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兼金散][겸금산]
治熱毒生口舌瘡.
黃連, 細辛 等分.
爲末, 先以布巾蘸水, 拭淨患處. 乃糝藥, 吐涎, 卽愈[三因].
열독(熱毒)으로 입 안과 혀가 허는 것을 치료한다.
황련, 세신 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먼저 수건에 물을 묻혀 헌 부위를 깨끗이 닦은 후 이 약을 바른다.
입 안에 고인 침을 뱉고 나면 낫는다(삼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雞內金散][계내금산]   (0) 2018.12.16
[輕效散][경효산]  (0) 2018.12.15
[決明散][결명산]   (0) 2018.12.15
[牽正散][견정산]  (0) 2018.12.15
[劫勞散][겁로산]  (0) 2018.12.15

[決明散][결명산]
治風熱毒氣上攻, 兩目腫痛, 或生瞖膜, 或赤脈努肉, 澁痒昏花, 漸成內障.
石決明, 草決明, 黃芩, 甘菊, 木賊, 石膏, 赤芍藥, 川芎, 羌活, 蔓荊子, 甘草 各七分.
右剉作一貼, 入生薑五片, 水煎服[得效].
풍열의 독기가 위로 치받아 두 눈이 붓고 아프면서 예막이 생기거나

소자적맥(小眥赤脈)이나 노육반정(努肉攀睛)이 생기는데,

깔깔하며 가렵고 눈이 어두우며 안화가 있으면서 점차 내장이 되는 것을 치료한다.
석결명, 초결명, 황금, 감국, 목적, 석고, 적작약, 천궁, 강활, 만형자, 감초 각 일곱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輕效散][경효산]  (0) 2018.12.15
[兼金散][겸금산]   (0) 2018.12.15
[牽正散][견정산]  (0) 2018.12.15
[劫勞散][겁로산]  (0) 2018.12.15
[健骨散][건골산]   (0) 2018.12.15

[牽正散][견정산]
治中風喎斜
白附子 白薑蠶 全蝎並生用 各等分
爲末 每7.5g 熱酒調下(丹心).
중풍(中風)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진 것을 치료한다.
노랑돌쩌귀(백부자), 백강잠, 전갈(모두 생것을 쓴다)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씩 뜨거운 술에 타서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兼金散][겸금산]   (0) 2018.12.15
[決明散][결명산]   (0) 2018.12.15
[劫勞散][겁로산]  (0) 2018.12.15
[健骨散][건골산]   (0) 2018.12.15
[通氣驅風湯][통기구풍탕]  (0) 2018.12.15

[劫勞散][겁로산]
治心腎俱虛 勞嗽 二三聲無痰 遇夜發 熱熱過卽冷 時有盜汗
四肢倦怠 飮食減少 體劣黃瘦 此藥能治 便成羸劣之疾也 方見入門(丹心)
심(心)과 신(腎)이 다 허약하여 두세 마디씩 기침이 나고
가래는 나오지 않으며 밤이 되면 열이 나다가 열이 내리면
곧 싸늘해지며 때로 식은땀이 나고 팔다리가 나른하며
음식을 적게 먹고 몸이 약해지면서 누렇게 여위는 것을 치료한다.
기침이 약간씩 나고 가래에 핏줄이 섞여 나오는 것을 폐위라고 하는데 이것도 치료한다.
이것을 빨리 치료하지 않으면 허로가 된다(처방은 입문(口門)에 있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決明散][결명산]   (0) 2018.12.15
[牽正散][견정산]  (0) 2018.12.15
[健骨散][건골산]   (0) 2018.12.15
[通氣驅風湯][통기구풍탕]  (0) 2018.12.15
[抗穢散][항예산]   (0) 2018.12.15

[健骨散][건골산]
治頭軟 頭不能正也 項軟者 天柱骨倒也
白薑蠶炒
爲末 每服2g 或4g 薄荷泡酒 調下 日三(綱目).
두연(頭軟)이란 머리를 바로 들지 못하는 것이고
항연(項軟)이란 목[天柱骨]이 기울어지는 것인데 이것을 치료한다.
백강잠(닦은 것).
위의 약을 가루내어 한번에 2-4g씩 하루 세번 박하를 우린 술에 타 먹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牽正散][견정산]  (0) 2018.12.15
[劫勞散][겁로산]  (0) 2018.12.15
[通氣驅風湯][통기구풍탕]  (0) 2018.12.15
[抗穢散][항예산]   (0) 2018.12.15
[去惡散][거악산]   (0) 2018.12.15

[通氣驅風湯][통기구풍탕]
治中風 口眼喎斜 半身不遂 痰涎壅盛 語言蹇澀
行步艱難 精神不爽
烏藥6g, 川窮 白芷 桔梗 陳皮 白朮 甘草 各4g
麻黃 枳殼 人蔘 各2g
剉作一貼 入薑三片棗二枚. 水煎服 (得效).
一名, [祛風通氣散](入門).
중풍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몸 한 쪽을 쓰지 못하며
담연(痰涎)이 몹시 성해서 말을 잘 하지 못하고 걷기 힘들며
정신이 맑지 못한 것을 치료한다.
오약 6g,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도라지(길경), 귤껍질(陳皮), 흰삽주(백출), 감초 각각 4g,
마황, 지각, 인삼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득효].
일명 거풍통기산(祛風通氣散)이라고도 한다[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劫勞散][겁로산]  (0) 2018.12.15
[健骨散][건골산]   (0) 2018.12.15
[抗穢散][항예산]   (0) 2018.12.15
[去惡散][거악산]   (0) 2018.12.15
[車狗散][거구산]   (0) 2018.12.15

