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薑蝎散][강길산]
治耳聾因腎虛所致.

十年內者, 一服愈.
全蝎 四十九箇 去梢洗焙.

去風熱, 生薑 切片如蝎大 四十九片 開痰.
右二味, 銀石器內, 炒乾爲細末. 向夕勿食, 夜臥酒調作一服, 至二更以來, 徐徐盡量飮.

五更, 耳中聞百十攢笙響, 自此聞聲[三因].
신이 허하여 생긴 이롱증을 치료한다. 10년이 안 된 것은 한 번 복용하면 낫는다.
전갈 마흔아홉 마리(꼬리를 떼어내고 씻어서 약한 불에 말린 것. 풍열을 없애준다),

생강 마흔아홉 쪽(전갈만하게 썬 것. 담을 풀어준다).
위의 두 가지 약을 은이나 돌그릇에 볶아 말려서 곱게 가루낸다.

저녁때가 되면 밥을 먹지 말고 잠자기 전에 술에 타서 한 번 먹고,

밤 이경[밤 10시쯤]에 나머지를 천천히 다 마신다.
그러면 오경 새벽 4시쯤에 귓속에서 수많은 생황 울리는 소리가 들리는데

이때부터 소리를 들을 수 있다(삼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羗菊散][강국산]   (0) 2018.12.15
[糠毬散][강구산]   (0) 2018.12.15
[疳濕散][감습산]   (0) 2018.12.15
[甘遂散][감수산]  (0) 2018.12.15
[葛花散][갈화산]   (0) 2018.12.15

[疳濕散][감습산]
治同上.
五月五日蝦蟆, 木香, 硫黃, 鐵精 等分.
爲末, 入麝香少許, 糝付患處[得效].
앞과 같은 병을 치료한다.
오월 초닷새에 잡은 하마, 목향, 유황, 철정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사향을 조금 넣어서 아픈 곳에 바른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糠毬散][강구산]   (0) 2018.12.15
[薑蝎散][강길산]  (0) 2018.12.15
[甘遂散][감수산]  (0) 2018.12.15
[葛花散][갈화산]   (0) 2018.12.15
[蝎梢散][갈초산]   (0) 2018.12.15

[甘遂散][감수산]
治耳聾.
甘遂末.
葱汁和丸, 綿裹塞耳中, 口含甘草湯. 兩藥須各兩處修製, 妙[入門].
이롱증을 치료한다.
감수가루.
감수가루를 파즙으로 반죽하여 알약을 만들어

솜에 싸서 귀를 틀어막고 입에는 감초 달인 물을 머금고 있는다.
감수와 감초는 반드시 각각 다른 곳에서 만들어야 좋다(입문).

[甘遂散][감수산]
治五種癲癎, 及婦人心風血迷神效.
甘遂末一錢, 以猪心血和勻, 將猪心批作兩片, 入在內再合, 以線札縛,

皮紙包濕, 慢火煨熟, 取藥出硏細, 入辰砂水飛末一錢, 和勻分作四丸.

每一丸, 將所煨猪心煎湯化下. 如大便下惡物卽止, 不效再服一丸[得效].
다섯 가지의 전간과 부인이 심풍(心風)으로 혈(血)이 어지러이 막힌 것을 잘 치료한다.
감수가루 한 돈을 돼지 심장의 피와 잘 섞어 돼지 심장을 반으로 쪼개

그 안에 넣은 다음 다시 실로 단단히 묶는다.
이것을 피지로 싸서 물을 축여 약한 잿불에 묻어 구워 잘 익힌 뒤

약을 꺼내어 곱게 간 다음 진사(수비한 것) 한 돈을 넣는다.
위의 약들을 잘 섞어 네 알을 만든다.
약을 만들 때 잿불에 묻어 구웠던 돼지 심장을 달인 물에 한 알씩 녹여 먹는다.
대변으로 나쁜 것이 나오면 그만 먹고, 효과가 없으면 다시 한 알을 먹는다(득효).

[甘遂散][감수산]
治大小便不通.
赤皮甘遂 二兩, 煉蜜 二合.
和勻, 每一兩分四服, 日進一服, 蜜水調下[得效].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감수(껍질이 붉은 것) 두 냥, 꿀(졸인 것) 두 홉.
위의 약들을 골고루 섞어 한 냥을 4번에 나누어 먹는데,

하루에 한 번씩 꿀물에 타서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薑蝎散][강길산]  (0) 2018.12.15
[疳濕散][감습산]   (0) 2018.12.15
[葛花散][갈화산]   (0) 2018.12.15
[蝎梢散][갈초산]   (0) 2018.12.15
[蝎附散][갈부산]   (0) 2018.12.15

[葛花散][갈화산]
飮酒令不醉
葛花 小豆花 各等分焙乾

爲末 每8g 白湯 點服.
一名, [雙花散] (御院).
술을 마셔도 취하지 않게 한다.
칡꽃(갈화), 팥꽃(소두화)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약한 불기운에 말린 다음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끓인 물에 타 먹는다.
일명 쌍화산(雙花散)이라고도 한다[어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疳濕散][감습산]   (0) 2018.12.15
[甘遂散][감수산]  (0) 2018.12.15
[蝎梢散][갈초산]   (0) 2018.12.15
[蝎附散][갈부산]   (0) 2018.12.15
[葛根麥門冬散][갈근맥문동산]   (0) 2018.12.15

