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露薑飮][노강음]
治痰瘧
生薑150g
連皮搗爛 止取自然汁 約明日 當發隔夜 安排將紗片
盖露一宿 五更初 澄者一上飮之 或有痰吐任之卽安(得效).
담학(痰 )을 치료한다.
생강 160g.
위의 약을 껍질째로 잘 짓찧어 즙을 내어 발작하기 전날 밤에 얇은
생명주를 덮어 밖에 내놓아 하룻밤 이슬을 맞힌다.
날샐 무렵에 그 윗물을 마신다.
그러면 혹 담을 토할 수도 있는데 그대로 두어도 곧 안정된다[득효].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連翹飮][당귀연교음]  (0) 2019.01.06
[老瘧飮][노학음]   (0) 2019.01.06
[臘茶飮][납다음]  (0) 2019.01.06
[南星飮][남성음]  (0) 2019.01.06
[氣疝飮][기산음]  (0) 2019.01.06

[臘茶飮][납다음]
治赤脈瞖. 從上而下, 此屬太陽, 宜溫散之.
芽茶, 附子, 白芷 各一錢,

細辛, 川芎, 防風, 羌活, 荊芥 各半錢.
右剉作一貼, 入鹽一撮, 水煎服[綱目].
적맥예를 치료한다.
예막이 위에서 생겨 아래로 내려오는 것은 태양경에 속하는데,

따뜻하게[溫] 하고 흩어주어야[散] 한다.
아다, 부자, 백지 각 한 돈,
세신, 천궁, 방풍, 강활, 형개 각 반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소금 한 자밤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老瘧飮][노학음]   (0) 2019.01.06
[露薑飮][노강음]   (0) 2019.01.06
[南星飮][남성음]  (0) 2019.01.06
[氣疝飮][기산음]  (0) 2019.01.06
[芩連消毒飮][금련소독음]   (0) 2019.01.06

[南星飮][남성음]
治風邪入腦, 宿冷不消, 鼻內結硬物窒塞, 腦氣不宣, 遂流髓涕.
大白天南星, 切片, 沸湯泡兩次, 焙乾,

每服二錢, 入大棗七枚, 甘草少許, 同煎, 食後服,

三四服後, 其硬物自出, 腦氣流轉, 髓涕自收, 仍以蓽撥餠, 貼顖門, 熨斗火熨之, 令熱透[得效].
풍사(風邪)가 뇌로 들어가서 냉기가 오래도록 없어지지 않고 콧속에 딱딱한 것이

뭉쳐 코를 막아 뇌의 기[腦氣]가 잘 통하지 않아 콧물이 흘러나오는 것을 치료한다.
천남성(크고 흰 것)을 조각내어 끓는 물에 잠깐 넣었다가 건지기 튀하기를

두 번 한 후 약한 불에 쬐여 말린다.

두 돈씩 먹는데 대추 일곱 개, 감초 조금과 함께 달여 식후에 먹는다.

서너 번 먹은 뒤에 딱딱한 것이 저절로 나오면 뇌기가 잘 돌아 콧물이 마른다.

이어 필발병을 신문혈에 붙이고 그 위를 다림질하여 열이 들어가게 한다(득효).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露薑飮][노강음]   (0) 2019.01.06
[臘茶飮][납다음]  (0) 2019.01.06
[氣疝飮][기산음]  (0) 2019.01.06
[芩連消毒飮][금련소독음]   (0) 2019.01.06
[芎歸調血飮][궁귀조혈음]   (0) 2019.01.06

[氣疝飮][기산음]
治氣疝.
黃連 以吳茱萸煎水浸炒 二錢,
人蔘, 白朮 各一錢,
白芍藥, 陳皮 各七分,
甘草 三分.
右剉作一貼, 薑三片, 水煎服[入門].
기산을 치료한다.
황련(오수유 달인 물에 담갔다가 볶은 것) 두 돈,
인삼, 백출 각 한 돈,
백작약, 진피 각 일곱 푼,
감초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臘茶飮][납다음]  (0) 2019.01.06
[南星飮][남성음]  (0) 2019.01.06
[芩連消毒飮][금련소독음]   (0) 2019.01.06
[芎歸調血飮][궁귀조혈음]   (0) 2019.01.06
[芎歸飮][궁귀음]  (0) 2019.01.06

[芩連消毒飮][금련소독음]
治天行大頭瘟 咽喉腫痛
黃連 黃芩 桔梗 柴胡 川芎 荊芥 防風 羗活 枳殼 連翹 射干 白芷 甘草 各3g
剉作一貼 入薑三片 水煎 又入牛蒡子一撮 再煎 入竹瀝 薑汁調服(入門).
돌림병인 대두온(大頭瘟)으로 목구멍이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황련, 속썩은풀(황금), 시호, 도라지(길경), 궁궁이(천궁), 형개, 방풍,
강호리(강활), 지각, 연교, 범부채(사간), 구릿대(백지),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이다가
우엉씨 한 자밤을 넣고 달여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여기에 참대기름과 생강즙을 타서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南星飮][남성음]  (0) 2019.01.06
[氣疝飮][기산음]  (0) 2019.01.06
[芎歸調血飮][궁귀조혈음]   (0) 2019.01.06
[芎歸飮][궁귀음]  (0) 2019.01.06
[國老飮][국로음]   (0) 2019.01.06

