06
[補虛飮][보허음]  (0) 2019.01.06

[分心氣飮][분심기음]
治七情痞滯, 通利大小便, 淸而踈快.
紫蘇葉 一錢二分,
甘草 灸 七分,
半夏 製, 枳殼 各六分,
靑皮, 陳皮, 木通, 大腹皮, 桑白皮, 木香, 赤茯苓, 檳榔,

蓬朮, 麥門冬, 桔梗, 桂皮, 香附子, 藿香 各五分.
右剉, 薑三片棗二枚, 燈心十莖, 煎服[直指].
칠정으로 생긴 비증(痞證)과 체증(滯證)을 치료하는데,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맑고 시원하게 보게 한다.
자소엽 한 돈 두 푼,
감초(구운 것) 일곱 푼,
반하(법제한 것), 지각 각 여섯 푼,
청피, 진피, 목통, 대복피, 상백피, 목향, 적복령, 빈랑,

봉출, 맥문동, 길경, 계피, 향부자, 곽향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생강 세 쪽, 대추 두 개, 등심 열 뿌리를 넣고 달여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萆薢分淸飮][비해분청음]  (0) 2019.01.06
[不二飮][불이음]  (0) 2019.01.06
[分氣飮][분기음]   (0) 2019.01.06
[補虛飮][보허음]  (0) 2019.01.06
[補脬飮][보포음]  (0) 2019.01.06

[分氣飮][분기음]
治腫脹 喘急
桔梗 赤茯苓 陳皮 桑白皮 大卜皮 枳殼 半夏麴 蘇子炒 蘇葉 各4g
草果 甘草 各2g.
剉作一貼 入薑三棗二 水煎服(得效).
수종과 창만으로 숨이 몹시 찬 것을 치료한다.
도라지(길경), 벌건솔풍령(적복령), 귤껍질(陳皮), 뽕나무뿌리껍질(상백피),
빈랑껍질, 지각, 반하국, 차조기씨(자소자, 닦은 것),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4g,
초과, 감초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二飮][불이음]  (0) 2019.01.06
[分心氣飮][분심기음]  (0) 2019.01.06
[補虛飮][보허음]  (0) 2019.01.06
[補脬飮][보포음]  (0) 2019.01.06
[鱉甲飮][별갑음]   (0) 2019.01.06

[補虛飮][보허음]
治氣鬱涎盛, 面熱忪悸, 及風虛眩暈.
人蔘, 麥門冬, 山藥  各一錢,
白茯苓, 茯神  各八分,
半夏 製, 黃芪  各七分,
前胡, 熟地黃  各五分,
枳殼, 遠志 薑製, 甘草灸  各三分.
右剉, 入薑五片, 秫米一撮, 水煎溫服[入門].
기가 몰려 담이 많아져서 얼굴이 화끈거리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것과 풍으로 허하여 어지러운 것을 치료한다.
인삼, 맥문동, 산약 각 한 돈,
백복령, 백복신 각 여덟 푼,
반하(법제한 것), 황기 각 일곱 푼,
전호, 숙지황 각 닷 푼,
지각, 원지(생강으로 법제한 것), 감초(구운 것)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생강 다섯 쪽과 차조 한 자밤을 넣고 물에 달여 따뜻하게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分心氣飮][분심기음]  (0) 2019.01.06
[分氣飮][분기음]   (0) 2019.01.06
[補脬飮][보포음]  (0) 2019.01.06
[鱉甲飮][별갑음]   (0) 2019.01.06
[門冬淸肺飮][문동청폐음]   (0) 2019.01.06

[補脬飮][보포음]
治婦人因産傷脬, 小便不禁, 或漏濕不乾, 或小便不利.
黃絲絹 生者 一尺 剪碎,

白牡丹根皮 末 二錢 千葉者, 他無效,

白芨 末 一錢.
右水一椀同煎, 至絹爛如餳, 空心頓服, 服時不得作聲, 作聲無效[得效].
부인이 아이를 낳을 때 포가 손상되어 오줌을 참지 못하거나

줄줄 흘려 마를 사이가 없거나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황사견(날것) 한 자(잘게 자른다),

백목단근피(가루낸 것) 두 돈(천 개의 잎이 있는 것이어야지 다른 것은 효과가 없다),

백급(가루낸 것) 한 돈.
위의 약들을 물 한 사발로 달여 명주가 엿같이 짓무르게 하여 빈속에 한꺼번에 먹는다.

먹을 때 아무런 소리를 내지 말아야 하는데, 소리를 내면 효과가 없다(득효).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分氣飮][분기음]   (0) 2019.01.06
[補虛飮][보허음]  (0) 2019.01.06
[鱉甲飮][별갑음]   (0) 2019.01.06
[門冬淸肺飮][문동청폐음]   (0) 2019.01.06
[明目流氣飮][명목유기음]  (0) 2019.01.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