[抗穢散][항예산]
一名 [祛穢散] 亦名 [抗穢丹]
蒼朮 細辛 甘松 川芎 乳香 降眞香 右等分
爲㵋末烈火焚之[正傳]
일명 거예산(祛穢散) 또는 항예단이라고도 한다.
삽주(창출), 족두리풀(세신), 감송향, 궁궁이(천궁), 유향, 강진향.
위의 약들을 각각 같은 양으로 거칠게 가루를 내어 센 불에 태운다[정전].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健骨散][건골산]   (0) 2018.12.15
[通氣驅風湯][통기구풍탕]  (0) 2018.12.15
[去惡散][거악산]   (0) 2018.12.15
[車狗散][거구산]   (0) 2018.12.15
[開懷散][개회산]   (0) 2018.12.15

[去惡散][거악산]
治癰疽及諸瘡 有惡肉不能去者.
雄黃4g 巴豆1箇,
同硏如泥 入乳香 沒藥末 各少許.

又再硏勻 每取少許 點上惡肉卽去(入門).
옹저와 여러 가지 헌데에 궂은 살이 없어지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석웅황(웅황) 4g, 파두 1알(이 2가지 약은 풀지게 간다), 유향, 몰약가루 조금.
위의 약들을 한데 넣고 갈아서 한번에 조금씩 궂은 살에 붙이면 곧 없어진다[입문].

諸瘡 有惡肉者 膏藥內入 巴豆 雄黃 不傷良肉 只去惡肉 有死血不去,
白丁香上之(東垣).

여러 가지 헌데에 궂은 살이 있을 때에는 고약에 파두와 석웅황을 넣어서 붙이면
성한 살은 상하지 않고 궂은 살만 없어진다.
궂은 피가 없어지지 않으면 백정향을 쓰는 것이 좋다[동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氣驅風湯][통기구풍탕]  (0) 2018.12.15
[抗穢散][항예산]   (0) 2018.12.15
[車狗散][거구산]   (0) 2018.12.15
[開懷散][개회산]   (0) 2018.12.15
[消積正元散][소적정원산]   (0) 2018.12.15

[車狗散][거구산]
治大小便久不通, 煩滿欲死.
推車客1) 七箇, 土狗 七箇.
如男子病, 推車用頭, 土狗用身.

女子病, 土狗用頭, 推車用身.

右二物, 新瓦上焙乾爲末, 以虎目樹皮向東南者, 濃煎湯調服, 卽通如神[本事].
대소변을 오랫동안 보지 못하여 답답하고 그득하여서 죽을 것 같은 것을 치료한다.
추거객 일곱 개, 토구 일곱 개.
남자의 병에는 추거의 머리 부분과 토구의 몸통을 쓰고,

여자의 병에는 토구의 머리 부분과 추거의 몸통 부분을 쓴다.

이 두 약을 새로 구운 기와 위에 올려놓고 약한 불로 말려 가루내어 쓰는데,

동남쪽을 향하고 있는 호목나무 껍질을 진하게 달인 물에 타서 마시면 신기하게

곧 대소변이 나온다(본사).
推車, 卽蜣蜋也.

土狗, 卽螻蛄4)也. 虎目樹, 一云樗木, 一云虎杖, 恐樗木爲正.
추거는 말똥구리이며, 토구는 땅강아지이다.

호목나무는 저목이나 호장이라고도 하는데,

저목[가죽나무]이라고 하는 것이 옳은 것 같다.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抗穢散][항예산]   (0) 2018.12.15
[去惡散][거악산]   (0) 2018.12.15
[開懷散][개회산]   (0) 2018.12.15
[消積正元散][소적정원산]   (0) 2018.12.15
[開心散][개심산]   (0) 2018.12.15

[開懷散][개회산]
治心下積塊 痞悶或發熱
柴胡 草豆蔲 各4g
三菱 蓬朮並醋炒 靑皮 陳皮 半夏 白茯苓 香附子 枳實 檳榔 紅花 甘草 各3g
剉作一貼 薑三 煎服(醫鑒).
명치 밑에 적괴가 있어서 트직하고 답답하며 혹 열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시호, 초두구 각각 4g,
삼릉(식초에 축여 볶은 것), 봉출(식초에 축여 볶은 것),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끼무릇(반하), 흰솔풍령(백복령), 향부자, 빈랑, 지실, 잇꽃(홍화), 감초 각각 2.8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과 함께 달여서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去惡散][거악산]   (0) 2018.12.15
[車狗散][거구산]   (0) 2018.12.15
[消積正元散][소적정원산]   (0) 2018.12.15
[開心散][개심산]   (0) 2018.12.15
[開笑散][개소산]   (0) 2018.12.15

+ Recent posts