[芎歸調血飮][궁귀조혈음]
治産後去血過多 以致發熱 心煩腹痛 頭暈眼花 或口噤神昏
當歸 川芎 白朮 白茯苓 熟地黃 陳皮 便香附 烏藥 乾薑 益母草 牧丹皮 甘草 各3g
剉作一貼 入薑五棗二 煎服(醫鑒).
해산 후에 피를 너무 많이 흘려서 열이 나며
가슴이 답답하고 배가 아프며 어지러워하고 눈앞에 꽃 같은 것이 보이거나
이를 악물고 정신이 혼미한 것을 치료한다.
당귀, 궁궁이(천궁),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찐지황(숙지황), 귤껍질(陳皮),

향부자(동변으로 법제한 것), 오약, 건강, 익모초,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감초 각각 3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氣疝飮][기산음]  (0) 2019.01.06
[芩連消毒飮][금련소독음]   (0) 2019.01.06
[芎歸飮][궁귀음]  (0) 2019.01.06
[國老飮][국로음]   (0) 2019.01.06
[九寶飮][구보음]   (0) 2019.01.06

[芎歸飮][궁귀음]
治風邪入耳虛鳴.
川芎, 當歸, 細辛 各一錢,
辣桂, 石菖蒲, 白芷 各七分.
右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紫蘇七葉, 水煎食後服[直指].
풍사가 귀로 들어가 허명이 된 것을 치료한다.
천궁, 당귀, 세신 각 한 돈,
날계, 석창포, 백지 각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 대추 두 개,

자소엽 일곱 잎을 넣고 물에 달여 식후에 먹는다(직지).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芩連消毒飮][금련소독음]   (0) 2019.01.06
[芎歸調血飮][궁귀조혈음]   (0) 2019.01.06
[國老飮][국로음]   (0) 2019.01.06
[九寶飮][구보음]   (0) 2019.01.06
[交解飮][교해음]  (0) 2019.01.06

[國老飮][국로음]
治蠱毒
白礬 甘草等分 爲末 淸水調下
或吐黑涎 或瀉下卽安(得效).
고독을 받은 것을 치료한다.
백반, 감초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맑은 물에 타 먹으면
혹 거먼 침을 토하거나 설사하고 곧 편안해진다[득효].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歸調血飮][궁귀조혈음]   (0) 2019.01.06
[芎歸飮][궁귀음]  (0) 2019.01.06
[九寶飮][구보음]   (0) 2019.01.06
[交解飮][교해음]  (0) 2019.01.06
[鷄醴飮][계례음]  (0) 2019.01.06

[九寶飮][구보음]
治諸般咳嗽 及寒嗽 久嗽
陳皮 薄荷 麻黃 桂皮 桑白皮 紫蘇葉 杏仁 大卜皮 甘草 各4g
剉作一貼 入薑五梅一箇 水煎服(易簡).
여러 가지 기침과 한수, 구수(久嗽)를 치료한다.

진피, 박하, 마황, 계피, 상백피, 자소엽, 행인, 빈랑껍질,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오매 1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이간].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芎歸飮][궁귀음]  (0) 2019.01.06
[國老飮][국로음]   (0) 2019.01.06
[交解飮][교해음]  (0) 2019.01.06
[鷄醴飮][계례음]  (0) 2019.01.06
[桂苓甘露飮][계령감로음]  (0) 2019.01.06

[交解飮][교해음]
治寒瘧.
卽雙解飮子也.
治瘴瘧 及寒瘧 神效
肉荳蔲 草豆蔲各二箇(一箇煨一箇生)
厚朴二寸(一寸薑汁浸灸一寸生用)
甘草大者80g(一半灸一半生)
生薑二塊(一塊煨一塊生).
各剉合 分二貼 入棗二 梅一 水煎 空心溫服(局方).
一名 [雙解飮子] 又名 [生熟飮] (類聚)
장학과 한학을 치료하는 데 신기한 효과가 있다.
육두구, 초두구 각각 2개(1개는 잿불에 묻어 굽고 1개는 생것으로 쓴다),
후박 2치(1치는 생강즙에 담갔다가 볶아 쓰고 1치는 생것으로 쓴다),
감초(굵은 것) 80g(절반은 닦아 쓰고 절반은 생것으로 쓴다),
생강 2덩어리(1덩어리는 잿불에 묻어 구워 쓰고 1덩어리는 생것으로 쓴다).
위의 약들을 썰어서 2첩으로 하고 여기에 대추 2알, 오매 1알을 넣어서
물에 달인 다음 따뜻하게 하여 빈속에 먹는다[국방].
일명 교해음(交解飮) 또는 생숙음(生熟飮)이라고도 한다[유취].

'[處方箋] > [處方飮]' 카테고리의 다른 글

[國老飮][국로음]   (0) 2019.01.06
[九寶飮][구보음]   (0) 2019.01.06
[鷄醴飮][계례음]  (0) 2019.01.06
[桂苓甘露飮][계령감로음]  (0) 2019.01.06
[經驗二防飮][경험이방음]  (0) 2019.01.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