[蝎梢散][갈초산]
治大寒犯腦牙痛.
羊脛骨 灰 二錢半,
麻黃 一錢半,
草豆蔲 皮 一錢,
羌活 五分,
桂枝, 升麻, 防風, 藁本, 黃芪 各三分,
白芷, 當歸身, 柴胡 各二分,
全蝎梢 少許.
右爲末, 擦牙上[東垣].
매우 차가운 기가 뇌를 침범하여 이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양경골(태운 재) 두 돈 반,
마황 한 돈 반,
초두구(껍질) 한 돈,
강활 닷 푼,
계지, 승마, 방풍, 고본, 황기 각 서 푼,
백지, 당귀신, 시호 각 두 푼,
전갈초 조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아픈 곳에 문지른다(동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甘遂散][감수산]  (0) 2018.12.15
[葛花散][갈화산]   (0) 2018.12.15
[蝎附散][갈부산]   (0) 2018.12.15
[葛根麥門冬散][갈근맥문동산]   (0) 2018.12.15
[卻痛散][각통산]   (0) 2018.12.15

[蝎附散][갈부산]
治慢脾風 回陽豁痰
附子炮8g

南星炮 白附子炮 木香 各4g
全蝎7箇 爲剉取4g 薑五 煎服(得效).
만비풍을 치료한다.
양기를 돌아오게 하고 담을 없앤다.
부자(싸서 구운 것) 8g,
천남성(싸서 구운 것), 노랑돌쩌귀(백부자, 싸서 구운 것), 목향 각각 4g,
전갈 7개.
위의 약들을 썰어서 4g에 생강 5쪽을 넣어 달여 먹인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葛花散][갈화산]   (0) 2018.12.15
[蝎梢散][갈초산]   (0) 2018.12.15
[葛根麥門冬散][갈근맥문동산]   (0) 2018.12.15
[卻痛散][각통산]   (0) 2018.12.15
[訶朮散][가출산]   (0) 2018.12.15

[葛根麥門冬散][갈근맥문동산]
治小兒 癍疹
石膏4g

葛根 麥門冬 各3g
人蔘 升麻 赤茯苓 赤芍藥 甘草 各1g
爲剉 水煎服(丹心).
석고 4g, 칡뿌리(갈근), 맥문동 각각 2.4g,
인삼, 승마, 벌건솔풍령(적복령), 함박꽃뿌리(적작약), 감초 각각 1.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물에 달여 먹인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蝎梢散][갈초산]   (0) 2018.12.15
[蝎附散][갈부산]   (0) 2018.12.15
[卻痛散][각통산]   (0) 2018.12.15
[訶朮散][가출산]   (0) 2018.12.15
[訶子皮散][가자피산]   (0) 2018.12.15

[卻痛散][각통산]
治心氣冷, 痛不可忍.
川烏 炮 一錢半,
當歸, 肉桂, 石菖蒲, 木香, 胡椒 各一錢,

五靈脂, 蒲黃 炒 各五分.
右剉作一貼, 入鹽醋各少許, 水煎服[入門].
심기(心氣)가 냉하여 참을 수 없이 아픈 것을 치료한다.
천오(싸서 구운 것) 한 돈 반,
당귀, 육계, 석창포, 목향, 호초 각 한 돈,
오령지, 포황(볶은 것) 각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소금과 식초를 약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蝎附散][갈부산]   (0) 2018.12.15
[葛根麥門冬散][갈근맥문동산]   (0) 2018.12.15
[訶朮散][가출산]   (0) 2018.12.15
[訶子皮散][가자피산]   (0) 2018.12.15
[訶子散][가자산]  (0) 2018.12.15

[訶朮散][가출산]
治姙娠泄瀉 由食坐冷當風凉所致
訶子皮 白朮 各6g
陳皮 良薑 木香 白芍藥酒炒 肉荳蔲煨 甘草灸 各4g
剉作 一貼 薑五水煎服(正傳).
임신 때 날것과 찬 것을 먹거나 풍랭에 상하여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가자피, 흰삽주(백출) 각각 6g,
귤껍질(陳皮), 양강, 목향, 집함박꽃뿌리(백작약, 술로 축여 볶은 것),
육두구(잿불에 묻어 구운 것), 감초(닦은 것)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정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葛根麥門冬散][갈근맥문동산]   (0) 2018.12.15
[卻痛散][각통산]   (0) 2018.12.15
[訶子皮散][가자피산]   (0) 2018.12.15
[訶子散][가자산]  (0) 2018.12.15
[加味香蘇散][가미향소산]   (0) 2018.12.15

[訶子皮散][가자피산]
治虛寒赤白痢脫肛.
御米殼蜜炒, 橘皮 各五分,

乾薑 炮 六分,

訶子皮 七分.
右爲末, 作一貼. 水煎, 空心, 和渣服[東垣].
허하고 차서 피고름이 있는 이질[赤白痢]과 항문이 빠진 것[脫肛]을 치료한다.
앵속각[御米殼](꿀물에 축여 볶은 것), 귤피 각 다섯 푼,
건강(싸서 구운 것), 가자피 일곱 푼.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빈속에 약 찌꺼기와 함께 먹는다(동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卻痛散][각통산]   (0) 2018.12.15
[訶朮散][가출산]   (0) 2018.12.15
[訶子散][가자산]  (0) 2018.12.15
[加味香蘇散][가미향소산]   (0) 2018.12.15
[加味平胃散][가미평위산]   (0) 2018.12.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